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집단실천을 해야하는 이유
2) 집단사회사업의 정의
3) 김종옥과 권중돈의 집단사회사업정의
4) 집단사회사업의 개념
5) 집단실천의 효과
6) 집단실천의 유용성 (malekoff, 1997)
7) 집단역동(group dynamic)
8) 집단 역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
2) 집단사회사업의 정의
3) 김종옥과 권중돈의 집단사회사업정의
4) 집단사회사업의 개념
5) 집단실천의 효과
6) 집단실천의 유용성 (malekoff, 1997)
7) 집단역동(group dynamic)
8) 집단 역동에 영향을 주는 요소
본문내용
집력: 집단이 기능을 잘 하기 위해서는 집단구성원들은 집단에 대해 긍정적으로 마음 이 끌려야 하고, 공유된 관심이 있다고 느끼고, 일 할 가치가 있다고 믿어야 한 다. 이런 끌리는 힘을 집단응집력이라고 한다. 응집력의 양은 대체로 다음과 같 은 비용과 대가의 지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대가로는 구성원들과의 친분, 개인적 목표달성, 집단에서 부여하는 지위, 즐거움, 정서적지지 등이며, 비용으 로는 싫은 사람과도 있어야 하는 일, 시간과 노력을 소비하는 일, 비평, 좋아하 지 않는 과업, 지루한 모임 등이다. 집단응집력이 강하려면 성원간에 상호작용 이 있어야 하고, 집단과업과 목적이 잘 성취될 것으로 보이며, 또한 집단사회복 지사나 기관이 집단과 긍정적으로 상호작용해야 한다. 성원의 소속감은 집단의 분위기에 의해 생긴다. 우호적이고 유쾌한 상호작용이 있고 의사결정에 자신이 관여한다고 느낄 때 성원들은 존중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따라서 성원간의 신뢰, 효과적 의사소통, 협력 등은 응집력에 중요한 변수가 된다.
⑦ 집단원의 특징: 집단원 특유의 반응 양식. 소극적인 사람들만 모였다 또는 외향적인 사 람들만 모였다 이러면 상작용이 잘 안 일어날 수도 있고, 서로 주도권을 쥐려고 경쟁하는 상호작용만 일어날 수도 있다.
⑧ 집단지도자의 요소: 집단지도자가 집단역동이 잘 생기게 할 수 있는 전문가라는 것으로 집단을 지배하거나 개입하지는 않지만, 민감하게 집단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집단이 파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집단지도자는 집단원의 관계를 상호작용적 관계 로 유지시킨다.
⑦ 집단원의 특징: 집단원 특유의 반응 양식. 소극적인 사람들만 모였다 또는 외향적인 사 람들만 모였다 이러면 상작용이 잘 안 일어날 수도 있고, 서로 주도권을 쥐려고 경쟁하는 상호작용만 일어날 수도 있다.
⑧ 집단지도자의 요소: 집단지도자가 집단역동이 잘 생기게 할 수 있는 전문가라는 것으로 집단을 지배하거나 개입하지는 않지만, 민감하게 집단의 움직임을 관찰하면서 집단이 파괴적인 방향으로 나아가지 않도록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집단지도자는 집단원의 관계를 상호작용적 관계 로 유지시킨다.
추천자료
사회복지실천기술 - 가족과 집단 접근
(사회복지실천기술론)집단역동성의 개념, 중요성, 구성요소, 사회복지사의 역할, 집단성원, ...
집단과 조직 -집단과 조직의 특성, 집단과 조직의 유형 및 역동성, 사회체계로서의 집단과 조...
우리나라 베이비부머(Babyboomer)의 은퇴로 인한 심각한 사회문제 해결방안을 집단 대상 실천...
집단프로그램 사업계획서 - 사회복지 상담기관 탐방 및 현장체험 : 사업개요, 세부일정, 세부...
거시적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문제와 표...
[실천 기술의 특성] 사회복지실천현장에서의 클라이언트인 개인, 가족, 집단 대상의 서비스...
[사회복지실천론] 개인, 집단, 가족, 지역 사회 수준의 사회복지 실천 기술을 초기과정(인...
거시적 지역사회복지 실천을 하기 위한 과정으로서 자신이 거주하고 있는 지역의 문제와 표적...
[사회복지실천방법론] 사회복지실천방법(개인대상 실천기술 집단대상 실천기술 가족대상 실천...
사회복지실천과정에서 집단을 대상으로 한 개입 중 치료가 필요한 집단을 선정하고(예 청소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