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경영전략론]아디다스 경영전략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 기업소개
2. 아디다스의 역사
3. 로고
4. 트레이드 마크

본론
1. 자사분석
(1) 마케팅현황
(2) STP
(3) 4P
(4) SWOT
2. 경영전략
(1) 생산방식
(2) 유통방식
(3) 아디다스의 리복 인수
(4) 위기의 극복
(5) 디자인
(6) 광고
(7) 경쟁사 분석

결론
1. 팀과 이벤트 후원 마케팅의 효과
2. 삼선마크의 위력
3. 아디다스의 현재와 미래

본문내용

을 고려했다. 이처럼 분산된 생산 네트워크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나이키는 국외 거주자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본사 직원이 현지에 상주하면서 생산과 품질을 관리하는 것이다.
④ 생산과 판매 네트워크 구축
나이키는 세계 각지에서 생산되는 제품을 효율적으로 판매하기 위한 물류시스템을 갖춰놓고 있다. 특히 유럽 내 물류를 통합 조정하기 위해 유럽 전역에 흩어져 있던 유통망을 하나의 유통센터로 단일화시켜 72시간 이내 제품 배송이 가능하도록 했다. 나이키는 현재 이 같은
물류센터를 20여곳에 운영하고 있다.
나이키
아디다스
공통점
스포츠 신발에서 사업 시작 스포츠 의류로 브랜드 확장
생산방식 ( 아웃소싱 )
차이점
스타 마케팅-가능성 있는 스타선수 후원
팀 & 대회 후원
컨버스 인수 → 제품시장확장
리복 인수 → 전체시장확장 / 역량 보완
⑤ 아디다스 vs 나이키 비교
Plus) 미국 시장 내 나이키와 아디다스 비교
아디다스는 독일 기업으로 나이키 못지않게 오늘날의 스포츠 운동화 발전에 크게 기여한 기업으로 평가받고 있다. 특히 일반 소비자와는 달리 운동선수들은 아디다스를 나이키보다 더 높게 평가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특이한데, 이는 아디다스 역시 운동선수 출신의 창업자에 의해 끊임없이 제품 개선과 개발에 노력한 결과이다. 하지만 아디다스 또한 미국 시장 진입에는 상당한 어려움을 겪어 70년대에 이르러서야 겨우 미국시장 진입이 이루어졌는데, 이는 그 오랜 역사와 유럽에서의 평가에 비해 매우 늦은 것이라 볼 수 있다. 그런데 70년대는 컨버스가 내리막길을 달리기 시작함으로서 아디다스는 그 틈을 이용하여 시장에 진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문제는 아디다스가 자신들을 보호할 그들만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아디다스의 독특한 세 줄 무늬나 세 잎 무늬에 대한 트레이드 마크 등록을 하지 않아 미국에서 자신들을 제대로 알릴 수가 없었던 것이다.
아디다스가 미국 시장 진입을 시도했을 때 이미 나이키는 아디다스를 모델로 한 제품을 시장에 내놓았고, 그것을 트레이드 마크로 등록을 마친 후였기 때문에 아디다스의 미국시장 진입이 용이하지 않았던 것이다. 아디다스의 경우는 현재 전 세계 시장에서 축구화 분야에서는 독보적인 위치를 점하고 있지만 미국 진출 시기에 법적 문제의 미숙한 처리로 인해 다른 영역에서는 나이키에 뒤지고 있는 형편이다.
[결론]
1. 팀과 이벤트 후원 마케팅의 효과
나이키와의 마케팅 중 가장 큰 차이점은 스포츠 스타 그 한명을 후원하는 것이 아니라
올림픽이나 월드컵 같은 대규모 이벤트, 그리고 각국의 국가대표 팀들, 그리고 지역 팀들을 후원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와 같은 정책은 오늘날의 아디다스가 있게 해준 효과적인 마케팅 이었다. 그러한 이벤트에 관심이 있는, 그리고 그 팀들을 좋아하는 어마어마한 수의 사람들이 아디다스가 생산한 제품을 사고, 또 착용하게 되는 것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강요하는 마케팅이 아닌, 어떤 사람의 관심사와 함께 자연스럽게 그 사람에게 물들게 한 아디다스의 마케팅 전략은 크게 성장하고 싶은 기업이라면 꼭 인지해 둬야할 실속 있는 마케팅 인 것 같다.
2. 삼선마크의 위력
어느 브랜드나 자기만의 마크가 있다. 나이키의 경우만 보아도 나이키 고유의 마크를 모르는 사람은 드물 것이다. 아디다스의 경우 오리지널스, 스포츠 퍼포먼스, 스포츠 스타일 이 세 가지 로고가 있지만 뭐니뭐니 해도 아디다스 하면 떠오르는 것은 삼선이다.
이 마크는 운동화가 늘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 졌지만 현재 까지도 아디다스 고유의 마크로 사람들의 머리 속에 기억되고 있다. 또 아디다스의 제품을 통해서가 아닌 어느 곳에서나 삼선을 보게 된다면 아디다스를 떠올리게 된다. 한 예로 몸통에 3개의 흰 선이 있다는 이유로 ‘아디다스모기’ 라고 불리는 모기도 있다.
기업은 자기 기업의 이미지와 맞는 로고를 통해 소비자들 머리 속에 기억되길 원하고 그로 인한 수익 또한 어마어마하다. 그렇기 때문에 큰 돈을 들여서 기업의 로고를 만들고 소비자의 머리 속에 심기 위해 노력한다.
아디다스는 이 고유의 삼선 마크를 통하여 이미 소비자들의 머리속에 기억되었고 아디다스를 지금의 자리에 올려 놓았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3. 아디다스의 현재와 미래
리복과의 합병에도 불구하고 아디다스는 아직 2위를 고전하고 있다. 하지만 리복과의 합병이 실패라고 단정 짓기는 아직 이르다. 아디다스와 리복은 지금 점진적인 통합화 과정에 있기 때문이다.
아디다스와 리복의 제품 공동 개발로 개발기간을 줄여 시장을 선점할 수 있고, 제품 포트폴
리오를 다변화 할 수 있고, 분산 되어 있는 유통망을 통합하여 제 3시장 진입을 위한 루트
를 공유해 효율적인 유통망 관리가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합병으로 인한 아
디다스의 발전은 서서히 진행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2008년도 베이징 올림픽 때도 그랬듯이 앞으로 열리는 2010년 남아공월드컵 후원, 그리고 그 이후에 개최되는 세계적인 행사에 꾸준히 후원하고, 20억 이상의 인구가 살고 있는 인도와 중국 시장에 그 문화적 환경에 맞게 진입해서 그 시장개발에 집중한다면 만년 2위기업을 넘어서 나이키를 능가하는 최고의 기업으로 발돋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참고자료)
스포츠 마케팅 전략 / 김화섭/ 박영사/ 2002.03.10
스포츠 산업론/ 요시유키 마츠다/ 박찬규 역/ 대한미디어/ 2003.04.01
브랜드 리더십/ 데이비드 아커/ 이상민 역/ 비즈니스북스/ 2007.10.02
스포츠 브랜드론/ 김병욱/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04.04.01
아디다스가 리복을 선택한 이유/ 백풍렬/ LG 주간경제/ 2005
상품이 아닌 문화를 팔아라./ 박정현/ LG 주간경제/ 2004
아디다스와 나이키의 브랜드 구축이 주는 교훈 - 마케팅 제36권 2호 통권397호
운동화전쟁 / 바바라스미트/ 김하락 역/ 랜덤하우스/ 2008
스포츠 마케팅의 세계/ 박찬혁/ 살림/ 2006
http://www.adidas.com
http://www.nike.com

추천자료

  • 가격2,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5.15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72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