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공학과 생산계획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附 加 價 値

1-3 시스템의 槪要

1-4 시스템 철학

1-5 시스템 경영 (Systems management)

1-6 System analysis

3-2 생산량과 품종의 관계

2-1 생산시스템과 기술

글로벌 경영환경

3-1 생산형태의 관리체계

3-3 規模의 經濟 (economy of scale)

5-3. 마케팅(MARKETING)의 개요

5-4 製 品 壽 命 週 期

7-3 선형 중회귀 분석 (獨立變數가 2인 경우)

8 제품의 개발과 설계

8-1 新製品의 導入戰略

8-2 제품의 정의

8-3 제품결정의 의의

8-4 신제품의 아이디어 창출

8-5 도면과 규격

8-6. 기능설계시 고려사항

8-7 생산설계시 고려사항

10-6 유연 생산시스템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FMS)

10. 工 程 設 計

10-1 生産工程의 결정(工程決定)

10-2. 生産의 흐름분석 (工程分析)

10-3 제품설계와 공정설계의 상호작용

8-6 셀 제조(Celluar Manufacturing)

본문내용

s of mechanization)로 특징지워진다. 즉 공정에 따라서 전문공정설비를 가지고 고도로 자동화된 공정이 있는가 하면, 어떤공정들은 계속해서 범용설비에 의존한다. 이 단계는 자동화의 증대와 함께 제품과 공정이 표준화되는 단계로 볼 수 있다.
(3) 段階Ⅲ: 完全自動化 段階
제품이 성숙단계에 이르면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진다. 만족스러운 납품과 품질수준을 유지하면서도 표준화가 보다 더 요구되고 원가 절감보다 더 중점이 주어진다. 이시점에서는 공정이 고도로 통합되고 자동화된다. 제품과 공정이 상호 의존적이 되고 분리하기가 곤란해짐에 다라 제품이 일부라도 변경되몬 극히 어려울뿐만아니라 비용도 많이 들게 된다. 이 단계에 있는 공정의 예로는 자동차조립라인, 화학공장, 식품가공업체, 그리고 전화회사와 같은 서비스부문을 들 수있다.
[그림]는 제품-공정간의 상호작용 및 발전과정을 보여 주고 있다. 초기에는 제품혁신이 크지만 제품이 성숙해 감에 따라 제품혁신은 쇠퇴하는 반면, 일단 제품이 표준화되면 공정혁신은 증가한다. 성숙단계에서는 제품과공정이 서로 얽히고 변경이 어렵게 되면서 제품혁신 모두가 쇠퇴한다.
(그림) 제품 - 공정혁신의 동태적 모형
(그림) Computerised elements of a CIM system
신속성
요즈음과 같은 제조 환경하에서 유연성은 가장 중요한 제조전략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에 대처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또 하나는 신속성(agility, business speed)이다. 신속성이란 급변하는 시장의 요구에 재빨리 대응할수 있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는 환경변화를 전략의 전개에 적용시키는 시간, 소비자의 요구를 파악하여 제품화까지 걸리는 시간, 연구개발에서 제품화까지 걸리는 시간, 그리고 제품화된 것을 양산화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리될 수 있다. 이러한 비즈니스 속도는 자동화에 의한 생산활동과 더불어 연구개발활동, 판매활동등 제조기업의 기본활동을 기업전체의 관점에서 하나의 정보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이를 전략화함으로써 추구 될 수있다. 따라서 유연성이 FMS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생산시스템에 주안점이 주어진다면 신속성은 제조업 전체의 관점에서 판매, 개발, 제조,보전에 이르는 여러활동과 이에 수반되는 정보의 흐름을 컴퓨터에 의하여 통합 처리하는 시스템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이는 제조업의 기본전략 시스템으로서 CIM으로 명명될수있다.
8-6 셀 제조(Celluar Manufacturing)
제품의 종류가 더욱 다양해지고 생산량도 소량, 중량, 대량으로 다양하며 총생산량이 큰 경우에는 제조 시스템을 몇 개의 제조셀(cell)로 구성하여 각각의 제조 셀이 규모, 범위, 기능에 있어서 특수한 기능을 보유하도록 설계된제조시스템을 셀룰러 제조시스템(Celluar Manufacturing System)이라고 한다. 제조 셀의 구성은 시간에 따른 수요의 변화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셀 제조 방식은 최초공정에서 최종공정까지를 한사람 또는 소수의 작업자가 담당하여 완제품을 만들어내는 자기완결형 생산방식이다. 따라서 과거제조공정의 상식이었던 컨베이어 라인에 의한 대량생산방식과는 전혀 다른 생산방식으로서 다음과 같은 특성이 있다.
첫째, 여러명의 작업자가 컨베이어 라인의 흐름에 따라 세분화된 공정만을 수행하는 기계설비 중심의 타율생산방식에서 숙련된 작업자가 컨베이 어 라인이 없는 셀 내에서 전체 공정을 담당하는 사람중심의 자율생산 방식으로 변화이다.
둘째, 라인 생산방식에서는 생산기종이나 모델의 변경에 따른 많은 준비시 간이 걸리는 반면, 셀 방식에서는 각 셀이 별도로 서로 다른 기종이나 모 델을 생산 할수 있어 다양한 고객의 욕구를 충족시키기에 적합하다.
셋째, 라인 생산체제에서는 여유있을 때 많이 생산하여 재고로 쌓아두는 방 식으로 , 재고비용이 늘어나고 자금압박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이러 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로트(lot) 중심의 생산 또는 단 위(낱개)생산방식으로 바뀌어야 하는데 , 이것이 셀 생산방식의 궁극적 목표인 ‘ 주문형 생산(Build to Order)' 체제이다
넷째, 컨베이어 라인에서는 가장 능력이 부족한 작업자에 맞추어 라인의 속 도가 정해지고 라인의 일부가 정체되거나 문제가 생기면 전체 공정에 영 향을 미치기 때문에 작업자 능력활용상의 손실이 크다. 1인 셀 생산 방식 에서는 이러한 능력 활용상의 로스가 완전히 없어진다.
다섯째, 기존의 라인에서는 작업자들이 세분화된 단일 공정만을 담당하기 때문에 자신이 얼만 큼 생산했는지를 알 수가 없다. 따라서 일에 대한 만족감이나 성취감을 느끼기가 힘들다. 반면 셀 방식에서는 자기 완결 형생산 특성으로 인해 작업자들이 성취감이나 만족감을 얻기 쉬우며, 그것은 결국 품질 및 생산성향상으로 연결될 수 있다.
.
: 셀 내의 작업자의 이동경로 DP : Drill press
: 부품의 이동경로 L : Lathe
① : 작업번호 및 작업자 위치
HM : Horizontal milling machine
VM : Vertical milling machine
<그림 > 샤프트 제조를 위한 가공 셀
셀 생산방식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1) 셀 생산방식의 적용이 적합한 제품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품 구조상 고도의 정밀성이나 균일성을 요구하여 사람보다는 기계/설비의 비중 이 큰 제품, 또는 너무 크거나 무거워서 작업자가 쉽게 다루기가 어려운 제품에는 적용이 곤란하다.
(2) 작업자들이 쉽게 생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 시스템측면에서 보완한다.예를 들면, 자재부품의 표준화 구매 프로세스의 간소화 및 신속 화, 실시간(real time) 정보시스템 구축 등의 사전 정비가 있어야 한다.
(3) 작업자들을 숙련된 다 기능공으로 육성하고 작업의욕과 성취감을 지속시 킬 수 있는 인센티브 제도를 확립한다.
(4) 가장 중요한 점은 자율경영의 사고(思考)등이 요구된다. 셀생산방식에서 는 리드 타임이 다르고 작업자의 의욕이나 능력수준도 서로 다르다. 따라서 중앙에서 계획하고 통제하기 보다는 작업자들이 스스로를 판단하고 작업할 수 있는 자율경영의 분위기가 조성되어야 한다.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1.04.26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26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