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목 적 >
< Part 1 Thevenin\'s Theorem >
< Part 2 Maximum Power Transfer >
< Part 3 Maximum Power Transfer (Experimental Approach)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 Part 1 Thevenin\'s Theorem >
< Part 2 Maximum Power Transfer >
< Part 3 Maximum Power Transfer (Experimental Approach) >
< EXERCISES >
< 실험에 대한 고찰 >
본문내용
are?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나는 의 값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과, 실제 측정한 값(그래프를 그려 확인한 값) 두 값이 일치한다.
(c) Under maximum power transfer conditions, how are the voltage and related? Why?
최대전력전달 조건에서 과 는 의 관계에 있다. 그 이유는 두 저항에 똑같은 전압이 걸릴 때 최대전력전달이 되기 때문이다.
How does the measured value compare to the expected theoretical level?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나는 의 값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과, 실제 측정한 값, 두 값이 일치한다.
< Part 3 Maximum Power Transfer (Experimental Approach) >
(a)
Table 11.6
→ 계 산 과 정
(c) How do the calculated and measured values compare?
, 의 계산값(저항의 측정값 및 회로도에서 저항의 관계 : 직렬/병렬 관계 이용)과 실제 측정값이 거의 일치한다.
Table 11.7
0Ω
0V
0mW
25Ω
0.91V
33.12mW
50Ω
1.71V
58.48mW
100Ω
2.75V
75.63mW
150Ω
3.43V
78.43mW
200Ω
3.91V
76.44mW
250Ω
4.27V
72.93mW
300Ω
4.54V
68.71mW
350Ω
4.76V
64.74mW
400Ω
4.95V
61.26mW
450Ω
5.11V
58.03mW
500Ω
5.24V
54.92mW
→ 계 산 과 정
(d) Reviewing Graph 11.2, did maximum power transfer to the load occur when ? What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 results?
그래프를 직접 그려보면,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나는 을 확인해보면 일 때, 즉()에서 가장 큰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때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남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GRAPH 11.2
Nothing Graph 11.3, does when ? Comment accordingly.
일 때, 즉()일 때 그래프를 보면 약 임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일 때, 이 성립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GRAPH 11.3
< EXERCISES >
1. For the network of Fig 11.10:
(a) Determine and for the network external to the resistor.
→ 계 산 과 정
를 구할 때, 전압원 쇼트 / 전류원 오픈
a, b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라고 하면, 회로 탑 노드에 노드해석법 적용
따라서, 위 식을 계산하면
(b) Determine the power delivered to the resistor using the Thevevin equivalent circuit.
→ 계 산 과 정
에 걸리는 전압
(c) Is the power determined in part (b) the maximum power that could be delivered to a resistor between terminals a and b? If not, what is the maximum power?
→ 계 산 과 정
일 때 최대전력전달이 성립하며, 이때 이 성립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2. For the network of Fig. 11.2 record the measured values of and from Table 11.1 in Table 11.8. Then, using PSpice or Multisim, and methods described in the text Introductory Circuit Analysis, determine each quantity and record in Table 11.8
Table 11.8
Compare results for each quantity and try to explain any major differences. Attach all appropriate printouts.
직접 측정한 값과,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 PSpice 첨부 1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테브난의 정리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실험 과정에서 정의된 , 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회로에서 일 때, 최대 전력 전달의 정의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실험을 통해, 테브난의 정리가 어떻게 정의 되고, 와 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론적 지식을 회로도가 아닌 실제 회로를 구성하여 테브난의 정리를 증명하여 보았다. 또, 테브난의 회로에서 최대 전력 전달은 일 때,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한 측정으로 증명하였다.
이번 실험의 과정에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으나, 테브난의 정리(, )의 정의와 , 를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지를 정확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실험 목적에 맞는 실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전에 실험의 이론과 과정을 충분히 숙지한 후 실험을 하여야 이론적 지식을 실제 실험에 적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실험 전에 필히 실험 이론과 과정을 숙지한 후 실험을 하여야 할 것이다.
테브난의 정리는 전압원과 저항의 회로가 테브난 등가로 변환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회로 분석에서 단순화 기술로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테브난의 정리에서 정확한 개념과 계산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이번 실험을 통해서 테브난의 정리에 대해 다시 한번 개념을 정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평소 테브난의 정리를 이용하여 회로를 분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 테브난의 정리에 대한 개념 정리를 통한 실제 회로 적용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나는 의 값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과, 실제 측정한 값(그래프를 그려 확인한 값) 두 값이 일치한다.
(c) Under maximum power transfer conditions, how are the voltage and related? Why?
최대전력전달 조건에서 과 는 의 관계에 있다. 그 이유는 두 저항에 똑같은 전압이 걸릴 때 최대전력전달이 되기 때문이다.
How does the measured value compare to the expected theoretical level?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나는 의 값은 이론적으로 예상한 값과, 실제 측정한 값, 두 값이 일치한다.
< Part 3 Maximum Power Transfer (Experimental Approach) >
(a)
Table 11.6
→ 계 산 과 정
(c) How do the calculated and measured values compare?
, 의 계산값(저항의 측정값 및 회로도에서 저항의 관계 : 직렬/병렬 관계 이용)과 실제 측정값이 거의 일치한다.
Table 11.7
0Ω
0V
0mW
25Ω
0.91V
33.12mW
50Ω
1.71V
58.48mW
100Ω
2.75V
75.63mW
150Ω
3.43V
78.43mW
200Ω
3.91V
76.44mW
250Ω
4.27V
72.93mW
300Ω
4.54V
68.71mW
350Ω
4.76V
64.74mW
400Ω
4.95V
61.26mW
450Ω
5.11V
58.03mW
500Ω
5.24V
54.92mW
→ 계 산 과 정
(d) Reviewing Graph 11.2, did maximum power transfer to the load occur when ? What conclusion can be drawn from the results?
그래프를 직접 그려보면,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나는 을 확인해보면 일 때, 즉()에서 가장 큰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때 최대전력전달이 일어남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GRAPH 11.2
Nothing Graph 11.3, does when ? Comment accordingly.
일 때, 즉()일 때 그래프를 보면 약 임을 실험()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일 때, 이 성립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GRAPH 11.3
< EXERCISES >
1. For the network of Fig 11.10:
(a) Determine and for the network external to the resistor.
→ 계 산 과 정
를 구할 때, 전압원 쇼트 / 전류원 오픈
a, b단자에 걸리는 전압을 라고 하면, 회로 탑 노드에 노드해석법 적용
따라서, 위 식을 계산하면
(b) Determine the power delivered to the resistor using the Thevevin equivalent circuit.
→ 계 산 과 정
에 걸리는 전압
(c) Is the power determined in part (b) the maximum power that could be delivered to a resistor between terminals a and b? If not, what is the maximum power?
→ 계 산 과 정
일 때 최대전력전달이 성립하며, 이때 이 성립한다는 것을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다.
2. For the network of Fig. 11.2 record the measured values of and from Table 11.1 in Table 11.8. Then, using PSpice or Multisim, and methods described in the text Introductory Circuit Analysis, determine each quantity and record in Table 11.8
Table 11.8
Compare results for each quantity and try to explain any major differences. Attach all appropriate printouts.
직접 측정한 값과, PSpice를 통해 시뮬레이션 한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다만, 실제 측정에서는 여러 가지 오차가 발생하지만,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약간의 차이가 있지만, 두 결과 값은 거의 일치한다.
# PSpice 첨부 1
< 실험에 대한 고찰 >
이번 실험은 테브난의 정리를 실험을 통해 확인하고, 실험 과정에서 정의된 , 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 알아보았다. 그리고 회로에서 일 때, 최대 전력 전달의 정의에 대해서 실험을 통해서 알아보았다.
실험을 통해, 테브난의 정리가 어떻게 정의 되고, 와 가 어떻게 구성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론적 지식을 회로도가 아닌 실제 회로를 구성하여 테브난의 정리를 증명하여 보았다. 또, 테브난의 회로에서 최대 전력 전달은 일 때,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실험을 통한 측정으로 증명하였다.
이번 실험의 과정에서 크게 어려운 점은 없으나, 테브난의 정리(, )의 정의와 , 를 어떻게 계산할 수 있는지를 정확하게 숙지하고 있어야 실험 목적에 맞는 실험을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실험 전에 실험의 이론과 과정을 충분히 숙지한 후 실험을 하여야 이론적 지식을 실제 실험에 적용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실험 전에 필히 실험 이론과 과정을 숙지한 후 실험을 하여야 할 것이다.
테브난의 정리는 전압원과 저항의 회로가 테브난 등가로 변환할 수 있음을 나타내고 있으며, 이것은 회로 분석에서 단순화 기술로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테브난의 정리에서 정확한 개념과 계산 방법이 매우 중요하며, 이번 실험을 통해서 테브난의 정리에 대해 다시 한번 개념을 정리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하고 의미있는 실험이었다. 평소 테브난의 정리를 이용하여 회로를 분석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는데, 이번 실험을 통해 테브난의 정리에 대한 개념 정리를 통한 실제 회로 적용과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
키워드
추천자료
전자전기실험 - 예비보고서 3 [분압기의 설계]
전자전기실험 다단 증폭기(결과)
전기공학실험 R-L-C 병렬공진회로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3 예비보고서-공통이미터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8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다이오드 접합을 시험하기 위한 ...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4 예비보고서-공통콜렉터 증폭기(이미터폴로워)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2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콜렉터귀환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6 결과보고서-공통베이스 증폭기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1 예비보고서-트랜지스터의 전압분배 바이어스
[전기전자컴퓨터실험] 전전컴실 10 결과보고서-트랜지스터의 이미터 바이어스
[전기전자실험] RC RL 주파수응답
[전기전자실험] RLC 공진회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