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적 >
< Part 1 Branch-current Analysis >
< Part 2 Mesh Analysis >
< Part 3 Nodal Analysis >
< Part 4 Bridge Network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 Part 1 Branch-current Analysis >
< Part 2 Mesh Analysis >
< Part 3 Nodal Analysis >
< Part 4 Bridge Network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본문내용
Table 13.7
→ 계 산 과 정
mesh 해석법을 적용 :
식을 연립하여 계산하면,
< EXERCISES >
1. Many times one is faced with the question of which method to use in a particular problem. The laboratory activity does not prepare one to make such choices but only shows that the methods work and are solid. From your experience in this activity, summarize in your own words which method you prefer and why you chose the method you did for the analysis of part 4.
part 4의 회로를 해석할 때 mesh analysis를 이용했다. 항상 모든 회로를 해석 하는 방법에 직면하면 그 회로를 어떤 방법으로 해석해야 할지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는데, 이 회로에서는 합성저항을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각 mesh를 설정하여 mesh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인 mesh analysis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2. For the network of Fig.13.1, record the measured values of and from Table 13.1 to Table 13.8. Then, using PSpice or Multisim, determine the branch currents and record in Table 13.8.
Table 13.8
=
=
=
Compare the results and comment accordingly. Attach all appropriate printouts.
직접 측정한 값과,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 PSpice 첨부 1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branch-current 분석법, mesh-(loop-)분석법, nodal분석법을 실험을 통해서 직접 적용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각각의 회로를 branch-current 분석법, mesh-(loop-)분석법, nodal분석법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해석을 통해 얻어진 값(계산값)과 실제 측정을 통한 값의 오차를 비교하여 각 분석법이 유용하다는 사실을 알아보았다. 특히 mesh-(loop-)분석법, nodal분석법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석법으로 보다 정확한 적용방법을 익혀서 회로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보다 많은 회로 해석 연습을 통해서 Part4 Bridge Network에서의 회로와 같이 복잡한 회로도 해석법을 적용하여 회로를 단순히 만들고 해석하는 능력을 길러야함을 실험을 통해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실험 과정에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지만, 전류와 전압을 측정할 때 측정 방향에 주의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앞으로 회로를 보고 어떤 해석법으로 회로를 해석해야지 빠르고 정확하게 회로를 해석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평소 어렵게 느껴지던 회로분석법을 회로에 적용하는데 적용 원리와 분석법의 사용법을 익히는데 자신감을 다시 찾은 것 같다. 꾸준히 회로 분석법을 공부하고 적용하는 연습을 통해, 회로를 분석하여 사용하는데 능숙해져야하겠다. 회로 분석법을 배우는 의미 있는 실험시간이 된 것 같다.
→ 계 산 과 정
mesh 해석법을 적용 :
식을 연립하여 계산하면,
< EXERCISES >
1. Many times one is faced with the question of which method to use in a particular problem. The laboratory activity does not prepare one to make such choices but only shows that the methods work and are solid. From your experience in this activity, summarize in your own words which method you prefer and why you chose the method you did for the analysis of part 4.
part 4의 회로를 해석할 때 mesh analysis를 이용했다. 항상 모든 회로를 해석 하는 방법에 직면하면 그 회로를 어떤 방법으로 해석해야 할지에 대하여 고민하게 되는데, 이 회로에서는 합성저항을 구하기가 어려우므로 각 mesh를 설정하여 mesh에 흐르는 전류를 계산하는 방법인 mesh analysis를 선택하여 문제를 해결했다.
2. For the network of Fig.13.1, record the measured values of and from Table 13.1 to Table 13.8. Then, using PSpice or Multisim, determine the branch currents and record in Table 13.8.
Table 13.8
=
=
=
Compare the results and comment accordingly. Attach all appropriate printouts.
직접 측정한 값과,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 PSpice 첨부 1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branch-current 분석법, mesh-(loop-)분석법, nodal분석법을 실험을 통해서 직접 적용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각각의 회로를 branch-current 분석법, mesh-(loop-)분석법, nodal분석법을 적용하여 해석하고, 해석을 통해 얻어진 값(계산값)과 실제 측정을 통한 값의 오차를 비교하여 각 분석법이 유용하다는 사실을 알아보았다. 특히 mesh-(loop-)분석법, nodal분석법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해석법으로 보다 정확한 적용방법을 익혀서 회로를 해석해야 할 것이다. 보다 많은 회로 해석 연습을 통해서 Part4 Bridge Network에서의 회로와 같이 복잡한 회로도 해석법을 적용하여 회로를 단순히 만들고 해석하는 능력을 길러야함을 실험을 통해 절실히 느끼게 되었다.
실험 과정에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었지만, 전류와 전압을 측정할 때 측정 방향에 주의하여 측정하여야 한다. 앞으로 회로를 보고 어떤 해석법으로 회로를 해석해야지 빠르고 정확하게 회로를 해석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게 하는 실험이었다.
이번 실험을 통해서, 평소 어렵게 느껴지던 회로분석법을 회로에 적용하는데 적용 원리와 분석법의 사용법을 익히는데 자신감을 다시 찾은 것 같다. 꾸준히 회로 분석법을 공부하고 적용하는 연습을 통해, 회로를 분석하여 사용하는데 능숙해져야하겠다. 회로 분석법을 배우는 의미 있는 실험시간이 된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자전기실험 - 예비보고서 3 [분압기의 설계]
전자전기실험 다단 증폭기(결과)
전기공학실험 R-L-C 병렬공진회로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3 예비보고서-공통이미터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8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다이오드 접합을 시험하기 위한 ...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4 예비보고서-공통콜렉터 증폭기(이미터폴로워)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6 결과보고서-공통베이스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0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바이어스
[전기전자실험] RC RL 주파수응답
[전기전자실험] RLC 공진회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