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적 >
< Part 1 Introduction >
< Part 2 dc Voltage Measurements >
< Part 3 Sinusoidal Waveforms-Magnitude >
< Part 4 Sinusoidal Waveforms-Frequency >
< Part 5 Sinusoidal Waveforms on a dc Level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 Part 1 Introduction >
< Part 2 dc Voltage Measurements >
< Part 3 Sinusoidal Waveforms-Magnitude >
< Part 4 Sinusoidal Waveforms-Frequency >
< Part 5 Sinusoidal Waveforms on a dc Level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본문내용
Division 만큼 이동)될 뿐이지 파형의 패턴이나 모양은 변화하지 않는다.
How does the vertical shift compare to the dc level of the battery?
두 개의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AC모드와 DC모드의 차이는 AC모드에서 건전지 DC전압의 크기만큼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이 이동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건전지의 전압의 크기가 1.5V이므로 위쪽으로 1.5 Division 이동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h) Switch to the GND mode and describe what happened to the waveform. In general, what is the effect of switching to the GND position, no matter where the leads of the scope are connected?
GND 모드에서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은 X축과 일치하게 된다. 오실로스코프가 접지(0V)가 되므로 파형이 X축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오실로스코프의 연결과는 상관없이 GND 모드에서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은 X축과 일치하게 된다.
< EXERCISES >
1. Write the sinusoidal expression for the waveform appearing in Fig.2.12.
Vertical sensitivity = 4V/div.
Horizontal Sensitivity = 5/div.
→ 계 산 과 정
따라서,
2. Sketch the waveform defined by
Vertical sensitivity = 1V/div.
Horizontal Sensitivity = 12.5μs/div.
FIG 2.13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은 의 파형에서 에서 만큼 이동된 파형임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위 그래프와 같이 그릴 수 있다.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오실로스코프의 구조 및 구성요소 그리고 기초적인 작동을 실험 과정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았고, 또 함수 발생기의 진폭 및 주파수 설정을 대해서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직류 및 교류의 전압을 측정하는 사용법을 이해하고, 화면상의 파형에서 AC/DC/GND 스위치의 영향에 대해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실험의 가장 큰 목적인 오실로스코프의 각 단자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처음 다루는 기기여서 각 단자의 기능을 직접 하나 하나 작동시켜보면서 각 단자의 기능을 확인하였지만 매우 헷갈렸다. 기본적인 Focus, Intensity, Y-position, X-position 및 Vertical Shift, Vertical Sensitivity 등 정확한 각 단자의 기능과 용어에 대한 정의를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 ac 실험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실험 과정에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지만, 처음 사용하는 기기여서 단자의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아직도 헷갈리는 부분이 적지 않다. 또한 기기의 사용법을 잘 몰라서, 파형 발생기를 사용할 때 크기가 작은 전압을 설정하는 방법과 오실로스코프에서 ‘VOLTS/DIV'의 보조 단자를 사용하면 ‘VOLTS/DIV'단자가 표시하는 눈금 당 전압값이 무의미해진다는 사실 등 아직 배우고 익혀야 할 것들이 너무 많은것 같았다. 앞으로 계속 기기 단자의 사용법과 설명을 꾸준하게 습득하여 보다 정확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평소 선배들을 통해서 듣던 오실로스코프를 직접 작동해보고 사용해봄으로써 오실로스코프를 이해하고 공부하여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어서 매우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How does the vertical shift compare to the dc level of the battery?
두 개의 그래프를 비교해보면 AC모드와 DC모드의 차이는 AC모드에서 건전지 DC전압의 크기만큼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이 이동됨을 확인 할 수 있다. 건전지의 전압의 크기가 1.5V이므로 위쪽으로 1.5 Division 이동된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h) Switch to the GND mode and describe what happened to the waveform. In general, what is the effect of switching to the GND position, no matter where the leads of the scope are connected?
GND 모드에서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은 X축과 일치하게 된다. 오실로스코프가 접지(0V)가 되므로 파형이 X축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이것은 오실로스코프의 연결과는 상관없이 GND 모드에서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은 X축과 일치하게 된다.
< EXERCISES >
1. Write the sinusoidal expression for the waveform appearing in Fig.2.12.
Vertical sensitivity = 4V/div.
Horizontal Sensitivity = 5/div.
→ 계 산 과 정
따라서,
2. Sketch the waveform defined by
Vertical sensitivity = 1V/div.
Horizontal Sensitivity = 12.5μs/div.
FIG 2.13
오실로스코프의 파형은 의 파형에서 에서 만큼 이동된 파형임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으며, 위 그래프와 같이 그릴 수 있다.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오실로스코프의 구조 및 구성요소 그리고 기초적인 작동을 실험 과정을 통해 직접 확인해보았고, 또 함수 발생기의 진폭 및 주파수 설정을 대해서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그리고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직류 및 교류의 전압을 측정하는 사용법을 이해하고, 화면상의 파형에서 AC/DC/GND 스위치의 영향에 대해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실험의 가장 큰 목적인 오실로스코프의 각 단자의 기능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처음 다루는 기기여서 각 단자의 기능을 직접 하나 하나 작동시켜보면서 각 단자의 기능을 확인하였지만 매우 헷갈렸다. 기본적인 Focus, Intensity, Y-position, X-position 및 Vertical Shift, Vertical Sensitivity 등 정확한 각 단자의 기능과 용어에 대한 정의를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 ac 실험을 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 같다.
실험 과정에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지만, 처음 사용하는 기기여서 단자의 기능을 이해하고 사용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렸고, 아직도 헷갈리는 부분이 적지 않다. 또한 기기의 사용법을 잘 몰라서, 파형 발생기를 사용할 때 크기가 작은 전압을 설정하는 방법과 오실로스코프에서 ‘VOLTS/DIV'의 보조 단자를 사용하면 ‘VOLTS/DIV'단자가 표시하는 눈금 당 전압값이 무의미해진다는 사실 등 아직 배우고 익혀야 할 것들이 너무 많은것 같았다. 앞으로 계속 기기 단자의 사용법과 설명을 꾸준하게 습득하여 보다 정확한 실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평소 선배들을 통해서 듣던 오실로스코프를 직접 작동해보고 사용해봄으로써 오실로스코프를 이해하고 공부하여 기초지식을 쌓을 수 있어서 매우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자전기실험 - 예비보고서 3 [분압기의 설계]
전자전기실험 다단 증폭기(결과)
전기공학실험 R-L-C 병렬공진회로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3 예비보고서-공통이미터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8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다이오드 접합을 시험하기 위한 ...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4 예비보고서-공통콜렉터 증폭기(이미터폴로워)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6 결과보고서-공통베이스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0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바이어스
[전기전자실험] RC RL 주파수응답
[전기전자실험] RLC 공진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