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 서론
Ⅱ. 윤백남의 역사소설
1. 역사소설의 개념과 창작 배경 및 의의
2. 윤백남 역사소설에 대한 평가
Ⅲ. 『대도전』
1. 『대도전』의 서사구조
2. 『대도전』의 인물
3. 『대도전』의 문학사적 의의
Ⅳ. 결론
참고문헌
Ⅱ. 윤백남의 역사소설
1. 역사소설의 개념과 창작 배경 및 의의
2. 윤백남 역사소설에 대한 평가
Ⅲ. 『대도전』
1. 『대도전』의 서사구조
2. 『대도전』의 인물
3. 『대도전』의 문학사적 의의
Ⅳ.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용은 다음과 같은 점을 들어 높이 평가하고 있다. ‘『대도전』에서 그는 고려말기 학정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실의와 좌절감 관리들의 탐학한 착취 속에서 그들을 구원할 수 있는 영웅의 출현을 통해 그의 “저항정신”을 드러내고있다’. 더 나아가 ‘그의 역사소설은 단순한 역사적 회고나 당대의 상황을 재현한다는 도식적인 방법을 떠나 사실을 완전하게 소화하여 자기 세대에게 주어진 고뇌와 비애를 형상화한 것이었다“ 김하용, 앞의 책, pp. 526~527
고 말하고 있다.
Ⅳ. 결론
이상에서 윤백남의 역사소설과, 그의 첫 역사장편소설인 『대도전』의 서사구조와 인물 및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윤백남의 소설을 두고 그 작품에 나타난 통속성과 대중 지향적인 흥미성으로 인해 부정적 견해도 많지만, 하층인물을 등장시켜 민권의식을 드러낸 점, 正史에 얽매이지 않는 상상력으로 새로운 역사소설로서의 좌표를 제시한 점 등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대도전』은 고려 말 공민왕 때를 배경으로 하나, 작가가 역사적 史實을 지나치게 허구화하여 史實의 정당성과 작품의 리얼리티마저 잃게 되었고, 고소설적 구성 같은 줄거리로 正史가 야담화 되고 말았다. 또한 인물 설정면에 있어 다른 근대역사소설의 일반적 특징인 역사적 위인을 영웅화한 것에서 탈피해서 하층인물을 내세운 점은 주목할만하나, 인물묘사가 지극히 평면적이고 주인공을 이상적인 인물로 설정하여 현실성이 없고, 허구화된 듯 보이는 점 등의 한계도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윤백남은 희곡인, 영화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뚜렷한 문학적 존재로 재인식되어야 하고, 그의 작품에 대한 정당한 평가 작업도 더 있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강영주, 『한국역사 소설의 재인식』, 창작과 비평사, 1991
김윤식, “우리역사소설의 4가지 유형”, 『소설문학』 제11권 6호, 1985
김하용, “백남문학의 진수”, 「한국장편문학대계」제4권 『대도전』, 성음사, 1970
문철주, 「한국근대 역사소설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박종홍, 『한국근대소설논고』, 중문출판사, 1990
『현대소설의 시각』, 국학자료원, 2002
윤병로, “윤백남론” , 『현대작가론』, 선명문화사, 1974
이명주, 「윤백남의 대도전 연구」, 대학원논총 제16집, 제1권(통권 20권), 2001
이충희, 「윤백남의 역사소설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고 말하고 있다.
Ⅳ. 결론
이상에서 윤백남의 역사소설과, 그의 첫 역사장편소설인 『대도전』의 서사구조와 인물 및 문학사적 의의에 대해 살펴보았다.
윤백남의 소설을 두고 그 작품에 나타난 통속성과 대중 지향적인 흥미성으로 인해 부정적 견해도 많지만, 하층인물을 등장시켜 민권의식을 드러낸 점, 正史에 얽매이지 않는 상상력으로 새로운 역사소설로서의 좌표를 제시한 점 등에서는 긍정적인 평가를 내릴 수 있었다.
『대도전』은 고려 말 공민왕 때를 배경으로 하나, 작가가 역사적 史實을 지나치게 허구화하여 史實의 정당성과 작품의 리얼리티마저 잃게 되었고, 고소설적 구성 같은 줄거리로 正史가 야담화 되고 말았다. 또한 인물 설정면에 있어 다른 근대역사소설의 일반적 특징인 역사적 위인을 영웅화한 것에서 탈피해서 하층인물을 내세운 점은 주목할만하나, 인물묘사가 지극히 평면적이고 주인공을 이상적인 인물로 설정하여 현실성이 없고, 허구화된 듯 보이는 점 등의 한계도 파악할 수 있었다.
앞으로 윤백남은 희곡인, 영화인으로서 뿐만 아니라 하나의 뚜렷한 문학적 존재로 재인식되어야 하고, 그의 작품에 대한 정당한 평가 작업도 더 있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
강영주, 『한국역사 소설의 재인식』, 창작과 비평사, 1991
김윤식, “우리역사소설의 4가지 유형”, 『소설문학』 제11권 6호, 1985
김하용, “백남문학의 진수”, 「한국장편문학대계」제4권 『대도전』, 성음사, 1970
문철주, 「한국근대 역사소설 연구」, 동아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2
박종홍, 『한국근대소설논고』, 중문출판사, 1990
『현대소설의 시각』, 국학자료원, 2002
윤병로, “윤백남론” , 『현대작가론』, 선명문화사, 1974
이명주, 「윤백남의 대도전 연구」, 대학원논총 제16집, 제1권(통권 20권), 2001
이충희, 「윤백남의 역사소설 연구」,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85
추천자료
흑인들의 기억에 의해 다시 쓰여진 노예 역사(토니 모리슨의 소설 beloved를 통해)
북한소설의 역사적 이해
소설 한강 감상문 - 우리가 잊고 있었던 역사에 대하여
[북한문학][북한소설]북한문학의 실상, 북한문학의 의미, 북한문학의 역사, 북한문학의 발전,...
[도교][도교사상][교리]도교(도교사상)의 이론, 도교(도교사상)의 교리, 도교(도교사상)의 역...
한국 현대소설의 이해와 역사
[일본문학][설화문학][횡광이일][금각사][무희][다니자키 준이치로]일본문학의 역사, 일본문...
[중국문학][상흔문학][소수민족문학][기행문학][호적]중국문학의 역사, 중국문학과 상흔문학,...
고전소설 비평을 통해 본 드라마의 역사왜곡 비평 분석
칼에지다 라는 일본 소설에 대한 독후감과 그 당시 일본의 역사적 배경
[고전문학콘텐츠론 기말과제] 소설『색, 샤라쿠』로 재해석된 혜원 신윤복 -역사와 허구를 바...
채동번의 중국 동한 역사 소설 후한통속연의 16회 17회 18회 한문 원문
중국 채동번 동한역사 소설 『후한통속연의(後漢通俗演義)』 46회 47회 48회 한문 및 한글번역
채동번의 중국 서한역사의 소설 전한통속연의 61회 62회 63회 64회 한문 및 한글번역 94페이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