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배드민턴의 준비
배드민턴의 반칙
배드민턴의 경기 전술
배드민턴의 경기 방법 및 규칙
배드민턴 서브의 종류 및 요령
배드민턴의 기술 및 응용기술
배드민턴의 지켜야 할 매너
배드민턴 코트
참고 문헌
배드민턴의 반칙
배드민턴의 경기 전술
배드민턴의 경기 방법 및 규칙
배드민턴 서브의 종류 및 요령
배드민턴의 기술 및 응용기술
배드민턴의 지켜야 할 매너
배드민턴 코트
참고 문헌
본문내용
상대편의 어깨 바로 아래에서 셔틀을 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4) 플릭 서브
이 서브는 복식 또는 혼합복식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는 또한 상대편이 로우 숏 서브로 예상하고 네트 쪽으로 뛰어 들어올 때 사용된다. 준비 자세, 팔 동작, 몸의 회전 체중이동에 적용되는 기본 기술은 다른 서브 등과 같다
배드민턴의 기술 및 응용기술
하이클리어 와 드리븐 클리어
드롭과 커트
드라이브
푸시
스매시
헤어핀
배드민턴에서의 플라이트는 일반적으로 클리어, 드롭과 커트, 스매시, 헤어핀, 크로스 네트 샷, 드라이브, 푸시 등의 7가지로 구분된다.
가. 클리어
클리어(clear)는 상대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까지 셔틀콕이 날아가는 높은 플라이트(flight)이다. 클리어는 플라이트의 높이에 따라, 높은 샷을 하이 클리어(high clear), 낮고 빠른 샷을 드리븐 클리어(driven clear)라고 한다. 또한 타구 위치에 따라 오버헤드와 언더핸드 클리어로 구분된다. 하이 클리어는 임팩트(impact)될 때 타점의 위치가 머리보다 약간 뒤쪽이며 드리븐 클리어에서는 그보다 앞쪽에서 셔틀콕을 친다.
나. 드롭(drop)과 커트(cut)
드롭(drop)과 커트(cut)는 상대편을 현혹시키기 위해서 오버헤드 스트로크로 속도와 코스에 변화를 주어 셔틀콕을 네트 근처로 떨어뜨리는 플라이트이다. 드롭과 커트의 차이는 드롭의 경우 속도는 다소 늦더라도 네트 근처에 가깝게 떨어지도록 짧게 치려는데 비해, 커트는 볼의 거리가 다소 길어지더라도 셔틀콕을 빠르게 치려는 것이다.
다. 스매시(Smash)
스매시(smash)는 타점이 높은 위치에서 빠른 스피드로 상대편 코트로 셔틀콕을 때리는 가장 공격적인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타점이 높고, 타점이 네트와 가까울수록 위력적인 스매시가 되는데, 강력한 스매시를 위해서는 체중의 이동, 높은 점프를 위한 강한 각근력, 적절한 타점 등이 요구된다.
라. 헤어핀(hairpin)
헤어핀(hairpin)은 네트 가까이로 온 셔틀을 상대편 네트에 거의 닿을 듯하게 받아치는 기술을 말한다. 가장 효율적인 헤어핀은 네트 가까이에서 셔틀콕을 쳐 상대편 네트의 위쪽 테두리를 넘어서는 순간에 셔틀콕이 코트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내려오게 하는 방법이다.
마.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은 셔틀콕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서 상대의 사이드 라인 가까이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셔틀콕 콜크의 측면을 비껴치는 샷이다.
바. 드라이브(drive)
드라이브(drive)는 사이드 암 스트로크로 친 셔틀이 코트의 바닥과 평행하게 네트에 닿을 정도로 날아가 상대의 코트로 가라앉는 플라이트를 말한다. 드라이브를 칠 때에는 몸보다 앞쪽에서 셔틀콕을 강하게 쳐야 한다.
사. 푸시(push)
푸시(push)는 네트 근처에서 작고 강한 스윙으로 셔틀콕을 밀어쳐, 셔틀콕이 상대 코트의 중간으로 밀고 들어가는 형태의 플라이트로 아주 공격적인 기술이다. 푸시는 스매시의 응용 동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스매시와 구별되는 점은 손목의 스냅만 조금 이용하여 셔틀콕을 밀어칠 뿐 어깨 위로 휘둘러 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배드민턴의 지켜야 할 매너
셔틀은 네트위로 던져준다
실수한 셔틀은 직접 줍는 다
심판의 판정에는 순순히 따른 다
시합 전후에는 악수를
배드민턴 코트
참고 문헌
배드민턴 학습과 방법 - 오성기 -
사이트
http// www.jinheeclub.net
http// anseo.dankook.ac.kr/~badminto/
http://www.ilgokclub.com
http://clubsw.hihome.com
4) 플릭 서브
이 서브는 복식 또는 혼합복식에서 많이 사용된다. 이는 또한 상대편이 로우 숏 서브로 예상하고 네트 쪽으로 뛰어 들어올 때 사용된다. 준비 자세, 팔 동작, 몸의 회전 체중이동에 적용되는 기본 기술은 다른 서브 등과 같다
배드민턴의 기술 및 응용기술
하이클리어 와 드리븐 클리어
드롭과 커트
드라이브
푸시
스매시
헤어핀
배드민턴에서의 플라이트는 일반적으로 클리어, 드롭과 커트, 스매시, 헤어핀, 크로스 네트 샷, 드라이브, 푸시 등의 7가지로 구분된다.
가. 클리어
클리어(clear)는 상대 코트의 백 바운더리 라인까지 셔틀콕이 날아가는 높은 플라이트(flight)이다. 클리어는 플라이트의 높이에 따라, 높은 샷을 하이 클리어(high clear), 낮고 빠른 샷을 드리븐 클리어(driven clear)라고 한다. 또한 타구 위치에 따라 오버헤드와 언더핸드 클리어로 구분된다. 하이 클리어는 임팩트(impact)될 때 타점의 위치가 머리보다 약간 뒤쪽이며 드리븐 클리어에서는 그보다 앞쪽에서 셔틀콕을 친다.
나. 드롭(drop)과 커트(cut)
드롭(drop)과 커트(cut)는 상대편을 현혹시키기 위해서 오버헤드 스트로크로 속도와 코스에 변화를 주어 셔틀콕을 네트 근처로 떨어뜨리는 플라이트이다. 드롭과 커트의 차이는 드롭의 경우 속도는 다소 늦더라도 네트 근처에 가깝게 떨어지도록 짧게 치려는데 비해, 커트는 볼의 거리가 다소 길어지더라도 셔틀콕을 빠르게 치려는 것이다.
다. 스매시(Smash)
스매시(smash)는 타점이 높은 위치에서 빠른 스피드로 상대편 코트로 셔틀콕을 때리는 가장 공격적인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타점이 높고, 타점이 네트와 가까울수록 위력적인 스매시가 되는데, 강력한 스매시를 위해서는 체중의 이동, 높은 점프를 위한 강한 각근력, 적절한 타점 등이 요구된다.
라. 헤어핀(hairpin)
헤어핀(hairpin)은 네트 가까이로 온 셔틀을 상대편 네트에 거의 닿을 듯하게 받아치는 기술을 말한다. 가장 효율적인 헤어핀은 네트 가까이에서 셔틀콕을 쳐 상대편 네트의 위쪽 테두리를 넘어서는 순간에 셔틀콕이 코트 바닥을 향하여 수직으로 내려오게 하는 방법이다.
마.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
크로스 네트 샷(cross net shot)은 셔틀콕이 네트를 비스듬히 넘어서 상대의 사이드 라인 가까이로 낙하하는 듯한 플라이트를 말한다. 셔틀콕 콜크의 측면을 비껴치는 샷이다.
바. 드라이브(drive)
드라이브(drive)는 사이드 암 스트로크로 친 셔틀이 코트의 바닥과 평행하게 네트에 닿을 정도로 날아가 상대의 코트로 가라앉는 플라이트를 말한다. 드라이브를 칠 때에는 몸보다 앞쪽에서 셔틀콕을 강하게 쳐야 한다.
사. 푸시(push)
푸시(push)는 네트 근처에서 작고 강한 스윙으로 셔틀콕을 밀어쳐, 셔틀콕이 상대 코트의 중간으로 밀고 들어가는 형태의 플라이트로 아주 공격적인 기술이다. 푸시는 스매시의 응용 동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 스매시와 구별되는 점은 손목의 스냅만 조금 이용하여 셔틀콕을 밀어칠 뿐 어깨 위로 휘둘러 치지 않는다는 것이다.
배드민턴의 지켜야 할 매너
셔틀은 네트위로 던져준다
실수한 셔틀은 직접 줍는 다
심판의 판정에는 순순히 따른 다
시합 전후에는 악수를
배드민턴 코트
참고 문헌
배드민턴 학습과 방법 - 오성기 -
사이트
http// www.jinheeclub.net
http// anseo.dankook.ac.kr/~badminto/
http://www.ilgokclub.com
http://clubsw.hihome.com
추천자료
주 5일제 근무에 따른 여가의 스포츠 사회학적 분석
여가문화로서의 스포츠 고찰
일상생활에서의 여가의 의미
일상생활에서의 여가는 어떤 의미를 갖는가?
실버산업의 금융, 생활, 여가 관련분야에서의 필요성, 실태와 문제점, 그리고 개선방안에 대...
[스포츠][문화][여가문화][현대사회스포츠][스포츠미디어][중계권분쟁]스포츠와 문화, 스포츠...
생활스포츠를 통한 일본의 사회복지 실현 정책 ^^
[가족복지론] 가족여가활동에 따른 가족관계 및 생활만족 향상에 대한 고찰
[여가와 관계] 여가와 스포츠 및 여가와 게임과의 관계
노인 여가 생활 빈도와 생활만족도의 관계(연구가설, 사회복지조사론, 가설설정, 가설검증)
국민소득 증대와 여가시간 확대에 따른 생활체육지도자의 기능과 역할 및 자질 등에 대해서 ...
국민소득 증대와 여가시간 확대에 따른 생활체육지도자의 기능과 역할 및 자질에 대해서 설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