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르크스 자본론 연구 및 이론 조사(자본주의 상품과 화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마르크스 자본론 연구 및 이론 조사(자본주의 상품과 화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들의 상품유통인 판매와 구매는 똑같은 것으로 동시에 이루어 진 것이 아니다. 아마포를 화폐로 교환하면서 판매가 이루어 졌다고 볼 수 있고, 이후 화폐로 성경책을 교환한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마포 판매의 시간과 성경책의 구매 시간은 서로 다른 때이며 이루어진 장소도 서로 다를 것이기 때문에 시간과 공간적으로도 화폐에 의해 판매와 구매가 분리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화폐는 상품의 유통과정에서 가치를 이동시키는 중요한 기능을 갖고 있다. 언급했듯이 실제로 교환현장에 나오지 않으면서 가격을 관념적으로 형성시켜 주지만 유통과정에선 실제 가치를 교환하기 위해 등장하기도 한다. 그리하여 구매와 판매의 과정에서 그 중간에는 화폐가 존재하는 것이다. 하지만 이 중 판매를 한 화폐가 생산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보존되고 저장된다고 칠 때 사회 내의 유통되는 화폐는 점점 줄어들며 사회 내에 문제를 발생한다. 이로 인해 유통될 수 있는 화폐가 부족해져 상품의 가치는 점점 화폐에 대해 떨어지게 되고 여기서 축적되는 현상을 일으킨다는 뜻이다. 그래서 화폐는 퇴장하게 되고 생산자는 화폐퇴장자가 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현상이 아시아지역에서 많이 행해진다고 한다. 인도와 같은 나라에선 화폐를 지속적으로 땅속에 묻어 축적하는 것을 보였다는데 이는 화폐가 가치를 지니고 있으며 축적된 화폐가 부를 대표하기 때문에 벌어지는 일이다. 그리하여 화폐는 퇴장의 성질을 품고 있게 된다.
또 다른 기능으로서의 화폐는 계약에 의해 확정된 가격을 채무가 되면서 지불수단이 되는 것이다. 연속적인 상품 교환자들 간에 지불수단으로 상품과 교환이 이루어져 최초의 신용화폐가 여러 사람들에게 가치로 전이해 나가는 것이다. 그러나 이 중 최초의 지불자가 발행한 지불수단의 화폐에 대해 가치를 줄 수 없게 되는 경우엔 연쇄적인 화폐 공황사태를 일으킨다. 신용을 담보로 최초 생산자의 지불수단인 신용화폐가 또 다른 지불수단으로 이어지면서 사회 유통수단 내에 투입되다가 마지막에 실제 가치를 실현시키지 못한 것이다. 즉, 유통에서 벗어난 상품을 대표하는 화폐가 유통과정에 최초 참가하였다가 마지막에 가서야 비로소 실제 화폐의 모습을 드러내야 정상적인 지불수단의 화폐 기능을 하는 것인데 그 기능을 수행하는 중 위와 같은 상황으로 인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리고 금과 은은 이러한 화폐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가치를 담아내는 실제의 물질이다. 사회적으로 관습적으로 가장 대표적인 화폐로 통용되고 있기에 이들은 세계화폐로도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 이용은 한 사회 내에서 상품의 교환 시 화폐가 중간의 매개체로 이용되듯 국제적인 무역의 상황에서도 같은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화폐의 이동이 국가간 부의 이전과도 같은 것이라 서로간의 준비금으로 일정한 상품유통이 이루어 질 수 있을 만큼의 화폐 양이 있어야 교환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세계화폐로서 전이된 금과 은은 세계적인 유통 흐름에 들어가 화폐의 기능과 가치를 실천하고 실현하는 것이다.

키워드

마르크스,   자본론,   자본,   노동,   가치,   상품,   화폐,   가격
  • 가격1,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5.23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7945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