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생물]미생물의 개념, 미생물의 생장요인, 미생물의 항원, 미생물과 균류, 미생물과 원생동물,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미생물의 예방의학, 미생물의 아메바 치료약, 미생물의 연구 사례, 미생물 관련 시사점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생물]미생물의 개념, 미생물의 생장요인, 미생물의 항원, 미생물과 균류, 미생물과 원생동물,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미생물의 예방의학, 미생물의 아메바 치료약, 미생물의 연구 사례, 미생물 관련 시사점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미생물의 개념

Ⅲ. 미생물의 생장요인

Ⅳ. 미생물의 항원

Ⅴ. 미생물과 균류
1. 균류의 형태
2. 균류의 구성요소
3. 균류의 생장조건

Ⅵ. 미생물과 원생동물
1. 원생동물의 성장방법
2. 원생동물의 증식

Ⅶ. 미생물과 오염미생물
1. 세균 : 103~5/g 정도 존재
2. 효모 및 곰팡이 : 102~3/g 정도의 효모와 극히 소수의 곰팡이가 존재

Ⅷ. 미생물의 예방의학

Ⅸ. 미생물의 아메바 치료약
1. 장관외(조직형-간) ameba증
1) emetine
2) chloroquine, quinacrine
3) metronidazole
2. 장관내 ameba증

Ⅹ. 미생물의 연구 사례

Ⅺ.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본문내용

되지 않았다.
바. 원유의 그램양성군은 전체 미생물중의 약 40%를 차지하였었는데 각 열처리 후 LTLT처리유에서는 96.5%, HTST처리유에서는 89%를 차지하여 LTLT와 HTST처리의 사멸효과 그램양성균보다 그램음성균에 대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그램음성균에 대한 그램양성균은 비율은 4℃에서 4일저장후에는 감소되어 LTLT 처리유는 90%가 HTST처리유는 73.5%가 그램양성군이었다.
사. LTLT 처리구의 그램양성, 카탈라아제 음성균과 그램양성, 카탈라아제 양성균의 비율은 각각 90.5%, 6%이었으며 HTST처리유의 경우 그 비율이 각각 45%와 44%를 나타내었고 4℃에서 4일 저장후에는 그램양성, 카탈라아제 음성균과 그램양성, 카탈라이제 양성균의 비율이 LTLT 처리유의 경우 65%와 25%, HTST 처리유의 겨유 33.5%와 40%로 변하였는데 그램양성, 카탈리아제 음성균은 streptococci와 Lactobacillus spp.로 그램양성 카탈라아제 양성균은 Micrococci와 Bacillus spp.로 동정되어 졌다.
. 결론 및 시사점
지금까지 연구로 밝혀진 모두 고세균 5종, 세균 2종의 미생물의 유전체가 분석되었는데 특히 고세균은 산업적인 이용가치가 있는 미생물들이었다. Methanococcus jannaschii, Pyrococcus horikoshii, Aeropyrum pernix, Pyrococcus abyssi는 심해저 열수구에서 분리된 고세균이고, Archaeoglobus fulgidus는 고온 환경에서 황화합물을 환원시키는 고세균으로 미생물 연구가 완료되었다. 한편 일본 JAMSTEC(Japan Marine Science and Technology Center)에서는 Alkaliphilic extremophiles인 Bacillus halodurans의 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였고 TIGR에서 세균인 Caulobacter crescentus의 전체 염기서열을 밝혔다. 현재 연구가 진행 중인 미생물은 Prochlorococcus marinus MED4와 Prochlorococcus marinus MIT9313, 남조류인 Synechococcus WH8102, Thalassiosira pseudonana 정도에 불과한 상태이다.
고세균은 극한 환경에서도 생존 가능하므로 extremophiles(extreme-loving organisms)라고 불리며 극한 환경에서도 화학 반응을 효과적으로 유발하는 효소(extremozyme)를 보유하여 새로운 바이오산업에서의 이용이 기대되고 있다. 해저 8,000 피트의 심해저 열수구에서 채집한 고세균 Methanococcus jannaschii은 일반 생물체의 생존에 필수적인 태양광선이나 산소, 유기탄수화물이 없는 환경에서 생존한다. Pyrobaculum aerophilum은 고세균으로 생물체가 견딜 수 있는 한계인 113℃에 가까운 온도에서 생존할 수 있고 호기성 환경에서도 살 수 있어 실험실에서 쉽게 배양할 수 있으며, hyperthermophilic genome에 의해 만들어진 단백질들이 매우 안정적이다. 고세균인 Archaeoglobus fulgidus와 세균인 Thermotoga maritima은 물의 끓는 점 이상의 온도에서도 생존할 수 있으므로 고온에 안정한 효소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폐기물을 유용한 화학물질로 전환하는 공정에 이용할 수 있다. Thermotoga maritima은 지구상에 가장 풍부한 바이오폴리머인 간단한 포도당이나 자당(sucrose) 그리고 복잡한 전분이나 xylan, cellulose 등의 탄수화물 물질대사에 관여하므로 이들을 이용하여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인 에탄올 등의 연료를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Prochlorococcus marinus MED4와 진핵생물인 규조류 Thalassiosira pseudonana 등이 탄소순환에 관련된 미생물 연구에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고 있다.
참고문헌
김태운 외(2003),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서울 : 수문사
미생물의 정의와 기능 및 역할
민경찬(2006), 식품미생물학실험, 광문각
생명공학연구소(2000), 산업용 고기능 미생물소재의 개발 및 생산을 위한 핵심기반기술(보고서), 과학기술부
이종수, 산업·응용미생물학, 라이프사이언스
한문희 등(1996), 생명공학기술 -현재와 미래, 생명공학연구소
EDWARD ALCAMO 저, 권기석 외 역(2004), 미생물학 입문, 월드사이언스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5.18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80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