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향가 작품 분석과 감상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춘향가 작품 분석과 감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줄거리와주요장면.
2. 인물탐구.
3. 요점정리.
4. 이해와 감상

본문내용

다. 다소 능청스러운 면도 있습니다.
(3)월매:수다스럽고, 주견이 없으나, 모성애가 강하고 현실 추구적인 인물입니다. 춘향과 대조적인 인물로 설정하여 춘향의 성격을 선명히 부각시켜주는 구실도 합니다.
(4)향단:의리와 분별력이 있고, 다정다감하며, 충직한 전형적인 계집종 형입니다.
(5)방자:쾌활하고 악의가 없으며 충직하나 한편으로 양반의 약점을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인물.('배비장전'에서 배비장을 공격하는 방자, '적벽가'에서 조조를 공격하는 정욱, 탈춤에서 양반(샌님)을 공격하는 말뚝이 등과 같은 유형의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6)변사또:권력자로 인물, 풍채가 활달하고 풍류도 있으나 성질이 괴팍하고 급하며 고집이 세고 광기조차 있는 인물입니다. 극악무도한 인물이라기보다 어리석은 인물이고 철저한 증오의 대상이라기보다 혐오와 조소의 대상입니다. 곧, 탐관적 위선형, 색정에 눈먼 망집형, 허풍선이, 자기 과시형이라 할 수 있습니다.
3.요점정리.
연대 : 미상
작자 : 미상(未詳)
갈래 : 판소리 사설
성격 : 염정적, 해학적, 서사적, 풍자적, 비판적
표현 : 산문과 운문의 혼합. 현재형 구어체, 담화체
시점 : 전지적 작가 시점
제재 : 암행 어사 출두
주제 : 계급 의식을 초월한 사랑[열녀 춘향이 표면적 주제라면, '신분 갈등을 통한 인간 해방 사상'은 이면적 주제라고 할 수 있다.]
① 봉건 사회의 기성 도덕을 깨뜨리고 남녀간의 자유 연애 사상
② 계급 타파( 기생의 딸도 양반의 부인이 될 수 있다는 결혼관)와 신분 상승 의지
③ 정조 관념 고취(烈女不更二夫의 思想)
④ 인간의 존엄성과 인권 옹호
⑤ 탐관 오리에 대한 서민의 저항과 위정자의 반성 촉구
구성 : '발단 - 전개 - 위기 - 절정 - 결말'의 5단 구성 / 추보식 구성을 통한 사건 전개
발단 : 몽룡이 광한루에서 그네 뛰는 춘향의 화용월태(花容月態)에 반하여 백년 가약을 맺음
전개 : 서울로 영전한 부친을 따라 몽룡은 떠나가고 춘향은 변사또에게서 옥고를 치르고, 그 동안 이몽룡은 과거에 급제하고 암행어사가 되어 남원으로 내려옴.
위기 : 춘향의 옥고
전환 : 변사또의 생일 잔치에 몽룡이 어사출도를 외치고 춘향을 구함.
결말 : 춘향 모녀를 서울로 데리고 가 춘향을 정실 부인으로 맞아 영화로운 일생을 보냄
특징 : 춘향가는 춘향전의 창자에 의해서 다소 윤색되고 상황에 따라 가감되기도 한다.
줄거리 : 남원 부사의 아들 이몽룡과 월매의 딸 성춘향이 서로 사랑하다가, 남원부사가 임기를 끝내고 서울로 돌아가자 두 사람은 이별한다. 춘향이 남원 신임사또의 수청을 거절하다가 옥에 갇혀 죽을 지경에 이른다. 이때 전라 어사가 되어 돌아 온 이몽룡이 춘향을 구한다.
근원 설화 : 열녀 설화인 지리산녀 설화, 도미 설화, 추녀 신원 설화인 남원 추녀 설화와 아랑 설화가 있고, 염정설화인 성세창 설화, 암행어사 설화인 박문수 설화, 관탈민녀 설화 등이 있다.
판본 : 이본이 8본, 사본이 약 20여종, 활자본이 50여종, 번역본이 7종 내외로 춘향전은 이본이 100여 종이나 된다.
4.이해와 감상
‘춘향가’는 판소리 다섯 마당 중 사설의 서사적 구조나 서술이 가장 예술성이 높고청중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아온 마당이다. 사설과 창의 길이도 긴 것은 8시간이 넘는다고 한다. 춘향가의 근원설화로 제시 되고 있는 것은 열녀설화, 신원설화, 염정설화, 암행어사설화등과 조선 영조 초기에 민간에 흘러다니는 야담이나 설화가 판소리 광대에 의해 노래로 불려지면서 형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하는 사람들도 있다.
나는 ‘열녀춘향수절가’를 읽으면서 한 가지 의구심이 들었다. 구비로 전해저 내려오는 춘향전과는 다른 내용들이 다수 있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또 하나는 구비로 전해지는 춘향가와 열녀춘향수월가라는 작품과 어떤 것이 정말 내용을 담고있는지 의구심이 들었으며, 구비로 듣던 춘향가에선 정말 춘향이가 열녀일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하지만 열녀춘향수절가를 읽어보고 조사하면서 그런 의구심이 어느정도 사라지게 되었다.
이 책을 읽어보면 왜 청중들의 사랑을 가장 많이 받았는지 알 수 있다. 오래전부터있었던 판소리 레퍼토리이지만 이도령과 춘향의 사랑이야기와 월매, 향단, 방자가주는 재미도 쏠쏠했다. 책은 왼쪽은 원판, 오른쪽은 현대어로 해석되어 나오는데 현대어로 풀이되어있는 책을 읽어도 어려운 내용이 많았다. 누군가 원판의 내용과 전하고자하는 것을 건들이지 않고 더욱 쉬운 현대어풀이를 해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남았다.
  • 가격1,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4.27
  • 저작시기201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24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