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언어의 운율적 자질에 대한 고찰 - 장단 대립 모음의 상대값 비교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Abstract

Ⅰ서론

2. 문제 제기와 연구 목적

3. 이론적 배경

4. 자료수집 및 연구방법

5. 분석 결과

6. 결 론

부 록

본문내용

의 상대값은 3으로 변별력이 대단히 우수했다. 이후 장단 대립의 의미를 상실하는 장음의 길이를 알아보고자 모음의 안정 구간을 10ms 씩 잘라서 판단해 본 결과 110ms에서는 장음인 ㅘ: 의 음가가 장음으로서의 변별 기능을 상실하는 현상이 파악되었다 즉 110ms : 73ms, 상대값 1.5 이하가 되면 장단 대립으로 의미를 변별하는 기능이 상실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방송 언어의 특성은 일과성과 일방성에 시간의 제약이 있다. 이와 같은 제약 아래 아나운서들은 유창성과 정확한 전달력의 두 변수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 접근점을 찾는 고도의 전문 작업에 종사한다. 최근 들어 전달 속도가 빨라지면서 장단의 대립이 약화되고 있는 추세이긴 하나『고저 장단』구사가 의미의 변별과 정확한 발음, 품위있는 화법 구사에 필수적인 요인임을 감안한다면 소홀히 하거나 무시해선 안될 것이다.
2002년 위성 본방송이 실시되면서 본격적인 다매체 다채널 시대에 진입했고 방송매체의 영향력이 인쇄매체의 영향력을 넘어섰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영상매체의 시대를 맞아 그 어느 때보다도 음성언어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에 대한 연구도 활발하다. 문자언어 표현은 같아도 이를 음성 언어로 실현했을 때 운율적 자질을 다르게 구사함으로써 음성 표현의 메타 메시지가 다르게 전달된다. 그러므로 앞으로 방송 종사자들은 이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보다 정밀하게 이루어져야 하리라 본다. 본 연구에서 부족한 부분은 변별력의 객관성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고 실험자의 주관적인 판단에 일부 의존했다는 사실이다. 음성 분석의 대상을 연령별로 직업별로 다양하게 하지 못한 부분이 아쉽고 변별력에 대한 이해도와 선호도를 설문 조사를 통해 실시하지 못한 점 등이 아쉬운 부분으로 남는다.
참 고 문 헌
- 김상준(논) ‘방송언어의 새로운 인식’ <방송언어 연구논총> 1988
- KBS 한국어연구회 編(단) <21세기 아나운서 방송인되기>중 ‘한국어의 고저장단’(이규항), 한국방송출판 2000년
- 이현복 (논) ‘현대 한국어의 악센트’, 서울대 문리대 학보, 19권 합병호(통권 28호 1973), 113~128
- 이현복 (논) ‘한국어 단음절의 억양 연구’, <언어학 제 1호 한국언어학회131~143 1976
- 이현복(논) ‘현대 한국어 리듬에 관한 고찰: 세대간에 리듬 변동 현상’
<어학 연구 23-2> 서울대 어학 연구소 1987
- 유재원 (논) ‘방송언어의 음성학적 특성과 변천’ <방송언어 변천사> KBS한국어연구회 1988
- 이호영(논) ‘한국어의 리듬’ <한국어 연구 논문 28집> KBS한국어 연구회 1991
- KBS한국어 연구회(논) ‘방송언어의 속도에 대한 연구’ <연구논문 31집>1991년
- 지민제(논) ‘방송언어의 억양에 관한 실험음성학적 연구’<한국어 연구논문
제 35집>, KBS한국어 연구회 1993
- 김선철(논) ‘국어 악센트 연구의 방향’ <언어학 16 한국 언어학회> 1994
- 성철재(논) ‘방송언어 어휘에 대한 언어학적 고찰’ <한국어 한구어연구논문 45집> KBS한국어연구회 1996
- 지민제 (논) ‘한국어 말소리의 길이’ <한국어 연구논문 45집> KBS 한국어연구회 1996
- 김상준(단) ‘방송언어 연구’ <커뮤니케이션 북스>1997
- Daniel.Steinberg (단) ‘심리 언어학 입문’ <한신문화사> 1993
- 중앙 인민 방송국 조선어부 編(단) ‘전파를 타고 40년’ <민족출판사> 1998 중 ‘우리말 한자어의 장 단음’ (김영훈)
- 이창덕 외 共著(단) ‘삶과 화법’ <박이정 출판사> 2000
- 박병채(단) ‘古代國語의 音韻 比較硏究’ <고려대학교출판부>1990년
- 황희영(단) ‘한국어 음운론’ <二友 출판사> 1979
- 변광수 編(단) ‘세계 주요 언어’ <한국외대 외국학 종합연구쎈터> 1993
- 강신항(단) ‘훈민정음 연구’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03
- 김차균(단) ‘음운학 강의’ <태학사> 1998
- 김방한 (단) ‘언어학의 이해’ <민음사> 2001
- 손종섭(단) ‘우리말의 고저장단’ <정신세계사 >1999년
- 김정탁(단) ‘굿바이 구텐베르크’ <새천년> 2000
- Carl Hausmann 외 2인 공저(단) ‘Announcing’ (Broadcast Communicating Today) 2000
- Alexis S.Tan 김규 역(단) ‘매스커뮤니케이션 이론과 연구’ <나남> 1989
- 한국방송 70년사 편찬위원회 편저 (단) ‘한국 방송 70년사 p.p 141, 157’ <한국방송협회> 1997
부 록
<피험자 정보>
성별
연령
직업
1
김윤한

54
아나운서
2
전우벽

57
아나운서
3
유수호

56
아나운서
4
윤영미

44
아나운서
5
김은성

32
아나운서
6
장웅

33
아나운서
7
배창복

30
아나운서
8
원석현

35
아나운서
9
서기철

41
아나운서
10
박현선

25
아나운서
11
최윤락

54
아나운서
12
서방흥

55
연변방송원
13
이명용

57
아나운서
14
김희수

30
아나운서
15
박정미

29
일반인
16
홍소연

32
아나운서
17
신성원

32
아나운서
18
김은혜

23
일반인
19
박주아

28
아나운서
20
김현래

37
아나운서
21
김태규

34
아나운서
22
박태남

45
아나운서
23
지영서

47
아나운서
24
박경희

49
아나운서
25
김정선

26
일반인
26
김미혜

22
일반인
27
정연수

33
일반인
28
이세진

60
아나운서
29
이계진

57
아나운서
30
정도영

59
아나운서
31
한상권

33
아나운서
<대표적인 음성파형의 예>
그림 2-1. 음성 파형( 50대 남성 아나운서 1)
① 戰:爭 (0.181sec)
② 傳統 (0.074sec)
그림 2-2. 음성 파형( 20대 여성 아나운서 3 )
① 戰:爭 (0.161sec)
② 傳統 (0.118sec)
그림 2-3. 음성 파형( 20대 일반인 15 )
① 戰:爭 (0.126sec)
② 傳統 (0.116sec)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1.04.18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68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