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혼합연령프로그램의장단점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유아프로그램개발과평가-혼합연령프로그램의장단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혼합연령프로그램 장단점
교육목표
교육 활동의 운영
일과 구성
환경 구성
교사의 역할
부모의 역할
한국에 맞지 않는 이유

본문내용

위아래가 있으니 배우는거 아니겠는가.
아이들은 어른보다 자기 또래에게 많이 배우고, 이 또래는 한번에 잘 틀만 잡아놓으면 자기들끼리 교육하는 효과가 반드시 나타날꺼라고 생각한다.
그리고 우리나라에서 제일 중요한게 보건복지부의 예산이다. 이번에도 0~2세복지자금은 늘리고, 2~5세의 정부지원은 떨어지니 갑자기 어린이집이 확 인원이 줄어드는 현상까지 발생힌다. 유치원과 어리이집의 차이는 교육과 보육이다. 그런데 그런 헤드스타트를 시작해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예산을 쓸때 제일 중요한게 그 어린이집들의 모럴헤저드의 현황을 봐야하는데 그냥 돈만준다니 아쉬울뿐이다.
그렇게 도와줄 돈으로 평가관이나 점검관을 더 고용하여서, 그런 도덕적 해이를 막는다면 더욱더 효과적일꺼 같다. 그래서 이 혼합연령 프로그램을 더욱 발전시키는건 좋은것이다.
그리고 우선적으로 필요한게 혼합 연령 프로그램의 교사는 발달 수준이 다른 영유아들에게 적합한 교육활동을 계획하고 실행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므로 부모와의 협력은 매우 중요하다. 기본적으로 혼합 연령 프로그램의 교육관과 효과에 대한 인식을 부모와 공유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이다. 상황에 따라 부모의 교육 참여가 영유아와 부모 모두에게 좋은 경험이 될 수 있다.
참고문헌
혼합연령프로그램의 장단점 위키백과
http://ko.wikipedia.org/wiki/%ED%98%BC%ED%95%A9_%EC%97%B0%EB%A0%B9_%ED%94%84%EB%A1%9C%EA%B7%B8%EB%9E%A8
이순형 외(2005), 《영유아 보육교육 프로그램의 이해》, 학지사
공동육아 홈페이지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09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54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