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적 >
< Part 1 >
< Part 2 >
< Part 3 >
< PROBLEMS >
< 실험에 대한 고찰 >
< Part 1 >
< Part 2 >
< Part 3 >
< PROBLEMS >
< 실험에 대한 고찰 >
본문내용
d :
Table 7.6
Calculated
Measured
Calculated
Measured
→ 계 산 과 정
Calculated :
Calculated :
Measured :
(i) Are you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part (g) and (h)? Comment accordingly.
part (g)와 part (h)의 결과를 살펴보면 각각의 의 계산값과 측정값 및 의 계산값과 측정값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지만,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7.7
→ 계 산 과 정
< Part 3 >
Table 7.8
3.5div
4.0div
3.6div
7.2div
2.0div
8.0div
→ 계 산 과 정
Table 7.9
2.99%
8.34%
4.55%
→ 계 산 과 정
(d) Which method do you believe provided the higher degree of accuracy for determining ? With which method are you more comfortable? Why?
Dual-Trace 방법을 사용하여 를 찾아내는 방법이 Lissajous-Pattern을 사용하는 방법 보다 더 정확하다. Dual-Trace 방법을 사용하여 위상 차이를 측정할 때에 두 신호의 0V축을 정확히 일치시켜 오차를 줄 일 수 있으므로, Lissajous-Pattern을 사용하여 , 을 근사적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 PROBLEMS >
1. Determine the phase shift between the two sinusoidal voltages of Fig. 7.13.
→ 계 산 과 정
의 한 주기() : 4div. 과 주기의 차이() : 0.8div.
2. Determine the phase shift between two sinusoidal waveforms that established the Lissajous pattern of Fig. 7.14.
→ 계 산 과 정
: 4.8div. : 3.6div.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두 수직 채널을 사용하여 두 사인함수의 파형사이의 페이져 각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증명하여 보고, 리사주 패턴을 사용하여 두 사인함수의 파형사이의 페이져 각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직렬 연결된 R-C회로의 페이져 각이 레지스턴스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 대하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무엇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Dual-Trace 해석법, Lissajous-Pattern을 사용하여 페이져 각을 계산하여 보고 페이져 각과의 관계 대해 구체적으로 실험을 통해 공부 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아 뜻 깊었고, 오실로스코프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위상각을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서 많은 것을 실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서 보람 있었다. 하지만, 아직 오실로스코프 단자의 정확한 명칭과 사용법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하여 실험을 보다 매끄럽게 진행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교류 전원의 회로에서 페이져 각을 해석하고 계산하는것은 회로를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과정인데, 평소 식으로만 외우고 해석하여서 그 원리는 잘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이번기회를 통해 원리와 이해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평소 회로이론 시간에 수식으로만 접하던 페이져 각을 직접 측정하고 실험과정(Dual-Trace 해석방법 및 Lissajous-Pattern을 이용한 페이져 각 측정)을 통해 직접 증명하는 과정은 평소 아무 생각 없이 외우고 사용하던 식의 의미와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Table 7.6
Calculated
Measured
Calculated
Measured
→ 계 산 과 정
Calculated :
Calculated :
Measured :
(i) Are you satisfied with the results of part (g) and (h)? Comment accordingly.
part (g)와 part (h)의 결과를 살펴보면 각각의 의 계산값과 측정값 및 의 계산값과 측정값은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지만, 거의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Table 7.7
→ 계 산 과 정
< Part 3 >
Table 7.8
3.5div
4.0div
3.6div
7.2div
2.0div
8.0div
→ 계 산 과 정
Table 7.9
2.99%
8.34%
4.55%
→ 계 산 과 정
(d) Which method do you believe provided the higher degree of accuracy for determining ? With which method are you more comfortable? Why?
Dual-Trace 방법을 사용하여 를 찾아내는 방법이 Lissajous-Pattern을 사용하는 방법 보다 더 정확하다. Dual-Trace 방법을 사용하여 위상 차이를 측정할 때에 두 신호의 0V축을 정확히 일치시켜 오차를 줄 일 수 있으므로, Lissajous-Pattern을 사용하여 , 을 근사적으로 측정하는 것보다 더 정확하다고 할 수 있다.
< PROBLEMS >
1. Determine the phase shift between the two sinusoidal voltages of Fig. 7.13.
→ 계 산 과 정
의 한 주기() : 4div. 과 주기의 차이() : 0.8div.
2. Determine the phase shift between two sinusoidal waveforms that established the Lissajous pattern of Fig. 7.14.
→ 계 산 과 정
: 4.8div. : 3.6div.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두 수직 채널을 사용하여 두 사인함수의 파형사이의 페이져 각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증명하여 보고, 리사주 패턴을 사용하여 두 사인함수의 파형사이의 페이져 각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그리고 직렬 연결된 R-C회로의 페이져 각이 레지스턴스가 증가함에 따라 나타나는 변화 대하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무엇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Dual-Trace 해석법, Lissajous-Pattern을 사용하여 페이져 각을 계산하여 보고 페이져 각과의 관계 대해 구체적으로 실험을 통해 공부 할 수 있는 계기가 된 것 같아 뜻 깊었고, 오실로스코프를 다양하게 사용하여 위상각을 구체적으로 알아봄으로서 많은 것을 실험을 통해 배울 수 있어서 보람 있었다. 하지만, 아직 오실로스코프 단자의 정확한 명칭과 사용법에 대해서 좀 더 공부하여 실험을 보다 매끄럽게 진행 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교류 전원의 회로에서 페이져 각을 해석하고 계산하는것은 회로를 해석하고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과정인데, 평소 식으로만 외우고 해석하여서 그 원리는 잘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이번기회를 통해 원리와 이해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평소 회로이론 시간에 수식으로만 접하던 페이져 각을 직접 측정하고 실험과정(Dual-Trace 해석방법 및 Lissajous-Pattern을 이용한 페이져 각 측정)을 통해 직접 증명하는 과정은 평소 아무 생각 없이 외우고 사용하던 식의 의미와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기초실험지식
기초 회로 이론 및 실험
[화공기초실험] 산화 환원 적정(예비레포트)
변압기 모형과 그 전기적회로 유도 실험
열의 전기적 일당량 측정 실험
Oscilloscope[오실로스코프 파동실험] 및 DC 회로
오실로스코프(oscilloscope) 측정 - 여러 전공실험에서 사용될 핵심적이고 중요한 관측 실험 ...
[물리학 실험] 4 기초회로실험
재료공학 기초 실험 - 광학현미경 조직검사 및 시편준비
[물리응용실험] 열의 역학적 일당량 측정 실험 & 열의 전기적 일당량 측정 실험
물리 실험 평행판전극의 전기력 측정[결과]
기초 실험용 계측장비 사용법(결과)(기초회로실험)
단백질 전기영동(생화학실험)
경희대 기초회로실험 결과보고서(lab 20)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