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행사-태내기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 1

Ⅱ. 본론 •••••••••••••••••••••••••••••••••••••••••••••••••••• 2

1. 태내기란? •••••••••••••••••••••••••••••••••••••••••••••• 2

2. 태내기의 발달과정 ••••••••••••••••••••••••••••••••••••• 2
1)발생기
2)배아기
3)태아기

3. 출산 ••••••••••••••••••••••••••••••••••••••••••••••••••• 9
1)출산 징후
2)출산의 과정
3)출산시의 문제점

4. 분만법 •••••••••••••••••••••••••••••••••••••••••••••••••• 11
1)태아에게 긍정적 영향을 끼치는 분만법
2)태아에게 부정적 영향을 끼치는 분만법

Ⅲ. 태아와 관련된 이슈 ••••••••••••••••••••••••••••••••••••• 17

Ⅳ. 결론 •••••••••••••••••••••••••••••••••••••••••••••••••• 25

참고 ••••••••••••••••••••̶

본문내용

하라고 쓰여 있다.
미국의 캘리포니아-샌프란시스코 대학(UCSF)에서 연구된 바에 의하면, 음향자극검사를 하면서 초음파 촬영을 하였더니, 태아가 양수를 삼키는 것이 관찰되었다는 것이다. 그들은 약 75 데시벨의 음향진동을 임부의 복벽을 통하여 5초간 태아에게 전달하였는데, 이러한 음향진동에서 태아가 양수를 삼키는 것이 관찰된 것이다. 더욱이 태아가 한번 삼킨 양수는 다시 자궁 내로 되돌아오지 않고 결국 전체 자궁 내 양수의 양을 줄인다는 것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산부인과교과서에서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인용하여 '양수과소증'일 때는 이러한 검사를 하지 말거나, 또는 하더라도 주의 깊게 시행하라고 가르치고 있는데, 이것은 아주 중요한 현상으로서 의과대학생들이 졸업하여 치르게 되는 의사자격 국가시험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문항이다. 자궁외부의 소음과 자궁 안의 양수의 양, 관계가 없을 것 같은 이 두 가지가 이렇게 밀접한 관계를 보이는 것이다. 자궁 안에서 양수의 역할이 참으로 중요하다는 것은 이미 이야기하였다. 양수는 태아발달의 근본이 된다. 태아의 건강검사 중에서 '생물리학적 계수'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주로 초음파로 촬영한 태아의 각종 기능을 분석하여 태아의 건강상태를 판정하는 검사인데, 다섯 가지의 평가 요소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자궁내부의 양수의 양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자궁 내 양수의 양을 정확히 측정하고자 하는 다양한 방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아직도 정확한 방법은 없으며 대부분 초음파 촬영에 의존하고 있다. 하여튼 이렇게 태아에게 중요한 양수가 외부소음으로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은 중요한 발견이었다. 소음은 그 자체로서 임부를 괴롭힐 뿐 아니라 만성스트레스를 만들어 이차적으로 태아를 괴롭힌다. 만성스트레스에 시달리는 임부들이 대부분 저체중아를 낳는다는 연구보고는 허다하다. 저 체중아 뿐만 아니라 각종 고위험 임신이 발생되는데 임신중독증, 유산 및 조산이 그것이다. 이렇게 고위험 임신이 증가하는 이유는 양수의 양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다. 현 단계에서, 임부의 스트레스는 우선 양수의 양을 줄이고, 그 다음에 태아의 발육을 방해하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또한 양수가 적어질수록 외부소음에 대하여 자궁 내 양수에 의한 보호효과도 감소되므로 더욱이 외부에서 큰소리를 내면 안 되는 것이다. 소음은 결과적으로 임부나 태아에게 득이 될 것이 하나도 없다. 모든 결과가 임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우리가 소음을 간단히 보아 넘기지 못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태교의 시작은 소음이 없는 환경에서 출발하여야 한다. 태교에 관한한, 소음 없는 환경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Ⅳ. 결론
수정에서 출생까지 280여 일간의 기간 동안 태내에서는 매우 빠른 속도로 발달이 진행된다. 따라서 이 기간 동안 환경적 요인이 태아의 발달에 미치는 영향력도 상대적으로 크다고 할 수 있다 태내기는 비록 짧은 기간의 변화이지만 태내 발달은 태어나서 생을 마감 할 때 까지 삶의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태내 발달을 위한 최적의 태내 환경을 제공하고 출산을 준비 한다면 아기들이 보다 건강하게 태어날 수 있도록 도와 줄 수 있을 것이다.
임부가 건강한 태아를 출산하기 위해서는 인간에게 끼쳐지는 태내의 부정적인 영향들을 사전에 배제하여야 하고 건강한 태아를 출산하기 위하여 수정이전의 환경인 정자와 난자의 생성시기부터 엄격한 신체관리가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인간 형성의 기초단계인 수정에서부터 시작하여 출산까지의 발달과정에서 태아나 임부는 개인의 면역력 및 환경 적응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환경에 대해서 매우 민감하게 반응하게 된다. 10개월의 발달 과정 중에 모체에게 영향을 미치는 환경의 영향 정도에 따라 모체와 태아는 긍정 혹은 부정적 변화의 가능성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일련의 환경은 모체가 환경을 통제 할 수 있는 가능성 내에 있기도 하지만 통제 불능, 즉 이미 모체가 불안한 환경이라는 것을 가르쳐 주기도 하였으며 태아 환경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의 하나인 식품은 건강한 태아를 낳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서구문화에 익숙해져있는 현대인들의 선택인 패스트푸드를 대신하여 친환경적인 음식물을 섭취하여야 한다. 또 모체는 태아환경을 고려하여 환경호르몬이 배출되는 환경에 노출되지 않게 해야 한다. 일회용품을 사용하지 않으며 모체에게 외부적으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가정환경을 친 환경적으로 바꾸는 것이 중요하겠다.
사회가 급속도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더 많은 환경오염이 발생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하지만 개인이 할 수 있는 영역은 한계가 있기 때문에 태아에 관련된 문제를 국가적으로 관리하고 나서는 것이 아주 중요한 과제일 것이다.
참고문헌
* 정옥분, 2004.『영유아 발달의 이해』, 학지사
* 정옥분, 2002.『아동발달의 이해』, 학지사
* 조복희, 2006.『아동발달』, 교육과학사
* 파파리아, 1996.『인간발달』, 교육과학사
* 최민희, 2001.『똥을 누는 아기』, 다섯수레 출판사
* 박문일, 1999.『태교는 과학이다』, 한양대학교 출판부
* nelson-hall, 1995.『alcoholism treatment』 , Wadsworth
* 하은희, 2001.『 시민의 건강과 생명을 위협하는 대기오염 』, 대기건강 자료집, 20~29
* 네이버 카페 (http://cafe.naver.com/imomshinsegae) [신세계백화점 본점 유아휴게실]
(http://cafe.naver.com/charmlove) [참사랑 어머니회]
* 김종현 교장선생님 홈피 (http://w1.hompy.com/hope888/k006.htm )
* 인터넷 신문 - [ 디지털타임스 2004-10-21 10:59]
[ 파이미디어 2006-09-13 16:40]
* 홈페이지 - http://www.eandh.org [환경호르몬 노출 시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http://www.hira.or.kr/cms/rg/rgb/pds_09/1185797_1276.html?MD=02_09 [건강보험 심사 평가원], 2005. 제왕절개분만 적정성 평가결과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11.04.21
  • 저작시기201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0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