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Part 1 R-L Parallel Network >
< Part 2 R-C Parallel Network >
< Part 3 R-L-C Parallel Network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 Part 2 R-C Parallel Network >
< Part 3 R-L-C Parallel Network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본문내용
36.73
4.9div
1.3div
95.5
(g)
→ 계 산 과 정
(h)
→ 계 산 과 정
(i)
→ 계 산 과 정
(j) Is the source current larger in magnitude than each branch current? Does it have to be?
위상각이 다르기 때문에 의 값이 더 작게 나온다. 하지만 피타고라스 정리를 적용해서 구하면 맞는 값을 가진다.
(k)
Table 9.7
(l) How does the magnitude of compare to the magnitude of or ? For a parallel R-C ac network, does have to be less in magnitude than R or ?
합성 저항값은 의 식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에 더 작은 값이 나온다.
(m) How does compare to the measured value? From the phasor diagram, determine the angle between and (same as between and ), the angle between and , and the angle between and . Enter the results in Table 9.8.
의 값은 측정값과 계산값이 거의 같은 값을 가진다.
Table 9.8
9.42mA
9mA
35.64
-57.96
93.6
(n) How do the calculated values of , and compare with the measured values of parts 2(d) and 2(g)? How does the sum =+ for measured values compare to the theoretical value of ?
위상각의 합이 거의 에 근사한 값을 얻었으며, 전류의 값도 거의 같은 값을 얻었다.
< Part 3 R-L-C Parallel Network >
(b)
→ 계 산 과 정
Table 9.9
Calculated
Measured
8mA
12mA
12.7mA
10mA
5mA
0.1mA
8mA
8mA
0.011V
0.12V
0.013V
0.1V
0.05V
0.001V
(c)
→ 계 산 과 정
(d)
→ 계 산 과 정
(e)
→ 계 산 과 정
Table 9.10
Method One
Method Two
5div
0.6div
(h)
→비 교
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회로 전체의 임피던스값을 구하면 큰 차이가 났다.
< EXERCISES >
1. Determine , , and then for the network of Fig. 9.7. at a frequency of .
→ 계 산 과 정
2. For the case of Problem 1, is less than each of the parallel components at .
은 이고 는 이므로 임피던스가더 큰 값을 가진다.
3. For a parallel R-L-C ac network, are there frequencies where the total impedance can be greater than, less than, or equal to the smallest parallel impedance (R, , or ) of the network? Don't go into a lot of detail. Just discuss the subject in general and the effect of frequency on the possibilities.
낮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낮고, 커페시터의 임피던스는 커진다. 반대로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커페시터의 임피던스가 작아지므로, 높은 주파수에서는 전체 임피던스 값이 더커진다.
4. Using PSpice, determine all the currents for the network of Fig. 9.7 and compare with the results from the measured column of Table 9.9. Attach all appropriate printouts.
직접 측정한 값과,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전류의 크기와 그와 관련된 페이져 각의 정의에서 감지 저항의 유용성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input 임피던스 정의 대해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 회로의 각 전류과 관련된 페이져 각의 정의에서 dual-trace 해석법의 적용에 대해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 실제 측정값을 통하여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증명해 보았다. 그리고 회로망의 구성요소가 병렬로 연결된 회로망에서 인덕터적인 요소, 캐퍼시터적인 요소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무엇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Dual-Trace 해석법을 사용하여 페이져 각을 계산하여 각 회로 요소의 위상차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교류 회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실험 중 크게 어려운 것은 없었으나, 직류회로를 다루는데 너무익숙해서 직류회로를 해석하듯이 교류회로를 해석하여 약간 헷갈리는 부분이있었다. 특히 회로를 해석해가면서 수식을 사용하여 회로 구성 요소를 파악할 때 더욱 주의가 필요할 것 같다.
교류 전원의 회로에서 페이져 각을 해석하고 계산하여 위상차이를 아는 것은 회로 전반을 해석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과정인데, 평소 식으로만 외우고 해석하여서 그 원리는 잘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이번기회를 통해 원리와 이해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평소 회로이론 시간에 수식으로만 접하던 페이져 각을 직접 측정하고 실험과정(Dual-Trace 해석방법 이용한 페이져 각 측정)을 통해 직접 증명하는 과정은 평소 아무 생각 없이 외우고 사용하던 식의 의미와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4.9div
1.3div
95.5
(g)
→ 계 산 과 정
(h)
→ 계 산 과 정
(i)
→ 계 산 과 정
(j) Is the source current larger in magnitude than each branch current? Does it have to be?
위상각이 다르기 때문에 의 값이 더 작게 나온다. 하지만 피타고라스 정리를 적용해서 구하면 맞는 값을 가진다.
(k)
Table 9.7
(l) How does the magnitude of compare to the magnitude of or ? For a parallel R-C ac network, does have to be less in magnitude than R or ?
합성 저항값은 의 식에 의해서 얻어지기 때문에 더 작은 값이 나온다.
(m) How does compare to the measured value? From the phasor diagram, determine the angle between and (same as between and ), the angle between and , and the angle between and . Enter the results in Table 9.8.
의 값은 측정값과 계산값이 거의 같은 값을 가진다.
Table 9.8
9.42mA
9mA
35.64
-57.96
93.6
(n) How do the calculated values of , and compare with the measured values of parts 2(d) and 2(g)? How does the sum =+ for measured values compare to the theoretical value of ?
위상각의 합이 거의 에 근사한 값을 얻었으며, 전류의 값도 거의 같은 값을 얻었다.
< Part 3 R-L-C Parallel Network >
(b)
→ 계 산 과 정
Table 9.9
Calculated
Measured
8mA
12mA
12.7mA
10mA
5mA
0.1mA
8mA
8mA
0.011V
0.12V
0.013V
0.1V
0.05V
0.001V
(c)
→ 계 산 과 정
(d)
→ 계 산 과 정
(e)
→ 계 산 과 정
Table 9.10
Method One
Method Two
5div
0.6div
(h)
→비 교
는 거의 차이가 나지 않는다. 하지만 회로 전체의 임피던스값을 구하면 큰 차이가 났다.
< EXERCISES >
1. Determine , , and then for the network of Fig. 9.7. at a frequency of .
→ 계 산 과 정
2. For the case of Problem 1, is less than each of the parallel components at .
은 이고 는 이므로 임피던스가더 큰 값을 가진다.
3. For a parallel R-L-C ac network, are there frequencies where the total impedance can be greater than, less than, or equal to the smallest parallel impedance (R, , or ) of the network? Don't go into a lot of detail. Just discuss the subject in general and the effect of frequency on the possibilities.
낮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낮고, 커페시터의 임피던스는 커진다. 반대로 높은 주파수에서는 인덕터의 임피던스가 커지고, 커페시터의 임피던스가 작아지므로, 높은 주파수에서는 전체 임피던스 값이 더커진다.
4. Using PSpice, determine all the currents for the network of Fig. 9.7 and compare with the results from the measured column of Table 9.9. Attach all appropriate printouts.
직접 측정한 값과,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전류의 크기와 그와 관련된 페이져 각의 정의에서 감지 저항의 유용성에 대하여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 실험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input 임피던스 정의 대해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았다. 또, 회로의 각 전류과 관련된 페이져 각의 정의에서 dual-trace 해석법의 적용에 대해서 실험을 통하여 알아보고, 실제 측정값을 통하여 키르히호프의 전류 법칙을 증명해 보았다. 그리고 회로망의 구성요소가 병렬로 연결된 회로망에서 인덕터적인 요소, 캐퍼시터적인 요소의 상호관계에 대하여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무엇보다 오실로스코프를 사용하여 Dual-Trace 해석법을 사용하여 페이져 각을 계산하여 각 회로 요소의 위상차이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어서, 교류 회로를 이해하고 해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실험 중 크게 어려운 것은 없었으나, 직류회로를 다루는데 너무익숙해서 직류회로를 해석하듯이 교류회로를 해석하여 약간 헷갈리는 부분이있었다. 특히 회로를 해석해가면서 수식을 사용하여 회로 구성 요소를 파악할 때 더욱 주의가 필요할 것 같다.
교류 전원의 회로에서 페이져 각을 해석하고 계산하여 위상차이를 아는 것은 회로 전반을 해석하는데 가장 기초적이고도 중요한 과정인데, 평소 식으로만 외우고 해석하여서 그 원리는 잘 이해하지 못했었는데, 이번기회를 통해 원리와 이해를 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평소 회로이론 시간에 수식으로만 접하던 페이져 각을 직접 측정하고 실험과정(Dual-Trace 해석방법 이용한 페이져 각 측정)을 통해 직접 증명하는 과정은 평소 아무 생각 없이 외우고 사용하던 식의 의미와 원리를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추천자료
전자전기실험 - 예비보고서 3 [분압기의 설계]
전자전기실험 다단 증폭기(결과)
전기공학실험 R-L-C 병렬공진회로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3 예비보고서-공통이미터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8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다이오드 접합을 시험하기 위한 ...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4 예비보고서-공통콜렉터 증폭기(이미터폴로워)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6 결과보고서-공통베이스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0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바이어스
[전기전자실험] RC RL 주파수응답
[전기전자실험] RLC 공진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