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 팍스 에스파냐
- 태양이 지는 나라
무적함대의 패배
경제구조의 결점
스페인 내부의 이민족에 대한 정책
3. 결론
2. 본론
- 팍스 에스파냐
- 태양이 지는 나라
무적함대의 패배
경제구조의 결점
스페인 내부의 이민족에 대한 정책
3. 결론
본문내용
미치지 않는 별개의 세계로 여겨왔다. 하지만 스페인 흥망이 유럽을 비롯한 세계역사에 끼친 일련의 과정을 고려해 볼때 스페인 역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 없이는 서양 유럽근대사는 물론 자본주의 역사의 이해도 대단히 불완전한 것이 될 수 밖에 없다.
16세기 스페인의 급격한 대외적 팽창은 세계사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신대륙 발견으로 상징되는 스페인의 해외팽창은 당시까지 상호 고립적으로 발전해 오고 있던 여러 문명들을 연계시킴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세계사’가 형성되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며 자본주의 경제의 형성과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신대륙 발견 이후 유럽각국은 해외 식민지 획득에 경쟁적으로 나서게 되었으며, 이렇게 건설된 식민지로부터 막대한 양의 귀금속이 유럽으로 유입되어 16세기 초를 기준으로 약 1세기 동안 물가가 2~3배 앙등하는 이른바 ‘가격혁명’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악성적인 것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유럽 경제에 자극제로 작용하였다.
스페인의 해외 팽창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럽 경제에 결정적으로 중요했던 것은 상인이나 제조업자를 위한 광대한 새로운 시장이 출현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거대한 해외 시장의 출현과 그것의 끊임없는 확대는 유럽 경제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자본이 축적되고 근대적 기업 형태인 주식회사가 출현하게 되었으며, 금융업은 보다 합리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하여 동적이고 세계적인 규모의 자본주의 체제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는 자본주의가 극도로 발달된 사회에 살고 있다. 자본주의 탄생의 기원이 스페인 흥망으로 인한 역사적 과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때, 우리는 스페인 근대사를 비롯한 스페인 전반에 대한 이해는 너무나 미흡한 상태에 있다. 서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스페인 흥망의 원인은 단순히 무적함대 패배라는 역사적 사실에서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여기서 살펴본 것처럼 사회경제적 원인뿐 아니라 스페인의 미숙한 관료제 등 정치 제도적 측면도 크다. 후에 서양사에 대한 수업을 수강하게 된다면 스페인 흥망의 원인을 사회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정치 제도적 측면까지 아울러 다루어 보고 싶다.
● 참고문헌
이매뉴얼 월러스타인. 근대세계체제 1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 의 기원). 까치
존 H. 엘리엇. 스페인 제국사 1469~1716. 까치
김성준. 15세기 유럽 팽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16세기 스페인의 급격한 대외적 팽창은 세계사 전개에 커다란 영향을 끼쳤다. 신대륙 발견으로 상징되는 스페인의 해외팽창은 당시까지 상호 고립적으로 발전해 오고 있던 여러 문명들을 연계시킴으로써 진정한 의미의 ‘세계사’가 형성되게 하는 하나의 계기가 되었으며 자본주의 경제의 형성과 발전에 큰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신대륙 발견 이후 유럽각국은 해외 식민지 획득에 경쟁적으로 나서게 되었으며, 이렇게 건설된 식민지로부터 막대한 양의 귀금속이 유럽으로 유입되어 16세기 초를 기준으로 약 1세기 동안 물가가 2~3배 앙등하는 이른바 ‘가격혁명’이 초래되었다. 이러한 인플레이션은 악성적인 것이 아니었으며 오히려 장기적으로는 유럽 경제에 자극제로 작용하였다.
스페인의 해외 팽창이 장기적인 관점에서 유럽 경제에 결정적으로 중요했던 것은 상인이나 제조업자를 위한 광대한 새로운 시장이 출현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거대한 해외 시장의 출현과 그것의 끊임없는 확대는 유럽 경제를 비약적으로 발전시켜 새로운 자본이 축적되고 근대적 기업 형태인 주식회사가 출현하게 되었으며, 금융업은 보다 합리적인 체제를 갖추게 되었다. 그리하여 동적이고 세계적인 규모의 자본주의 체제가 본격적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현재 우리는 자본주의가 극도로 발달된 사회에 살고 있다. 자본주의 탄생의 기원이 스페인 흥망으로 인한 역사적 과정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때, 우리는 스페인 근대사를 비롯한 스페인 전반에 대한 이해는 너무나 미흡한 상태에 있다. 서론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스페인 흥망의 원인은 단순히 무적함대 패배라는 역사적 사실에서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여기서 살펴본 것처럼 사회경제적 원인뿐 아니라 스페인의 미숙한 관료제 등 정치 제도적 측면도 크다. 후에 서양사에 대한 수업을 수강하게 된다면 스페인 흥망의 원인을 사회경제적 측면뿐 아니라 정치 제도적 측면까지 아울러 다루어 보고 싶다.
● 참고문헌
이매뉴얼 월러스타인. 근대세계체제 1 (자본주의적 농업과 16세기 유럽 세계경제 의 기원). 까치
존 H. 엘리엇. 스페인 제국사 1469~1716. 까치
김성준. 15세기 유럽 팽창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