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단에대한실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집단에대한실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집단실천을 해야하는 이유

2) 집단사회사업의 정의

3) 김종옥과 권중돈의 집단사회사업정의

4) 집단사회사업의 개념

5) 집단실천의 효과

6) 집단실천의 유용성 (malekoff, 1997)

7) 집단역동(group dynamic)

8) 집단 역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

본문내용

집력: 집단이 기능을 잘 하기 위해서는 집단구성원들은 집단에 대해 긍정적으로 마음 이 끌려야 하고, 공유된 관심이 있다고 느끼고, 일 할 가치가 있다고 믿어야 한 다. 이런 끌리는 힘을 집단응집력이라고 한다. 응집력의 양은 대체로 다음과 같 은 비용과 대가의 지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가로는 구성원들과의 친분, 개인적 목표달성, 집단에서 부여하는 지위, 즐거움, 정서적지지 등이며, 비용으 로는 싫은 사람과도 있어야 하는 일,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는 일, 비평, 좋아하 지 않는 과업, 지루한 모임 등이다. 집단응집력이 강하려면 성원간에 상호작용 이 있어야 하고, 집단과업과 목적이 잘 성취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집단사회복 지사나 기관이 집단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해야 한다. 성원의 소속감은 집단의 분위기에 의해 생긴다. 우호적이고 유쾌한 상호작용이 있고 의사결정에 자신이 관여한다고 느낄 때 성원들은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따라서 성원간의 신뢰, 효과적 의사소통, 협력 등은 응집력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⑦ 집단원의 특징: 집단원 특유의 반응 양식. 소극적인 사람들만 모였다 또는 외향적인 사 람들만 모였다 이러면 상작용이 잘 안 일어날 수도 있고, 서로 주도권을 쥐려고 경쟁하는 상호작용만 일어날 수도 있다.
⑧ 집단지도자의 요소: 집단지도자가 집단역동이 잘 생기게 할 수 있는 전문가라는 것으로 집단을 지배하거나 개입하지는 않지만, 민감하게 집단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집단이 파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집단지도자는 집단원의 관계를 상호작용적 관계 로 유지시킨다.

키워드

  • 가격7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5.30
  • 저작시기2010.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12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