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화공학(화재 가연성 물질 연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화재의 열전달 방법

2. 연소3요소

3. 폭발범위(아세틸렌, 일산화탄소, 수소, 프로판)

4. 화상

5. ABC급 소화약제

6. 폭발물(급격한 부피팽창)

7. C급화재 소화제

8. 컴퓨터실에 알맞은 소화약제

9. 발포기구에 따른 포소화약제 2가지

10. 정전기 제거방법 3가지

11. 정온식 감지기

12. 패닉현상

13. 자기연소성 물질

14. 위험도 산출

15. 가연성 물질에 따른 화재종류 설명

16.연돌효과

17.방화구획의 종류

18.플래쉬오버 현상

19.화재 하중 설명

20.건축물 온도상승에 따른 강도 저하내용

21.화재의 대책 중 국한대책 설명

본문내용

※플래쉬 오버현상 발생시 실내온도는 800~900℃정도가 된다.
※플래쉬 오버징후-일정공간 내에서의 전면적인 자유연소. 일정공간 내에 서의 계속적인 열집적(다른 물질의 동시가열). 두텁고, 뜨겁고, 진한연기 가 아래로 쌓임.
※플래쉬 오버특징-실내모든 가연물의 동시발화현상. 바닥에서 천정까지 고온상태.
19.화재 하중 설명
; 화재의 규모를 결정하는 것은 화재실의 가연물의 양이다. 이 가연물에는 벽, 천장, 칸막이 등의 바탕재료, 내장재료나 가구 등의 고정 가연물과 서적, 의류 기타수납물 등의 적재 가연물이 있다. 실내의 가연물에는 여 러 종류의 재료가 있고 또 연소시의 발열량도 다르기 때문에 가연물량 은 실제로 존재하는 가연물을 같은 발열량의 목재로 환산한 값, 즉 등가 목재중량을 사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여기서 화재실 혹은 화재구획의 단위 바닥면적에 대한 등가 가연물량의 값을 화재 하중이라한다.
※화재하중은 건물용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으며, 화재크기의 정도는 가 연물의양 과 연소속도에 의하여 결정되므로 화재하중을 적게 하려면 구 조재 및 수용물의 불연화율을 높이고 불연화할 수 없는 서류 등의 가연 물은 불연성의 밀폐용기에 수용할 필요가 있다.
20.건축물 온도상승에 따른 강도 저하내용
;온도의 상승과함께 콘크리트강도가 저하하지만,탄성저하가 특히 현저하며 소성화된 콘크리트로 된다.
자주 사용되는 하천모래를 이용한 콘크리트는 500℃ 이상에서 탄성이 대부분 상실된다. 즉, 시멘트 결합수가 가열에 의해 상실되고 조직이 해이되며 열응력과 함께 콘크리트 영계수 및 압축강도가 저하된다.
콘크리트는 높은 온도에서 열팽창율은 비교적 크지만, 강재에 비교하면 20% 정도 작다. 따라서 철근과의 협동작용이 어렵다.
콘크리트 열팽창과 함수율때문에,급격한 화재온도 (1000℃~1200℃)에 이르면 내부 증기압으로 인하여 마루바닥이나 대들보의 표면이 폭열하며 콘크리트도 파편이 되어 비산하는 수가 있다.
21.화재의 대책 중 국한대책 설명
; 화재가 발생하게 되었을때 그 화재를 연소에 의해 확대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국한대책이다.
가. 가연물의 집적방지
- 출화점 근처에 다량의 가연물이 집적되어 있으면 위험하다
- 작업장에 불필요한 원료,제품,상품등을 다량으로 집적하면 위험하다
- 안전한 창고, 집적장을 설치하여 저장,보관하여야 안전하다
나. 건물설비의 불연화
다. 방화벽, 방유제 및 방액제등의 정비
라. 공한지의 확보.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5.12
  • 저작시기2011.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67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