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Ⅱ. 리더십의 중요성
Ⅲ.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 유형
1. 특성이론 중 ‘위인이론’으로 본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
2. ‘행동이론’으로 본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
3. 카리스마적 리더십
4. 그 외의 리더십 덕목
Ⅳ. 결
Ⅱ. 리더십의 중요성
Ⅲ.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 유형
1. 특성이론 중 ‘위인이론’으로 본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
2. ‘행동이론’으로 본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
3. 카리스마적 리더십
4. 그 외의 리더십 덕목
Ⅳ. 결
본문내용
지금까지 여러 가지 이론에 비추어 이명박 대통령의 리더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그는 36살의 젊은 나이로 현대건설 사장을 지내면서 줄곧 높은 곳에서 경영을 해왔다. 그리고 결국엔 대한민국을 이끄는 리더로 올라섰다. 그의 삶 속에서 성공적인 리더의 요건을 찾아보면 이와 같다. ‘먼저 리더는 작건 크건 꿈 또는 비전을 가져야하고, 이를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설득하기 위한 능력을 가지고 몸소 실천함으로서 타의 모범이 되어야한다. 그럼으로써 신뢰성 역시 쌓이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을 두루 포용할 수 있는 넓은 도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명박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이 모든 리더의 요건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전제조건이자, 구성원들의 과업에 의미부여를 할 수 있는 철학을 갖추고 있었다. 약간 무모할 수도 있지만, 철저히 계산되고 건전하고 긍정적이며 진취적인 그의 철학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 것이다.
다만 필자가 걱정하는 것은 경영과 행정·정치의 차이이다. 기업을 경영하는 것과 국가를 이끌어 가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단편적인 예로 기업은 사익, 이윤을 추구 하지만 국가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한다. 그런데 위에서 볼 수 있듯이 국민을 생각하지 않고 비용편익만 따져서 이윤을 추구하려는 행태는 국가의 리더로서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본다.
현대 사회에서 추구되고 요구되는 리더십은 ‘협력과 조화의 리더십’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위에서 살펴본 리더십의 좋은 덕목을 가지고, 조금만 더 국민과 대화를 하고 부하들의 말을 들으면서 협력하고 조화를 꾀한다면, 좋은 리더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쇠고기 파동 이후 ‘이제야 정치를 알 것 같다.’라고 말한 이명박... 최고의 CEO로 살아온 그가 현재 닥친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여 성공한 국가의 리더로 발돋움을 할 것인지 기대해본다.
※ 참고문헌
1. 김대우, 『불멸의 리더십 이명박』, 서울 : 미소, 2005
2. 이정규, 『황소 이명박』, 서울 : 밝은 세상, 2005
3. 김호진, 『한국의 대통령과 리더십』, 서울 : 청림, 2008
4. 한겨레신문(2008.8.25), “이명박 정부 출범 6개월/MB 리더십 문제”
5. 한겨레신문(2008.3.24), “이명박 대통령 취임 한달/성과 중시 ‘CEO형 리더십”
6. 한겨레신문(2008.8.25), “이명박 정부 출범 6개월”
7. 이데일리안(2007.2.25), “이명박 리더십 ①`실용과 현장중심의 불도저 ”
그는 36살의 젊은 나이로 현대건설 사장을 지내면서 줄곧 높은 곳에서 경영을 해왔다. 그리고 결국엔 대한민국을 이끄는 리더로 올라섰다. 그의 삶 속에서 성공적인 리더의 요건을 찾아보면 이와 같다. ‘먼저 리더는 작건 크건 꿈 또는 비전을 가져야하고, 이를 조직의 구성원들에게 설득하기 위한 능력을 가지고 몸소 실천함으로서 타의 모범이 되어야한다. 그럼으로써 신뢰성 역시 쌓이게 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구성원들을 두루 포용할 수 있는 넓은 도량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또 이명박 대통령은 무엇보다도 이 모든 리더의 요건을 현실화시키기 위한 전제조건이자, 구성원들의 과업에 의미부여를 할 수 있는 철학을 갖추고 있었다. 약간 무모할 수도 있지만, 철저히 계산되고 건전하고 긍정적이며 진취적인 그의 철학에서 모든 것이 시작된 것이다.
다만 필자가 걱정하는 것은 경영과 행정·정치의 차이이다. 기업을 경영하는 것과 국가를 이끌어 가는 것은 엄청난 차이가 있다. 단편적인 예로 기업은 사익, 이윤을 추구 하지만 국가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한다. 그런데 위에서 볼 수 있듯이 국민을 생각하지 않고 비용편익만 따져서 이윤을 추구하려는 행태는 국가의 리더로서 해서는 안 될 일이라고 본다.
현대 사회에서 추구되고 요구되는 리더십은 ‘협력과 조화의 리더십’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위에서 살펴본 리더십의 좋은 덕목을 가지고, 조금만 더 국민과 대화를 하고 부하들의 말을 들으면서 협력하고 조화를 꾀한다면, 좋은 리더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다. 쇠고기 파동 이후 ‘이제야 정치를 알 것 같다.’라고 말한 이명박... 최고의 CEO로 살아온 그가 현재 닥친 난관을 어떻게 극복하여 성공한 국가의 리더로 발돋움을 할 것인지 기대해본다.
※ 참고문헌
1. 김대우, 『불멸의 리더십 이명박』, 서울 : 미소, 2005
2. 이정규, 『황소 이명박』, 서울 : 밝은 세상, 2005
3. 김호진, 『한국의 대통령과 리더십』, 서울 : 청림, 2008
4. 한겨레신문(2008.8.25), “이명박 정부 출범 6개월/MB 리더십 문제”
5. 한겨레신문(2008.3.24), “이명박 대통령 취임 한달/성과 중시 ‘CEO형 리더십”
6. 한겨레신문(2008.8.25), “이명박 정부 출범 6개월”
7. 이데일리안(2007.2.25), “이명박 리더십 ①`실용과 현장중심의 불도저 ”
추천자료
우리나라 역대 대통령에 대한 조사
한국 역대 대통령의 리더쉽
한국 역대 대통령 리더쉽 비교연구
[한국정부론]대통령비서진의 출신 및 학력배경과 재임기간에 대한 분석
한국에 있어서 바람직한 대통령 상 고찰
[리더쉽] 역대 대통령들의 리더쉽
대한민국 정부 대통령.
한국 역대 대통령의 리거십.
내가 바라는 대통령
정치 및 역사-이승만 대통령 업적 평가(과와 실)
리더십 - 성공한 리더십 VS 실패한 리더십(세종대왕 리더십과 장면 총리 리더십)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ppt
노무현과 링컨의 비교와 성공한 대통령으로 남는 길 (낮은 사람이 겸손한 권력으로 강한 나라...
윤보선&장면 격변시대의 대통령과 총리.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