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어휘의 시대 반영 양상
2.1 기존 어휘에 시대의미 부여
2.2 시대 어휘 형성
3. 시대 어휘의 활용효과 분석
3.1 표현 전개의 합리성
3.2 의미의 변화와 시대의 변화
3.3 시대 어휘를 통한 생략 효과
3.4 시대 의미를 통한 유머
4. 나가며
參考文獻
中文摘要
2. 어휘의 시대 반영 양상
2.1 기존 어휘에 시대의미 부여
2.2 시대 어휘 형성
3. 시대 어휘의 활용효과 분석
3.1 표현 전개의 합리성
3.2 의미의 변화와 시대의 변화
3.3 시대 어휘를 통한 생략 효과
3.4 시대 의미를 통한 유머
4. 나가며
參考文獻
中文摘要
본문내용
北遵化縣頭號案平反的文章。 譚永祥(1999:72) 참조
위의 문장에서는 역사적인 지식 혹은 시대상황에 대한 지식을 통해서 ‘平反’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平反’은 ‘잘못을 바로잡는다’라는 뜻이지만, 특정 시기에는 ‘右派’ 혹은 ‘反革命’으로 몰린 사람들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뜻으로 전용되었다. 즉 사상적인 무고에서 벗어남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도 무슨 잘못이 바로잡혔는지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43) 那天放學的時候, 接受老師審査以后的曹麗, 向校門走去時鎭靜自若。我注意到子上圍了一塊黑色的紗巾,紗巾和的頭發一起迎風起舞,……。(余華『在細雨中呼喊』)
‘曹麗’는 학교 선생님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자아비판서를 써내고 하교하는 중이다. 그녀의 태도로만 봐서는 그녀의 죄가 그녀의 신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듯 하다. 그러나 이때 그녀의 목에 둘려진 검은 스카프는 그녀의 처지를 암시하고 있다. 스카프는 그녀의 치장을 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것은 당시 모든 유형의 범죄자들에게 붙여지던 ‘黑幇’‘黑五類’ 등 ‘黑’으로 이루어진 단어들과 관련된 상징작용을 하고 있다. 그녀는 죄를 저질렀고 선망의 대상에서 ‘黑幇’의 일원으로 전락했음이 상징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생략된 부분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는 ‘黑色’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통해서이다.
3.4 시대 의미를 통한 유머
어휘가 지닌 시대 의미는 思維의 관성을 지배한다. 申芝言(2002:37) 참조
이러한 관성작용은 시대 의미의 변용에 영향을 미쳐 여러 표현효과를 생성하며, 유머의 생성도 그 중의 하나이다. 즉 관성작용에 의해 시대 의미를 파악하고, 그들의 변용을 바라볼 때 생성되는 웃음이 그것이다. 특히 진지한 지칭대상을 갖는 시대 어휘가, 다른 대상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때 본 의미의 심각성에 비례하여 변용이 가져오는 유머효과는 커지게 된다.
44) 飯上, 一盤炒鷄毛菜, 一盤番茄炒鷄蛋, 一只湯是極淸爽的, 豆腐絲瓜湯。 下課回家用餐的走讀大學生紫云見了,却嘴。 又是“老三篇"? “老三篇"讓人精力充沛? 譚永祥(1999:90) 참조
‘老三篇’은 毛澤東의 어록 3편을 지칭하던 말이다. 일정 시기동안 강조되고 중시되던 ‘老三篇’이 위의 글에서는 음식을 지칭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어휘의 변용은 대상을 달리함과 동시에 성격도 달리하고 있다. 즉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겨운’ 것의 대명사로 쓰인 것이다. 본의를 벗어난 완전한 변용이지만, 본의는 이미 사람들의 이해에 관성적으로 작용된 후이며, 변용과 더불어 유머를 유발한다. 더욱이 뒤에 이어지는 ‘사람의 기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라는 표현은 ‘본의’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될 수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위 문장은 웃음과 함께 풍자도 담아내고 있다. 또한 ‘山河一片紅’으로 중국 증시의 전광판에 쓰여진 붉은 글자를 가리키거나, 흑깨를 이용한 상품들을 ‘黑五類’라는 상표로 출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어휘들은 모두 특정 시대의 강한 정치성을 지닌 어휘들이다. 이러한 강한 정치적 단어가 전혀 무관한 대상을 지칭하는데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명칭들은 사람들이 주지하고 있는 어휘들을 이용함으로서 그 의미의 관성까지 활용하고, 웃음과 더불어 기억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보고 있다.
4. 나가며
시대 배경은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문화배경의 일부이다. 정치적 경제적 격변기일수록 언어에 남겨진 흔적은 강하다. 이러한 흔적은 주로 어휘의 의미에 남게 되며, 사람들의 활용과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시대와 언어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중국어의 시대 어휘와 그들의 활용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대 어휘는 시대가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의미는 어휘가 지닌 이성적인 의미와의 관계에 따라, 시대 의미가 이성의미의 사용을 능가하는 경우, 불특정 시대에서는 이성의미로 전환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시대적 특징은 시대 어휘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침을 살펴보았다. 새로 형성된 어휘의 성질 분석을 통해 시대의 특징, 시대의 중심주제를 살펴볼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시대 어휘들의 활용효과들을 살펴보았다. 시대 의미를 이용한 표현은 문장을 통해 여러 가지 표현 효과들을 드러내고 있다. 논리나 주장의 설득력을 담아 낼 수 있고, 혹은 문장의 전개에 논리적 근거가 되기도 하며, 주지의 시대의미를 통해 생략의 여운을 남길 수도 있다. 또한 지칭대상에 대한 변용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기도 한다.
시대 어휘의 분석은 연구대상을 넓힌 더욱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연구대상의 확대는 표현기교의 분석에도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중국어 표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
〈 參 考 文 獻 〉
郭大松 等 主編(1999),『五十年流行詞語』,山東敎育出版社
郭熙(1999),『中國社會語言學』,南京大學出版社
譚達人(1997),『語言與幽』,三聯書店
譚永祥(1996),『修辭新格』,旣南大學出版社
譚永祥(1999),『筆舌妙品問答』,安徽大學出版社
邢福義 主編(2000),『文化語言學』,湖北敎育出版社
常敬宇(1998),『漢語詞匯與文化』,北京大學出版社
蘇新春(1996),『當代中國詞匯學』,廣東敎育出版社
申芝言(2002), 『漢語詞語文化意義硏究』,復旦大學
姚漢銘(1998),『新詞語社會文化』,上海辭書出版社
黃知常(1996),《‘文革語’今用漫談》,『修辭學習』六期
楊曉黎(2000),《'從成語中,外抽出思緖'-談成語在魯迅小說中的創造性運用》,『修辭學習』一期
陳莎(1996),《廣告中'諧音成語'文化現象透視》,『修辭學習』六期
〈 中 文 摘 要 〉
不同時代的客觀社會生活,影響到該時代的詞語內容,也可以說,詞語的內容足以反映某一時代的社會生活 社會生活中,政治、經濟方面的內容都積澱在詞語里,或以意義方式,或以新詞語方式, 從而使時代詞語具有各樣的時代性質 在理解這些詞語時需要把握其中的時代信息, 旣時代意義 這樣才能完整地理解這些詞語的運用效果,因爲同一詞語在不同的時代可以表達不同的意義 本文將以時代背景爲中心硏究漢語詞語,分析出時代詞語的意義特征,從而試圖解釋時代意義的運用産生出的各種表現效果 希望這對漢語的進一步理解有所幇助
중심어 : 문화, 어휘, 시대 어휘, 시대 의미, 활용
위의 문장에서는 역사적인 지식 혹은 시대상황에 대한 지식을 통해서 ‘平反’의 진정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平反’은 ‘잘못을 바로잡는다’라는 뜻이지만, 특정 시기에는 ‘右派’ 혹은 ‘反革命’으로 몰린 사람들의 명예를 회복시키는 뜻으로 전용되었다. 즉 사상적인 무고에서 벗어남을 지칭하는데 사용되었다. 따라서 구체적인 설명이 없어도 무슨 잘못이 바로잡혔는지 내용을 짐작할 수 있다.
43) 那天放學的時候, 接受老師審査以后的曹麗, 向校門走去時鎭靜自若。我注意到子上圍了一塊黑色的紗巾,紗巾和的頭發一起迎風起舞,……。(余華『在細雨中呼喊』)
‘曹麗’는 학교 선생님과의 부적절한 관계로 자아비판서를 써내고 하교하는 중이다. 그녀의 태도로만 봐서는 그녀의 죄가 그녀의 신상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은 듯 하다. 그러나 이때 그녀의 목에 둘려진 검은 스카프는 그녀의 처지를 암시하고 있다. 스카프는 그녀의 치장을 말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것은 당시 모든 유형의 범죄자들에게 붙여지던 ‘黑幇’‘黑五類’ 등 ‘黑’으로 이루어진 단어들과 관련된 상징작용을 하고 있다. 그녀는 죄를 저질렀고 선망의 대상에서 ‘黑幇’의 일원으로 전락했음이 상징적으로 드러나고 있다. 생략된 부분에 대한 이와 같은 이해는 ‘黑色’에 대한 정치적 해석을 통해서이다.
3.4 시대 의미를 통한 유머
어휘가 지닌 시대 의미는 思維의 관성을 지배한다. 申芝言(2002:37) 참조
이러한 관성작용은 시대 의미의 변용에 영향을 미쳐 여러 표현효과를 생성하며, 유머의 생성도 그 중의 하나이다. 즉 관성작용에 의해 시대 의미를 파악하고, 그들의 변용을 바라볼 때 생성되는 웃음이 그것이다. 특히 진지한 지칭대상을 갖는 시대 어휘가, 다른 대상을 지칭하는데 사용될 때 본 의미의 심각성에 비례하여 변용이 가져오는 유머효과는 커지게 된다.
44) 飯上, 一盤炒鷄毛菜, 一盤番茄炒鷄蛋, 一只湯是極淸爽的, 豆腐絲瓜湯。 下課回家用餐的走讀大學生紫云見了,却嘴。 又是“老三篇"? “老三篇"讓人精力充沛? 譚永祥(1999:90) 참조
‘老三篇’은 毛澤東의 어록 3편을 지칭하던 말이다. 일정 시기동안 강조되고 중시되던 ‘老三篇’이 위의 글에서는 음식을 지칭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 어휘의 변용은 대상을 달리함과 동시에 성격도 달리하고 있다. 즉 ‘중요한’ 것이 아니라 ‘지겨운’ 것의 대명사로 쓰인 것이다. 본의를 벗어난 완전한 변용이지만, 본의는 이미 사람들의 이해에 관성적으로 작용된 후이며, 변용과 더불어 유머를 유발한다. 더욱이 뒤에 이어지는 ‘사람의 기운을 충족시키지 못한다’라는 표현은 ‘본의’에 대한 비판과도 연결될 수 있는 내용이다. 따라서 위 문장은 웃음과 함께 풍자도 담아내고 있다. 또한 ‘山河一片紅’으로 중국 증시의 전광판에 쓰여진 붉은 글자를 가리키거나, 흑깨를 이용한 상품들을 ‘黑五類’라는 상표로 출시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어휘들은 모두 특정 시대의 강한 정치성을 지닌 어휘들이다. 이러한 강한 정치적 단어가 전혀 무관한 대상을 지칭하는데 사용된 것이다. 이러한 명칭들은 사람들이 주지하고 있는 어휘들을 이용함으로서 그 의미의 관성까지 활용하고, 웃음과 더불어 기억이 용이해지는 효과를 보고 있다.
4. 나가며
시대 배경은 언어를 사용하고 이해하는 문화배경의 일부이다. 정치적 경제적 격변기일수록 언어에 남겨진 흔적은 강하다. 이러한 흔적은 주로 어휘의 의미에 남게 되며, 사람들의 활용과 이해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시대와 언어의 상관관계에 근거하여, 중국어의 시대 어휘와 그들의 활용효과에 대해 살펴보았다. 시대 어휘는 시대가 부여하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의미는 어휘가 지닌 이성적인 의미와의 관계에 따라, 시대 의미가 이성의미의 사용을 능가하는 경우, 불특정 시대에서는 이성의미로 전환되는 경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시대적 특징은 시대 어휘의 생성에도 영향을 미침을 살펴보았다. 새로 형성된 어휘의 성질 분석을 통해 시대의 특징, 시대의 중심주제를 살펴볼 수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시대 어휘들의 활용효과들을 살펴보았다. 시대 의미를 이용한 표현은 문장을 통해 여러 가지 표현 효과들을 드러내고 있다. 논리나 주장의 설득력을 담아 낼 수 있고, 혹은 문장의 전개에 논리적 근거가 되기도 하며, 주지의 시대의미를 통해 생략의 여운을 남길 수도 있다. 또한 지칭대상에 대한 변용을 통해 웃음을 유발하기도 한다.
시대 어휘의 분석은 연구대상을 넓힌 더욱 폭 넓은 연구가 이루어 질 수 있다. 연구대상의 확대는 표현기교의 분석에도 다양성을 가져올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궁극적으로 중국어 표현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이해를 이룰 수 있기를 기대한다.
〈 參 考 文 獻 〉
郭大松 等 主編(1999),『五十年流行詞語』,山東敎育出版社
郭熙(1999),『中國社會語言學』,南京大學出版社
譚達人(1997),『語言與幽』,三聯書店
譚永祥(1996),『修辭新格』,旣南大學出版社
譚永祥(1999),『筆舌妙品問答』,安徽大學出版社
邢福義 主編(2000),『文化語言學』,湖北敎育出版社
常敬宇(1998),『漢語詞匯與文化』,北京大學出版社
蘇新春(1996),『當代中國詞匯學』,廣東敎育出版社
申芝言(2002), 『漢語詞語文化意義硏究』,復旦大學
姚漢銘(1998),『新詞語社會文化』,上海辭書出版社
黃知常(1996),《‘文革語’今用漫談》,『修辭學習』六期
楊曉黎(2000),《'從成語中,外抽出思緖'-談成語在魯迅小說中的創造性運用》,『修辭學習』一期
陳莎(1996),《廣告中'諧音成語'文化現象透視》,『修辭學習』六期
〈 中 文 摘 要 〉
不同時代的客觀社會生活,影響到該時代的詞語內容,也可以說,詞語的內容足以反映某一時代的社會生活 社會生活中,政治、經濟方面的內容都積澱在詞語里,或以意義方式,或以新詞語方式, 從而使時代詞語具有各樣的時代性質 在理解這些詞語時需要把握其中的時代信息, 旣時代意義 這樣才能完整地理解這些詞語的運用效果,因爲同一詞語在不同的時代可以表達不同的意義 本文將以時代背景爲中心硏究漢語詞語,分析出時代詞語的意義特征,從而試圖解釋時代意義的運用産生出的各種表現效果 希望這對漢語的進一步理解有所幇助
중심어 : 문화, 어휘, 시대 어휘, 시대 의미,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