목차
1. 들어가기
2. 의미적 분류의 문제점
3. 동보형식의 구분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고찰
4. 확장가능성에 대한 고찰
5. 어휘적 생성과 통사적 생성
6. 의미적 평행성
7. 역사적 발전과정
8. 나오면서
參考文獻
中文提要
2. 의미적 분류의 문제점
3. 동보형식의 구분에 대한 기존의 이론적 고찰
4. 확장가능성에 대한 고찰
5. 어휘적 생성과 통사적 생성
6. 의미적 평행성
7. 역사적 발전과정
8. 나오면서
參考文獻
中文提要
본문내용
파악된다. 이들의 발전이 비록 시기적으로 다르지만 유사한 의미들을 표현해 낼 수 있음은, 비록 각자 형태적 구조와 통사적 구조로 발전해 왔지만, 두 구조 간에는 평행적 의미 표현이 가능하였다는 점을 시사한다. 문헌자료를 보면, 의미적인 구분은 때로는 명확하지 않아서, 사역과 결과, 결과와 정도의 의미 간에는 구분이 힘든 모호한 경우도 존재한다. 그러나, VC형식과 VdeC형식이라는 이분적 구조의 발전과정은 명확하게 구별될 수 있었고 현대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8. 나오면서
본고의 논의를 통해서 중국어의 VC형식은 모두 형태론적 구조로, VdeC형식은 통사론적 구조로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비록 VC형식이 ‘得/不’에 의한 확장 가능성이 다른 것은 어휘간의 차이로 파악해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VC형식의 확장은 극도로 제한된 형식이며, 확장 가능성에 대한 중국인의 판단의 차이가 존재하며 내부성분간의 결합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도, 결과, 사역 등의 의미는 VC형식과 VdeC형식으로 모두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정도, 결과의 의미는 보어로 쓰이는 어휘의 의미적 속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결과, 사역의 의미는 논항구조의 차이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관점은 통사구조와 형태구조가 성분간의 구조관계가 평행적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의미적 표현양상도 평행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통사적 확장형식은 보다 다양한 성분으로 얼마든지 확장될 수 있어서 표현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VC형식과 VdeC형식은 각자 발전해왔다. 그러나, 그 과정 속에 사역의 의미뿐만 아니라, 결과와 정도의 의미도 각 형식에서 발전해 온 것이 모두 관찰되었다. 또한 일부의 VC형식은 VOC형식이라는 통사적 구조가 형태적 구조로 바뀐 것이며, 이는 VC형식과 VdeC형식이 각자 다른 구조적 발전을 진행시켜 오면서도 그들의 의미적 표현양식은 평행적임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가 될 수 있다.
결국, 중국어에서 VC형식과 VdeC형식은 형태론과 통사론의 서로 다른 계통에서 존재하는 구조형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중국어에서 부가, 중첩 등의 형태론 고유의 단어생성 방식은 상대적으로 아주 소수이고, 형태론적 결합방식으로 생성된 단어의 내부성분의 구조관계는 대부분 통사적 구조 내의 성분 간의 구조관계와 평행적임을 인식한다면 당연한 현상이라고 할 것이다. 형태론과 통사론에서 각각 존재하는 성분간의 결합방식의 유사성은 두 구조 속에서 동보구조의 의미관계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개연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의미적 특징이 평행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결코 이상하거나 우연적인 것은 아닌 것이다.
考文
박정구(1996) <代‘V-(NP)-P-NP’構的分析>中文23集
______(1997) ≪中 複合의 部構造와 外部技能≫ 中人文科 17集
______(1998) ≪代中分의 再考≫ 言究 7集
이상도(1993) <代中 程度 解에 관하여> 言究 2集
甘玉(1993) ≪新代法≫ 天津科技出版公司
季永(1990) ≪代法句分析≫ 西范大出版社
(1988) ≪明用法≫ 北京大出版社
潘允中(1980) <構的展> ≪中文≫ 1期
范 (1996) ≪三平面的法≫ 北京言院出版社
梅祖麟(1991)<代的“”、“死”看構的展> ≪言≫ 第16期
石毓智(2001) ≪法化的曆程≫ 北京大出版社
石泉(1985) <果程度的葛> ≪言≫ 3期
王 力(1980) ≪史稿≫ 中局
汪惠迪(1958) <不是主構作, 也不是> ≪文≫ 1期
于根元(1993) ≪用法修≫ 安徽育出版社
月(1983) ≪用代法≫ 外究出版社
李德珍(1988) ≪外人用法≫ 出版社
李定(1963) <“得”字的句> ≪中文≫ 5期
(1957) <后面用的“得”字接的> ≪文≫ 9期
李大忠(1996) ≪外人法偏分析≫, 北京言文化大出版社
朱德熙(1982) ≪法≫ 商印: 北京
光磊(1994) ≪法≫林出版社
一士(1958) <是主構作, 是的> ≪文≫ 1期
太田辰夫(1987) ≪中史文法≫ 愚徐昌 北京大出版社
伯(1991) ≪代≫ 高等育出版社
Baker, M.(1988) ≪Incorporation: A Theory of Grammatical Function Chan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Chao,Yuen-Ren(1968)≪A Grammar of Spoken Chine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owty, David(1991), Language
Hashimoto, Anne(1966) ≪Embedding Structures in Mandarin≫, Ohio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Huang, Chu-Ren & Lin, Fu-Wen(1992), Proceedings of the Third Meeting of the Formal Linguistics Society of Midamerica (FLSM III)
Li, Charles N. and Sandra A. Thompson(1981)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中文提要
代的分, 先依据構作分。的分法在基本上以准, 但把和特征混用在一起, 把系分析得、不均衡。法句法在成分合系上相似。系都具有主、偏正、、合、構。因此, 形式也可分:VC形式和VdeC形式。前者是法上的形式, 后者是句法上的形式。分析的依据: (1) VC形式不能以句法而形成。(2) VC形式和VdeC形式在表方面具有相的特征:形式中的成分都可表示果、程度、使成。(3)VC形式的只限于“V{得/不}C”, ‘得/不’是唯一能入的中. VdeC形式不是VC的形式。 (4) 史展程中, VC形式和VdeC形式是分展的。不, 其程中也有相的特征。前者是法上的展, 后者是句法形式的展。
주제어: 동보형식, 이원체계, 분류, VC, V得C, 형태론, 통사론
8. 나오면서
본고의 논의를 통해서 중국어의 VC형식은 모두 형태론적 구조로, VdeC형식은 통사론적 구조로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비록 VC형식이 ‘得/不’에 의한 확장 가능성이 다른 것은 어휘간의 차이로 파악해야 하는 것이 옳다고 생각한다. VC형식의 확장은 극도로 제한된 형식이며, 확장 가능성에 대한 중국인의 판단의 차이가 존재하며 내부성분간의 결합력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달라 질 수 있다고 판단하기 때문이다. 또한 정도, 결과, 사역 등의 의미는 VC형식과 VdeC형식으로 모두 나타낼 수 있다고 판단된다. 정도, 결과의 의미는 보어로 쓰이는 어휘의 의미적 속성과도 관련이 있으며, 결과, 사역의 의미는 논항구조의 차이와 관련이 있다. 이러한 관점은 통사구조와 형태구조가 성분간의 구조관계가 평행적으로 존재할 뿐만 아니라, 의미적 표현양상도 평행적으로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다만, 통사적 확장형식은 보다 다양한 성분으로 얼마든지 확장될 수 있어서 표현의 다양성을 가질 수 있다.
역사적 발전과정을 살펴보면, VC형식과 VdeC형식은 각자 발전해왔다. 그러나, 그 과정 속에 사역의 의미뿐만 아니라, 결과와 정도의 의미도 각 형식에서 발전해 온 것이 모두 관찰되었다. 또한 일부의 VC형식은 VOC형식이라는 통사적 구조가 형태적 구조로 바뀐 것이며, 이는 VC형식과 VdeC형식이 각자 다른 구조적 발전을 진행시켜 오면서도 그들의 의미적 표현양식은 평행적임을 보여주는 좋은 증거가 될 수 있다.
결국, 중국어에서 VC형식과 VdeC형식은 형태론과 통사론의 서로 다른 계통에서 존재하는 구조형식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는 중국어에서 부가, 중첩 등의 형태론 고유의 단어생성 방식은 상대적으로 아주 소수이고, 형태론적 결합방식으로 생성된 단어의 내부성분의 구조관계는 대부분 통사적 구조 내의 성분 간의 구조관계와 평행적임을 인식한다면 당연한 현상이라고 할 것이다. 형태론과 통사론에서 각각 존재하는 성분간의 결합방식의 유사성은 두 구조 속에서 동보구조의 의미관계가 유사하게 나타날 수 있는 개연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의미적 특징이 평행적으로 나타나는 것도 결코 이상하거나 우연적인 것은 아닌 것이다.
考文
박정구(1996) <代‘V-(NP)-P-NP’構的分析>中文23集
______(1997) ≪中 複合의 部構造와 外部技能≫ 中人文科 17集
______(1998) ≪代中分의 再考≫ 言究 7集
이상도(1993) <代中 程度 解에 관하여> 言究 2集
甘玉(1993) ≪新代法≫ 天津科技出版公司
季永(1990) ≪代法句分析≫ 西范大出版社
(1988) ≪明用法≫ 北京大出版社
潘允中(1980) <構的展> ≪中文≫ 1期
范 (1996) ≪三平面的法≫ 北京言院出版社
梅祖麟(1991)<代的“”、“死”看構的展> ≪言≫ 第16期
石毓智(2001) ≪法化的曆程≫ 北京大出版社
石泉(1985) <果程度的葛> ≪言≫ 3期
王 力(1980) ≪史稿≫ 中局
汪惠迪(1958) <不是主構作, 也不是> ≪文≫ 1期
于根元(1993) ≪用法修≫ 安徽育出版社
月(1983) ≪用代法≫ 外究出版社
李德珍(1988) ≪外人用法≫ 出版社
李定(1963) <“得”字的句> ≪中文≫ 5期
(1957) <后面用的“得”字接的> ≪文≫ 9期
李大忠(1996) ≪外人法偏分析≫, 北京言文化大出版社
朱德熙(1982) ≪法≫ 商印: 北京
光磊(1994) ≪法≫林出版社
一士(1958) <是主構作, 是的> ≪文≫ 1期
太田辰夫(1987) ≪中史文法≫ 愚徐昌 北京大出版社
伯(1991) ≪代≫ 高等育出版社
Baker, M.(1988) ≪Incorporation: A Theory of Grammatical Function Chang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Chao,Yuen-Ren(1968)≪A Grammar of Spoken Chinese≫,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Dowty, David(1991)
Hashimoto, Anne(1966) ≪Embedding Structures in Mandarin≫, Ohio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Huang, Chu-Ren & Lin, Fu-Wen(1992)
Li, Charles N. and Sandra A. Thompson(1981) ≪Mandarin Chinese: A Functional Reference Grammar≫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中文提要
代的分, 先依据構作分。的分法在基本上以准, 但把和特征混用在一起, 把系分析得、不均衡。法句法在成分合系上相似。系都具有主、偏正、、合、構。因此, 形式也可分:VC形式和VdeC形式。前者是法上的形式, 后者是句法上的形式。分析的依据: (1) VC形式不能以句法而形成。(2) VC形式和VdeC形式在表方面具有相的特征:形式中的成分都可表示果、程度、使成。(3)VC形式的只限于“V{得/不}C”, ‘得/不’是唯一能入的中. VdeC形式不是VC的形式。 (4) 史展程中, VC形式和VdeC形式是分展的。不, 其程中也有相的特征。前者是法上的展, 后者是句法形式的展。
주제어: 동보형식, 이원체계, 분류, VC, V得C, 형태론, 통사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