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식업(양식어업)의 정의, 양식업(양식어업)의 경영목적, 양식업(양식어업)의 현황, 양식업(양식어업) 양식종선택, 양식업(양식어업) 양식장관리, 양식업(양식어업) 위험과 대책, 양식업(양식어업) 내실화 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양식업(양식어업)의 정의, 양식업(양식어업)의 경영목적, 양식업(양식어업)의 현황, 양식업(양식어업) 양식종선택, 양식업(양식어업) 양식장관리, 양식업(양식어업) 위험과 대책, 양식업(양식어업) 내실화 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양식업(양식어업)의 정의

Ⅲ. 양식업(양식어업)의 경영목적

Ⅳ. 양식업(양식어업)의 현황
1. 어장현황
1) 해면양식
2) 내수면양식
2. 양식어업
3. 종묘개발 및 생산

Ⅴ. 양식업(양식어업)의 양식종선택
1. 산란 습성(Reproductive Habits)
2. 난과 유생의 조건(Requirement Of The Eggs and Larvae)
3. 섭식 습성(Feeding Habitat)
4. 밀식에 대한 적응(Adaptability To Crowding)

Ⅵ. 양식업(양식어업)의 양식장관리
1. 현황 및 문제점
1) 품종별 양식장 이용실태
2) 현행 양식장 관리제도의 특징
3) 현행 양식장 이용관리상의 문제점
2. 기본방향
3. 세부 추진방안
1) 어업권을 어장이용권으로 개편
2) 구조조정을 촉진하기 위한 방향으로의 개편
3) 양식어업 특성에 따른 어장관리의 차별화
4) 양식업에 있어 자율관리방안
5) 품종별 면허에서 구획별 면허제도로 개선
6) 어장관리의 효율화 방안
4. 추진일정 및 기대효과
1) 추진일정
2) 기대효과

Ⅶ. 양식업(양식어업)의 위험과 대책
1. 영향을 미치는 위험
1) 자연적 위험
2) 경제적 위험
3) 인위적 위험
2. 위험에 대한 대책

Ⅷ. 향후 양식업(양식어업)의 내실화 방안
1. 양식어업의 촉진
1) 새로운 양식어장 개발 및 개발어장의 효율적 이용
2) 개발 가능어장 고시 및 매립·간척 등 제한
3) 복합 양식단지 개발
4) 해역 특산단지 개발 및 수출단지 조성
5) 첨단 양식기술 개발 보급
6) 저비용․고효율 사료의 안정적 공급
7) 양식생물 질병 관리
2. 수산자원의 획기적 증강
3. 어장환경 보전 및 개선
1) 연안어장 정화·정비
2) 관계부처와 협의 육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의 체계적 관리
3) 연안어장 환경 관리체계 구축
4. 어업자원관리센터 설치 운영

Ⅸ.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양식어장 자체의 밀식에 의한 자가오염피해 등이 있다.
2. 위험에 대한 대책
양식어업에는 경제적인위적 위험 이외에도 자연재해로 인한 위험이 타 산업에 비해 많으므로 이들 위험을 회피하기 위한 다양한 대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현행 대책으로는 자연재해대책법 및 농어업재해대책법에 의한 국가의 지원, 가해자의 피해보상 혹은 손해배상, 정부의 비축에 의한 가격안정사업 등이 있다. 이들 대책들은 실질적 재생산을 위한 대책으로는 미흡하며, 일상적 위험에 대한 대책으로서도 부족하기 때문에 보다 합리적인 대책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 대책으로서 고려될 수 있는 것이 보험(공제)제도이다. 현대사회는 보험이 보편화 되어 있어 위험이 있는 곳은 보험이 있다고 할 정도로 보험의 경제적 안정 역할은 크다. 그러나 위험의 정도가 너무 크면 도리어 보험이 형성되지 않는 역설적인 면이 있어 양식물에 있어서도 아직까지 원활한 보험시장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양식업에 영향을 미치는 자연재해는 대부분 인위적인 예방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이들 재해에 대한 대책은 자연히 사후대책이 중심이 되지 않을 수 없고 사후대책의 일환으로서 보험은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Ⅷ. 향후 양식업(양식어업)의 내실화 방안
1. 양식어업의 촉진
1) 새로운 양식어장 개발 및 개발어장의 효율적 이용
미개발 및 외해 어장의 특산품종 위주 개발과 기반시설, 기존 어장의 시설변경 등을 지원
2) 개발 가능어장 고시 및 매립·간척 등 제한
O 새로운 어장개발 가능해역 등을 개발 예정지구로 고시하여 체계적 어장개발
O 일반해역도 불가피한 경우 이외는 매립간척 억제
3) 복합 양식단지 개발
일정 해역 또는 육지에 양식자원조성레저 및 판매시설 등을 시설하여 복합개발
4) 해역 특산단지 개발 및 수출단지 조성
O 해역별 특산 전략품종을 선정, 육성 관리하여 경쟁력 제고 및 고부가가치화
O 수출 유망 양식 수산물 생산해역을 수출단지화하고 수출전략 품종을 선정하여 집중 지원
5) 첨단 양식기술 개발 보급
새로운 양식품종 개발 및 품종개량, 환경친화적 양식기술 개발 등
6) 저비용고효율 사료의 안정적 공급
O 불법어업과 관련이 많은 생사료 문제 해결을 위한 저오염·저가·고효율 사료를 개발 보급 및 원활한 사료공급을 위해 생사료에 대한 수입확대 방안 검토
7) 양식생물 질병 관리
O 국립 어병센터 설치운영, 질병예방 및 치료기술개발·보급, 수산용약제관리법 제정
2. 수산자원의 획기적 증강
□ 海中林, 인공 湧昇礁 및 湧昇山脈, 消波堤 시설 등으로 안정된 해양생태계 및 인위적인 어장 조성
□ 인공魚礁 시설확대와 사후관리 강화
□ 해역 특성에 맞는 바다牧場 확대 조성
O 1단계 : 5개소 시범 개발운영(동서남해 및 제주도)
O 2단계 : 단계적으로 전 연안으로 확대
□ 수산種苗 방류 확대
국도립 배양장 시설확충 및 업무특화를 통한 종묘 대량 생산방류와 민간 매입방류 확대
3. 어장환경 보전 및 개선
1) 연안어장 정화·정비
O 일반어장과 양식어장을 통합하여 광역정화 체제로 전환하고 사후관리 강화
O 해군 등 관계기관과 협력, 획기적이고 대대적인 침체어망 수거 작업 실시
2) 관계부처와 협의 육지에서 유입되는 오염원의 체계적 관리
O 해양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지역에 환경기초시설의 설치 확대
O 환경오염이 심화된 해역을 특별관리 해역으로 지정하여 육상 및 해상의 오염원을 체계적으로 관리
O 해양오염 배출원에 대한 감시감독 강화 및 오염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
3) 연안어장 환경 관리체계 구축
연안어장 환경 조사후 해역을 구분 지정(어장관리해역, 어장관리특별해역)하고 해역별 환경상태에 따라 관리
4. 어업자원관리센터 설치 운영
O 한일 어업자원관리센터를 설치하여 수산종묘의 양산기술 개발방류 및 기르는 어업 기술 향상
O 연근해 수역과 동중국해 등 동북아 수산자원 공동 조성 관리
Ⅸ. 결론
어류 양식업자는 광어, 방어, 돔 등의 치어(갓 부화시킨 물고기)를 육지의 수조나 바다 속의 그물 안에서 기르게 된다. 치어는 자체적으로 생산하는 경우도 있으며, 전문적으로 치어만을 생산하는 종묘생산업자로부터 구입하는 경우도 있다. 육지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방식을 육상수조식이라 하는데 이는 육상에다 고기를 기를 수 있는 수조를 만들어 바닷물을 끌어올린 후 물고기를 기르는 방식이다. 양식업자는 배합사료나 정어리와 같은 생사료를 먹이로 주며, 수조내의 온도변화나 수질, 수조바닥의 청결 상태 등을 관리해야 한다. 바다 속의 그물 안에다 양식하는 방식을 해상가두리식이라 하는데 이는 가까운 바다에 물고기를 가둘 수 있는 타원형의 그물을 만들어 그 속에서 기르는 것이다. 이 방식은 천연적인 수중환경 속에서 양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기후 변화나 악천후 등에 적절히 대처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패류는 굴, 홍합, 전복과 같은 조개류를 말하며 양식업자는 치패(어린 조개)를 자체 생산하거나 종묘업자로부터 구입하여 기르게 된다. 양식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일반적으로 밧줄에 부착시키거나 그물 또는 바구니 등에 넣어서 가까운 바다 속의 자연 상태에서 기른다. 굴의 경우는 굴껍질을 뗏목 같은 곳에 부착시킨 후 껍질속에 굴의 치패를 넣어 양식하기도 하며 전복과 같이 육상에서 양식하는 경우도 있다.
해조류 양식은 비교적 관리나 양식방법이 수월한데, 일반적으로 김이나 미역 등의 씨앗을 그물 또는 밧줄 등에 부착시켜서 바다 속의 자연 상태에서 자라게 한다. 김의 경우는 9월 정도에 씨앗을 붙여 12월부터 3월경까지 자라난 김을 채취한다. 미역의 경우는 1년이나 2년 정도 자라게 한 후 채취하여 생산하게 된다.
기타 수생동물에는 우렁쉥이, 새우, 미더덕 등이 있으며 양식방법은 품종마다 다양하나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어패류나 해조류와 비슷한 절차를 거쳐 생산하게 된다.
참고문헌
강제원·고남표, 해조양식, 부산 : 태화출판사, 1977
남해 수산 종묘 배양장, 패류 인공 종묘 생산 및 관리, 1996
부산 수산 대학, 천해 양식, 1996
제주대학교, 수산양식(하), 대한교과서(주), 1998
조규대, 이동식 가두리, 양식공학, 부경대학교 해양산업개발연구소, 태화출판사, 1996

키워드

  • 가격6,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5.04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41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