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p1
Ⅱ.본론
1.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음식문화의 변화……………………………p1
2.서양 음식문화의 등장………………………………………………………p3
3.소황제를 위한 식품의 호황 ……………………………………………p5
4.음식의 빈부격차 ……………………………………………………………p7
Ⅲ.결론………………………………………………………………………………p8
Ⅱ.본론
1.생활수준 향상에 따른 음식문화의 변화……………………………p1
2.서양 음식문화의 등장………………………………………………………p3
3.소황제를 위한 식품의 호황 ……………………………………………p5
4.음식의 빈부격차 ……………………………………………………………p7
Ⅲ.결론………………………………………………………………………………p8
본문내용
10월에 이루어졌다.
<기사-전국 도시소비자 조사>
4. 음식의 빈부격차
개혁개방 전에는 공동식당에서 모두 함께 식사를 하였다. 하지만 개방이 되며 자본주의가 도입되면서 중국에는 빈부격차가 커지게 되었고 이는 자연히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도시의 중상층의 시민들과 하류층의 시민들의 식생활은 천차만별이다. 한 끼에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최고급식당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가 하면, 일년 내내 일터에서 배급해주는 똑같은 메뉴를 먹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광동성의 텐허호텔 식당은 약 1100만원의 세트 메뉴를 선보였다. 이 음식은 상어 지느러미, 대하, 청나라 시대 때 만들어진 고급 술 등이 포함된다. 적잖은 사람들이 이 메뉴를 즐긴다고 한다. 반면에 중난재경대학 학생의 1년치 식사가격은 1040원이다. 이는 중국의 빈부격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 끼 1100만 원짜리 식사를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1040원으로 1년 식사를 해결해야 하는 학생이 있는 곳이 바로 중국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고급식당으로 순펑을 들 수 있다. 중국에서는 손님을 순펑에 데려가서 대접하면 정말 잘 대접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식당의 메뉴는 한 끼에 수백만 원을 호가한다. 전체 주요리코스로 먹으면 100~500만원은 기본이다. 이처럼 비싸지만 북경에만 호점을 개장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곳에 찾아오는 손님은 30%가 가족손님, 70%가 비즈니스를 위해 온 손님이다. 이곳에선 일급요리사가 직접 방으로 찾아와 손님이 보는 앞에서 요리를 해준다. 최고급요리를 즐기며 몇 시간에 걸쳐 식사하고 비즈니스를 한다. 중국인들은 중요한 비즈니스는 반드시 비싼 식당에서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식당들은 앞으로도 계속 인기를 끌 것이다.
중국인은 자신이 먹는 음식이 자신의 신분을 대변한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노동자들은 일년 내내 똑같은 음식을 먹는다. 이것도 자신이 사먹는 것이 아니라 고용자 측에서 제공해주는 음식이다. 배급받는 음식 이외의 것을 사먹는 것은 엄두도 못 낼 일이다. 이들보다 직책이 높은 감독관들은 근처의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다. 1000~2000원 정도로 한 끼 식사를 한다. 하지만 그들도 이 식당보다 좀더 고급화된 번화가에 자리 잡고 있는 식당에는 갈 엄두를 못 낸다. 중국인들은 그들의 소득에 따라 먹는 음식이 확연하게 구분되어있다.
북경 오리구이를 먹을 때도 중국인들은 소득에 따라 먹는 장소, 가격이 다르다. 같은 오리구이요리라도 중산층은 일인당 몇 만원씩 하는 식당을 찾는다. 이들에게 북경 오리구이는 언제라도 먹고 싶을 때 사먹을 수 있는 보통 요리이다. 반면에 하루에 수입이 만원도 채 안되는 노동자에게 오리구이요리는 일년에 두 세 차례정도만 먹을 수 있는 귀한 요리이다. 그것도 길거리 상점에서 한 마리에 2000~4000원 정도 하는 오리를 구입한다.
우리나라와 비교해보았을 때, 우리는 소수의 최고급 음식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모든 국민이 비슷한 식사를 한다. 그들처럼 수 백, 수 천만 원의 음식을 즐겨먹는 사람도 많지 않으며, 식당들 간에도 가격차이가 아주 심하지는 않다. 누군가가 한국이 자본주의국가라는 것과 중국이 공산주의 국가라는 것이 아이러니라고 했는데 이것이 맞는 듯 하다.
Ⅲ.결론
지금까지 현대 중국의 음식문화의 몇 가지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중국인들에게 의식주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꼽으라면 아마 ‘식’일 것이다. 중국인에게 음식이란 단순히 배를 채워주고 맛을 느끼게 해주는 것 이상으로 많은 의미를 갖는다. 음식은 그 사람의 신분과 삶의 질을 나타내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현대 중국의 음식문화를 조사하며 중국이 눈부신 발전을 하고 있는 만큼 식생활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 중국의 음식문화는 더 서구화되고 다양해질 것이다. 이런 때 일수록 전통음식문화를 간과할 수 있는데 중국인들은 전통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식문화를 창조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면 중국인에게 음식문화라는 것은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니콜라스 크리스토프셰릴 우던. [중국이 미국된다] 서울:따뜻한손, 2004.
주영하.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서울:책세상, 2000
김용준. [중국마케팅] 서울:박영사, 2004
기타
KBS수요기획/ 중국음식에는 계급이 있다
Q채널/ 아시아 음식문화 기행
<기사-전국 도시소비자 조사>
4. 음식의 빈부격차
개혁개방 전에는 공동식당에서 모두 함께 식사를 하였다. 하지만 개방이 되며 자본주의가 도입되면서 중국에는 빈부격차가 커지게 되었고 이는 자연히 식생활에도 영향을 미쳤다. 대도시의 중상층의 시민들과 하류층의 시민들의 식생활은 천차만별이다. 한 끼에 수백만 원을 호가하는 최고급식당들이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는가 하면, 일년 내내 일터에서 배급해주는 똑같은 메뉴를 먹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광동성의 텐허호텔 식당은 약 1100만원의 세트 메뉴를 선보였다. 이 음식은 상어 지느러미, 대하, 청나라 시대 때 만들어진 고급 술 등이 포함된다. 적잖은 사람들이 이 메뉴를 즐긴다고 한다. 반면에 중난재경대학 학생의 1년치 식사가격은 1040원이다. 이는 중국의 빈부격차가 어느 정도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 끼 1100만 원짜리 식사를 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1040원으로 1년 식사를 해결해야 하는 학생이 있는 곳이 바로 중국이다.
중국의 대표적인 고급식당으로 순펑을 들 수 있다. 중국에서는 손님을 순펑에 데려가서 대접하면 정말 잘 대접 받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식당의 메뉴는 한 끼에 수백만 원을 호가한다. 전체 주요리코스로 먹으면 100~500만원은 기본이다. 이처럼 비싸지만 북경에만 호점을 개장할 정도로 인기를 끌고 있다. 이곳에 찾아오는 손님은 30%가 가족손님, 70%가 비즈니스를 위해 온 손님이다. 이곳에선 일급요리사가 직접 방으로 찾아와 손님이 보는 앞에서 요리를 해준다. 최고급요리를 즐기며 몇 시간에 걸쳐 식사하고 비즈니스를 한다. 중국인들은 중요한 비즈니스는 반드시 비싼 식당에서 해야 한다는 생각이 있기 때문에 이러한 식당들은 앞으로도 계속 인기를 끌 것이다.
중국인은 자신이 먹는 음식이 자신의 신분을 대변한다고 생각한다. 중국의 노동자들은 일년 내내 똑같은 음식을 먹는다. 이것도 자신이 사먹는 것이 아니라 고용자 측에서 제공해주는 음식이다. 배급받는 음식 이외의 것을 사먹는 것은 엄두도 못 낼 일이다. 이들보다 직책이 높은 감독관들은 근처의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다. 1000~2000원 정도로 한 끼 식사를 한다. 하지만 그들도 이 식당보다 좀더 고급화된 번화가에 자리 잡고 있는 식당에는 갈 엄두를 못 낸다. 중국인들은 그들의 소득에 따라 먹는 음식이 확연하게 구분되어있다.
북경 오리구이를 먹을 때도 중국인들은 소득에 따라 먹는 장소, 가격이 다르다. 같은 오리구이요리라도 중산층은 일인당 몇 만원씩 하는 식당을 찾는다. 이들에게 북경 오리구이는 언제라도 먹고 싶을 때 사먹을 수 있는 보통 요리이다. 반면에 하루에 수입이 만원도 채 안되는 노동자에게 오리구이요리는 일년에 두 세 차례정도만 먹을 수 있는 귀한 요리이다. 그것도 길거리 상점에서 한 마리에 2000~4000원 정도 하는 오리를 구입한다.
우리나라와 비교해보았을 때, 우리는 소수의 최고급 음식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모든 국민이 비슷한 식사를 한다. 그들처럼 수 백, 수 천만 원의 음식을 즐겨먹는 사람도 많지 않으며, 식당들 간에도 가격차이가 아주 심하지는 않다. 누군가가 한국이 자본주의국가라는 것과 중국이 공산주의 국가라는 것이 아이러니라고 했는데 이것이 맞는 듯 하다.
Ⅲ.결론
지금까지 현대 중국의 음식문화의 몇 가지 특징들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중국인들에게 의식주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을 꼽으라면 아마 ‘식’일 것이다. 중국인에게 음식이란 단순히 배를 채워주고 맛을 느끼게 해주는 것 이상으로 많은 의미를 갖는다. 음식은 그 사람의 신분과 삶의 질을 나타내주며, 다른 사람과의 관계를 맺을 수 있게 하는 도구이다.
현대 중국의 음식문화를 조사하며 중국이 눈부신 발전을 하고 있는 만큼 식생활면에서도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는 것을 알았다. 앞으로 중국의 음식문화는 더 서구화되고 다양해질 것이다. 이런 때 일수록 전통음식문화를 간과할 수 있는데 중국인들은 전통 음식문화를 기반으로 새로운 식문화를 창조해나가야 할 것이다. 그러면 중국인에게 음식문화라는 것은 정치, 사회, 경제적으로 크게 이바지 할 수 있는 디딤돌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참고 문헌
니콜라스 크리스토프셰릴 우던. [중국이 미국된다] 서울:따뜻한손, 2004.
주영하. [중국, 중국인, 중국음식] 서울:책세상, 2000
김용준. [중국마케팅] 서울:박영사, 2004
기타
KBS수요기획/ 중국음식에는 계급이 있다
Q채널/ 아시아 음식문화 기행
추천자료
현 중국의 정치, 문화, 경제가 세계시장에 미치는 영향
중국 8대요리
<독후감> 중화요리에 담긴 중국을 읽고.....
중국 조선족의 의ㆍ식ㆍ주
한국 기업의 중국시장 진출 사례-락앤락(하나코비)
보양음식의 이해 - 보양음식, 계절별 음식, 세계 3대진미
락앤락의 해외진출 사례 분석 (중국) 국제경영학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발달과정, 프랑스요리(프랑스음식) 특징, 프랑스축제음식, 이탈리아...
한국음식(한국요리)의 특성, 한국의 상차림, 강원도와 경기도요리(경기도음식), 충청도와 전...
함께먹으면 좋은음식, 나쁜음식-음식궁합-
중국과한국의문화비교(설,결혼,식생활 의공통점과 차이점을중심으로)
중국요리의 이해
중국에 대한 조사 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