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방송보도의 중요성
Ⅱ. 방송보도의 배경
Ⅲ. 방송보도의 연성화
1. 방송 저널리즘에 있어서 탐사보도의 강화를 제안할 수 있다
2. 명목뿐인 윤리강령의 구속력 강화가 필요하다
Ⅳ. 방송보도의 효과
1. 단기적 차원의 인지적 효과
1) 정보나 지식의 전파 및 습득
2) 지식 격차 효과
3) 논제 설정 효과
2. 장기적 차원의 사회화 효과
1) 사회화
2) 현실구성에 미치는 영향
3) 사회제도에 미치는 영향
4) 이데올로기적 효과
Ⅴ. 방송보도와 독점보도
1. 특정 정보나 지식을 아예 묵살하는 방법(supression by omission)
2. 표적을 정해 공격하고, 파괴하는 보도행태(attack and destroy the target)
3. 딱지 붙이기식(labeling) 보도방식
4. 추측보도(preemptive assumption)라는 이름의 왜곡보도
5. 중계식 보도(face-value transmission)
6. 본질 외면식 보도(slighting of content)
7. 가식적 균형(false balancing) 보도
8. 회피 보도(follow-up avoidance)
9. 틀짓기식(framing) 보도
Ⅵ. 방송보도의 문제점
Ⅶ. 향후 방송보도 관련 제언
참고문헌
Ⅱ. 방송보도의 배경
Ⅲ. 방송보도의 연성화
1. 방송 저널리즘에 있어서 탐사보도의 강화를 제안할 수 있다
2. 명목뿐인 윤리강령의 구속력 강화가 필요하다
Ⅳ. 방송보도의 효과
1. 단기적 차원의 인지적 효과
1) 정보나 지식의 전파 및 습득
2) 지식 격차 효과
3) 논제 설정 효과
2. 장기적 차원의 사회화 효과
1) 사회화
2) 현실구성에 미치는 영향
3) 사회제도에 미치는 영향
4) 이데올로기적 효과
Ⅴ. 방송보도와 독점보도
1. 특정 정보나 지식을 아예 묵살하는 방법(supression by omission)
2. 표적을 정해 공격하고, 파괴하는 보도행태(attack and destroy the target)
3. 딱지 붙이기식(labeling) 보도방식
4. 추측보도(preemptive assumption)라는 이름의 왜곡보도
5. 중계식 보도(face-value transmission)
6. 본질 외면식 보도(slighting of content)
7. 가식적 균형(false balancing) 보도
8. 회피 보도(follow-up avoidance)
9. 틀짓기식(framing) 보도
Ⅵ. 방송보도의 문제점
Ⅶ. 향후 방송보도 관련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런 국가 테러리즘은 테러리즘을 발본색원하기보다는 흔히 테러리즘을 증폭시키는 결과를 낳는다. 따라서 언론은 국가 테러리즘에 관한 보도에서 국가의 통제와 애국주의적 압력을 당연시하는 자세는 불식해야 한다. 양식 있는 언론이라면 테러리즘에 대해서도 그리고 국가 테러리즘에 대해서도 이성적이고 비판적인 눈으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또한 언론은 평소에 억압받고 소외된 약자들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 또한 그런 약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그들의 불만을 구제하고 그들의 처지를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언론이 평소에 불만을 가진 약자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불만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테러리즘이 평소의 미국의 일방적 시각에 기반을 둔 저널리즘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한다면, 테러에 관한 보도는 그 테러의 역사적·사회적 맥락, 테러리스트들이 대변하는 약자들의 처지와 주장 등에 관한 설명도 제시해야 한다. 테러리즘 보도가 테러와 테러리스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수밖에 없지만 그들을 제거되어야할 광신적인 극단주의로만 매도하는 부정적인 시각 일변도로 흐르는 것에도 분명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러리즘에 관한 보도는 불만세력의 불만을 구제하기 위한 진지한 논의를 포함해야 한다. 그럴 때에만 테러리즘 보도는 테러리즘을 예방하고 해소하는데 기여하는 건설적인 보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Ⅶ. 향후 방송보도 관련 제언
디지털 시대에는 새로운 윤리규범이 요구된다. 미국 CBS는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면서 뉴욕 타임스퀘어(Time Square)에서 벌어진 대대적인 축하행사를 보도한 생방송 CBS저녁뉴스에서 ‘가상적 이미징(virtual imaging)’기법을 사용해 배경화면에 등장하는 타임스퀘어 대형 전광판 위에 위치한 경쟁사 NBC 로고를 자사 로고로 교체하여 윤리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국내의 경우 2003년 5월 MBC는 중국산 수입생선에서 납이 검출되었다는 뉴스를 전달하면서 실제 장면이 아닌 연출에 의해 의한 납검출 장면을 보도함으로써 문제가 되었다.
방송의 디지털화와 뉴스 부문의 디지털화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도래는 디지털 기술에 의한 시청자 혜택이 기대되는 반면에, 하강곡선을 그려오고 있는 뉴스미디어와 언론전문인의 공신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이들의 공신력 상실을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뉴스 부문의 디지털화는 취재 과정의 변화, 정보의 저장관리접근활용의 변화, 디지털 저장정보에 대한 일반 공중의 접근권 확대, 정보선택과 이용의 확대 등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 뉴스미디어와 언론인의 공신력이 추측예측보도, 선정적 보도, 스캔들루머가쉽 중심적 보도, 오보 등으로 실추되어져 왔고, 개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도입되는 디지털 기술이 신뢰성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많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영상 및 이미지 변형과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이종 매체들과 동종 매체 간 경쟁의 심화는 궁극적으로 광고주를 유인하기 위한 선정주의적 보도의 심화를 초래하고, 속보성의 지나친 강조는 오보를 증가시키는 등 전반적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다채널다매체 상황에서 방송뉴스는 다른 오락성 프로그램들, 다른 ‘선정적’ 매체들과 경쟁해야한다는 점에서 뉴스의 내용과 질적인 면에서 문제성이 심각해질 수도 있다.
- 디지털 영상조작에 대한 언론인시청자의 태도
디지털 영상조작이나 편집에 의해 발생되는 결과는 언론인과 뉴스미디어의 공신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미전문언론인협회의 전회장 스티브 가이만(Steve Geimann)은 “이미지의 변형 및 조작은 궁극적으로 저널리즘에 대한 공중의 불신을 초래하고 증가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관련단체나 협회의 윤리규정(code of ethics)들은 일부 기술적 처리를 제외하고 조작된 사진영상음향을 제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미사진기자협회의 윤리강령은 공중을 기만할 수 있는 어떤 형식(전자적으로 또는 사진암실에서)으로든 사진 내용의 변경은 잘못된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National Press Photographers Association, 1997). 미언론사진기자협회장 마이클 숴러(Michael Sherer)는 어떠한 이미지적 거짓말은 이것이 크건 작건 간에 거짓말이며, 윤리규정의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전미언론인노조 행동강령 11항에 따르면, 사진의 조작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없는 한 변경된 사진이 출판되거나 방영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정상적인 ‘더 굽기’, ‘덜 굽기’, \'색의 균형(color balancing)\', \'스파팅(spotting), \'명암조정(contrast adjustment)\', \'잘라내기(cropping)\', \'법적 안전을 위한 가림(masking)\'은 조작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제시하고 있다(National Union of Journalists, 1998). 엘리어트는 언론인이 공유하고 있는 중요한 가치는 정확성형평성관련성완전성이며, 부수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는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독자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Elliott, 1988). 이미지나 영상의 조작은 이러한 언론인의 공유된 가치를 위험에 처하게 하고, 뉴스소비자들을 의도적으로 속이는 행위가 되며, 언론인들이 행하는 일에 대한 고결성(integrity)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우룡(1993), 뉴스론, 방송보도론, 한국방송학회편, 나남
박종수(1991), 언론보도와 윤리강령, 언론연구원, 언론의 윤리 강령과 보도기준
이경자·이임희 옮김(2000), 방송보도실무, 한울 아카데미
이효성(1991), 방송보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제언, 방송91 3월호
한국방송공사(2000), 방송보도 가이드
한국언론연구원(1997), 대통령선거 취재와 보도
Andrew Boyd(1997), Broadcast Journalism
또한 언론은 평소에 억압받고 소외된 약자들의 목소리를 전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정부 또한 그런 약자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여 그들의 불만을 구제하고 그들의 처지를 개선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언론이 평소에 불만을 가진 약자들의 목소리를 전하는 것만으로도 그들의 불만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결국 테러리즘이 평소의 미국의 일방적 시각에 기반을 둔 저널리즘의 실패를 의미하는 것이라는 점을 인식한다면, 테러에 관한 보도는 그 테러의 역사적·사회적 맥락, 테러리스트들이 대변하는 약자들의 처지와 주장 등에 관한 설명도 제시해야 한다. 테러리즘 보도가 테러와 테러리스트들을 부정적으로 묘사할 수밖에 없지만 그들을 제거되어야할 광신적인 극단주의로만 매도하는 부정적인 시각 일변도로 흐르는 것에도 분명 문제가 있다. 따라서 테러리즘에 관한 보도는 불만세력의 불만을 구제하기 위한 진지한 논의를 포함해야 한다. 그럴 때에만 테러리즘 보도는 테러리즘을 예방하고 해소하는데 기여하는 건설적인 보도가 될 수 있을 것이다.
Ⅶ. 향후 방송보도 관련 제언
디지털 시대에는 새로운 윤리규범이 요구된다. 미국 CBS는 새로운 밀레니엄을 맞이하면서 뉴욕 타임스퀘어(Time Square)에서 벌어진 대대적인 축하행사를 보도한 생방송 CBS저녁뉴스에서 ‘가상적 이미징(virtual imaging)’기법을 사용해 배경화면에 등장하는 타임스퀘어 대형 전광판 위에 위치한 경쟁사 NBC 로고를 자사 로고로 교체하여 윤리적인 논쟁을 불러일으켰다. 국내의 경우 2003년 5월 MBC는 중국산 수입생선에서 납이 검출되었다는 뉴스를 전달하면서 실제 장면이 아닌 연출에 의해 의한 납검출 장면을 보도함으로써 문제가 되었다.
방송의 디지털화와 뉴스 부문의 디지털화에 따른 디지털 미디어시대의 도래는 디지털 기술에 의한 시청자 혜택이 기대되는 반면에, 하강곡선을 그려오고 있는 뉴스미디어와 언론전문인의 공신력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여 이들의 공신력 상실을 가져올 것이라는 우려를 불러일으키고 있다. 뉴스 부문의 디지털화는 취재 과정의 변화, 정보의 저장관리접근활용의 변화, 디지털 저장정보에 대한 일반 공중의 접근권 확대, 정보선택과 이용의 확대 등 긍정적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국내 뉴스미디어와 언론인의 공신력이 추측예측보도, 선정적 보도, 스캔들루머가쉽 중심적 보도, 오보 등으로 실추되어져 왔고, 개선이 전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도입되는 디지털 기술이 신뢰성 회복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지에 대해서는 의문의 여지가 많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은 영상 및 이미지 변형과 조작을 더욱 용이하게 하고, 이종 매체들과 동종 매체 간 경쟁의 심화는 궁극적으로 광고주를 유인하기 위한 선정주의적 보도의 심화를 초래하고, 속보성의 지나친 강조는 오보를 증가시키는 등 전반적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다채널다매체 상황에서 방송뉴스는 다른 오락성 프로그램들, 다른 ‘선정적’ 매체들과 경쟁해야한다는 점에서 뉴스의 내용과 질적인 면에서 문제성이 심각해질 수도 있다.
- 디지털 영상조작에 대한 언론인시청자의 태도
디지털 영상조작이나 편집에 의해 발생되는 결과는 언론인과 뉴스미디어의 공신력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미전문언론인협회의 전회장 스티브 가이만(Steve Geimann)은 “이미지의 변형 및 조작은 궁극적으로 저널리즘에 대한 공중의 불신을 초래하고 증가시키는데 공헌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다.
미국의 경우 관련단체나 협회의 윤리규정(code of ethics)들은 일부 기술적 처리를 제외하고 조작된 사진영상음향을 제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미사진기자협회의 윤리강령은 공중을 기만할 수 있는 어떤 형식(전자적으로 또는 사진암실에서)으로든 사진 내용의 변경은 잘못된 것이라고 규정하고 있다(National Press Photographers Association, 1997). 미언론사진기자협회장 마이클 숴러(Michael Sherer)는 어떠한 이미지적 거짓말은 이것이 크건 작건 간에 거짓말이며, 윤리규정의 위반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전미언론인노조 행동강령 11항에 따르면, 사진의 조작에 대한 정확한 설명이 없는 한 변경된 사진이 출판되거나 방영되어서는 안 된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정상적인 ‘더 굽기’, ‘덜 굽기’, \'색의 균형(color balancing)\', \'스파팅(spotting), \'명암조정(contrast adjustment)\', \'잘라내기(cropping)\', \'법적 안전을 위한 가림(masking)\'은 조작의 범주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제시하고 있다(National Union of Journalists, 1998). 엘리어트는 언론인이 공유하고 있는 중요한 가치는 정확성형평성관련성완전성이며, 부수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치는 다른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으며 독자들이 원하는 것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말하고 있다(Elliott, 1988). 이미지나 영상의 조작은 이러한 언론인의 공유된 가치를 위험에 처하게 하고, 뉴스소비자들을 의도적으로 속이는 행위가 되며, 언론인들이 행하는 일에 대한 고결성(integrity)에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것이다.
참고문헌
김우룡(1993), 뉴스론, 방송보도론, 한국방송학회편, 나남
박종수(1991), 언론보도와 윤리강령, 언론연구원, 언론의 윤리 강령과 보도기준
이경자·이임희 옮김(2000), 방송보도실무, 한울 아카데미
이효성(1991), 방송보도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제언, 방송91 3월호
한국방송공사(2000), 방송보도 가이드
한국언론연구원(1997), 대통령선거 취재와 보도
Andrew Boyd(1997), Broadcast Journalism
추천자료
[위성방송지상파재송신]위성방송지상파재송신의 논의, 위성방송지상파재송신의 시작, 위성방...
경인방송(iTV)의 실패배경과 경인방송(iTV)의 새방송 역할, 경인방송(iTV)의 새방송 논란 및 ...
디지털방송(디지털TV) 전송방식의 개념, 디지털방송(디지털TV) 전송방식의 변천과 변경 효과,...
[방송심의][방송심의규정][심의규정][방송][방송법]방송심의(방송심의규정)의 의의와 방송심...
지상파방송운용시간의 규제 근거, 지상파방송운용시간의 연장 요구, 지상파방송운용시간의 규...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의미,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특징,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형태, ...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정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특성, 인터...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의미,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기술 동향,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
인터넷방송(웹캐스팅)개념, 인터넷방송(웹캐스팅)유형, 인터넷방송(웹캐스팅)특성, 인터넷방...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교육적 기능, EBS교육방송의 활용, EBS교육방송의 여건조...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의의와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역사, 인터넷방송국의 정의, ...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개념과 성격, 인터넷방송(웹캐스팅)의 중요성과 절차, 인터넷방송(웹...
인터넷방송(웹캐스팅) 개념과 분류, 인터넷방송(웹캐스팅) 성격과 구조, 인터넷방송(웹캐스팅...
EBS교육방송의 의의, EBS교육방송의 특징, EBS교육방송의 공익적기능, EBS교육방송과 국어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