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존주의 정의
2. 실존의 성격
3. 실존주의 등장배경
- 대표적인 사상가
(1)유신론적: 케이르케고르
야스퍼스
(2)무신론적: 하이데거
사르트르
4. 간호와 실존주의와의 관계
5. 참고문헌
2. 실존의 성격
3. 실존주의 등장배경
- 대표적인 사상가
(1)유신론적: 케이르케고르
야스퍼스
(2)무신론적: 하이데거
사르트르
4. 간호와 실존주의와의 관계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어나지만 ‘아직 아님’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하지만 하이데거는 현존재가 본래적인 자기 의미를 구현할 수 있는 길은 ‘죽음을 앞지르는 선구’가 있어야 한다고 한다. 죽음을 경험할 수는 없지만 죽는다는 사실을 전제로 두고 자신에게 도래하지 않은 존재 전체를 확보해야 하는데, 죽어보기 전까지는 그것을 확보할 수 없다. 하이데거는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타자의 죽음’을 통해서도 현존재의 본래성으로 ‘결의’할 수 있다고 보는데 이러한 결의를 ‘선구적 결의성’이라고 한다.
참된 자기를 주장하는 하이데거의 주장에서 키에르케고르와 비슷하지만, 최종적으로 신에 귀의 한다는 키에르케고르와는 달리, 하이데거는 ‘죽음의 불안을 정면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참된 실존을 되찾는 길이 된다’ 라고 한다.
(4) 샤르트르 (Jean Paul Sartre, 1905-1980)
프랑스 사상가이며 무신론적 입장의 대표적 사상가이다. 샤르트르의 실존철학은 근본적으로는 근대 관념론의 창시자인 데카르트의 주체 철학에서 출발한 것이다. 실존주의의 근본 원칙으로 인간에게 있어서‘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것이 있다. 이 의미는 목적이 선행한 후의 창조물이 아니라, 인간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무의 실존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본질을 미리 규정하는 신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은 각자가 자유로이 자기를 창조해 나가야 하고 그 창조의 책임은 자신이 맡아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샤르트르는 신을 부정하는 무신론적 실존주의를 주장했다.
저서 중에는 <존재와 무> <구토>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가 유명하다.
5. 간호와 실존주의와의 관계
실존주의이론이 현실 속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과 개별적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다. 인간은 독자적인 삶의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살아온 길, 방향이 다르므로 병원에서 간호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는 모든 환자들에게 같은 접근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 환자가 무엇에 관심을 두고 중요한 것으로 여기는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환자가 처한 공경에 대한 환자 자신의 해석이 타인의 해석보다 중요한 의미를 띠기 때문이다. 또 환자의 스트레스를 산출하는 것은 바로 자신의 상황에 대한 그 자신의 해석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렇게 인간을 돌봄과 치유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간호학을 배우는 우리에게 실존주의과 관련 있는 이론이다.
6. 참고 문헌
* ‘실존철학’ 서광사 - F.짐머만 지음
* ‘간호학개론’ 수문사 - 이미애 외 9인 지음
참된 자기를 주장하는 하이데거의 주장에서 키에르케고르와 비슷하지만, 최종적으로 신에 귀의 한다는 키에르케고르와는 달리, 하이데거는 ‘죽음의 불안을 정면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참된 실존을 되찾는 길이 된다’ 라고 한다.
(4) 샤르트르 (Jean Paul Sartre, 1905-1980)
프랑스 사상가이며 무신론적 입장의 대표적 사상가이다. 샤르트르의 실존철학은 근본적으로는 근대 관념론의 창시자인 데카르트의 주체 철학에서 출발한 것이다. 실존주의의 근본 원칙으로 인간에게 있어서‘실존은 본질에 앞선다’는 것이 있다. 이 의미는 목적이 선행한 후의 창조물이 아니라, 인간은 그 자체로 존재하는 무의 실존이라는 것이다. 인간의 본질을 미리 규정하는 신이란 존재하지 않으며 인간은 각자가 자유로이 자기를 창조해 나가야 하고 그 창조의 책임은 자신이 맡아야한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샤르트르는 신을 부정하는 무신론적 실존주의를 주장했다.
저서 중에는 <존재와 무> <구토> <실존주의는 휴머니즘이다>가 유명하다.
5. 간호와 실존주의와의 관계
실존주의이론이 현실 속에 살고 있는 우리의 삶과 개별적 인간을 이해하는 것이다. 인간은 독자적인 삶의 방식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살아온 길, 방향이 다르므로 병원에서 간호생활을 하는데 있어서는 모든 환자들에게 같은 접근 방식을 적용할 수 없다. 환자가 무엇에 관심을 두고 중요한 것으로 여기는가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 왜냐하면 환자가 처한 공경에 대한 환자 자신의 해석이 타인의 해석보다 중요한 의미를 띠기 때문이다. 또 환자의 스트레스를 산출하는 것은 바로 자신의 상황에 대한 그 자신의 해석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렇게 인간을 돌봄과 치유의 대상으로 간주하는 간호학을 배우는 우리에게 실존주의과 관련 있는 이론이다.
6. 참고 문헌
* ‘실존철학’ 서광사 - F.짐머만 지음
* ‘간호학개론’ 수문사 - 이미애 외 9인 지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