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序論 ‥‥‥‥‥‥‥‥‥‥‥‥‥‥‥‥‥‥………………………………………‥‥‥‥‥‥‥‥‥‥‥‥‥‥‥‥‥‥ 1
Ⅱ. 本論 ‥‥‥‥‥‥‥‥‥‥‥‥‥‥‥‥‥‥‥‥‥‥‥‥‥‥‥‥‥‥‥………‥‥‥‥……………………‥‥‥‥‥‥‥ 2
1. 고이즈미 이후 일본총리별 정부 대응 방식
1-1.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 純一郎)……………………………………………………………………… 2
1-2. 아베 신조 (安倍 晋三)……………………………………………………………………………………… 3
1-3. 하토야마 유키오 (鳩山 由紀夫)………………………………………………………………………… 4
1-4. 간 나오토 (菅 直人)………………………………………………………………………………………… 5
Ⅲ. 結論‥‥‥‥‥‥‥‥‥‥‥‥‥‥‥‥‥‥‥‥‥‥‥‥‥‥………………………………………………‥‥‥‥‥‥‥‥ 5
參考文獻 ‥‥‥‥‥‥‥‥‥‥‥‥‥‥‥‥‥‥‥‥‥‥‥‥‥‥‥‥‥‥‥‥…………………………………………‥‥‥ 7
Ⅱ. 本論 ‥‥‥‥‥‥‥‥‥‥‥‥‥‥‥‥‥‥‥‥‥‥‥‥‥‥‥‥‥‥‥………‥‥‥‥……………………‥‥‥‥‥‥‥ 2
1. 고이즈미 이후 일본총리별 정부 대응 방식
1-1. 고이즈미 준이치로 (小泉 純一郎)……………………………………………………………………… 2
1-2. 아베 신조 (安倍 晋三)……………………………………………………………………………………… 3
1-3. 하토야마 유키오 (鳩山 由紀夫)………………………………………………………………………… 4
1-4. 간 나오토 (菅 直人)………………………………………………………………………………………… 5
Ⅲ. 結論‥‥‥‥‥‥‥‥‥‥‥‥‥‥‥‥‥‥‥‥‥‥‥‥‥‥………………………………………………‥‥‥‥‥‥‥‥ 5
參考文獻 ‥‥‥‥‥‥‥‥‥‥‥‥‥‥‥‥‥‥‥‥‥‥‥‥‥‥‥‥‥‥‥‥…………………………………………‥‥‥ 7
본문내용
34년) 만들어진 의인왕후의 장례에 대한 것이다. 오대산과 태백산, 정족산 등에 분산 보관한 것을 일본 조선총독부가 일제 강점기인 1922년 일본으로 반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선왕실의궤’ 등 한반도에서 유래한 귀중한 도서에 대해 한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여 가까운 시일에 이를 반환하고자 합니다. 일한 양국의 유대가 더욱 깊고, 더욱 확고해지는 것을 강하게 희구함과 동시에 양국 간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결의를 표명합니다.
본 담화문은 일본의 식민통치가 한국인의 의사에 반해서 이뤄졌다는 점을 명백히 표현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으나, 위안부 문제 등 한일간 첨예한 쟁점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최근 우리나라의 국격이 날로 높아지면서 간 나오토 정권이 한국과 적극적 관계를 맺고 과거사를 해결하고자 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공식적 담화문에서 강제병합조약의 불법성이나 일본군 위안부 등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진정성이 미흡하다.
結 論
일본은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 이후부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로소 인정하기 시작했으나, 진정한 사과를 통해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행보는 전혀 보이지 않아 한일관계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다.
2007년 미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에 대한 결의가 채택된 후 각국 및 국제기관
이 일본정부에 문제해결을 촉구해왔다. 또한 일분국내에서도 21개 도시가 일본정부에게 일
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성실히 대응할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 등을 가결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일본국내외의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얼마 전 일본을 방문한 유엔인권고등병무관은 전시 성노예피해자들에 사죄와 보상을 실시하고 최종적인 해결을 실현하는 것을 일본정부에 호소했다. 유엔이사회 14회기에서도 여성폭력특별보고관이 [여성폭력에 대한 배상] 보고서에서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배상책임을 강조했다. 세계 곳곳에서 나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올바른 해결방향을 잡는 것이 일본정부가 해야 하는 역할이다.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나서서 일본정부에 문제해결을 요구한지 어느덧 약 20년의 세월이 흘러 13살에 끌려가 일본군의 위안부가 된 소녀는 83세가 되었다. 70년 동안 고통 속에서 살아온 피해자에게 진실 어린 사죄와 그에 따른 배상은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안 될 것이다.
‘조선왕실의궤’ 등 한반도에서 유래한 귀중한 도서에 대해 한국민의 기대에 부응하여 가까운 시일에 이를 반환하고자 합니다. 일한 양국의 유대가 더욱 깊고, 더욱 확고해지는 것을 강하게 희구함과 동시에 양국 간 미래를 열어가기 위해 부단한 노력을 아끼지 않겠다는 결의를 표명합니다.
본 담화문은 일본의 식민통치가 한국인의 의사에 반해서 이뤄졌다는 점을 명백히 표현했다는 점에서 상당한 의미가 있으나, 위안부 문제 등 한일간 첨예한 쟁점에 관한 언급이 전혀 없다는 한계를 드러낸다.
최근 우리나라의 국격이 날로 높아지면서 간 나오토 정권이 한국과 적극적 관계를 맺고 과거사를 해결하고자 하는 입장을 보이고 있으나, 공식적 담화문에서 강제병합조약의 불법성이나 일본군 위안부 등 강제 동원 피해자 문제에 대한 구체적 해결의지를 보이고 있지 않다는 점에서 진정성이 미흡하다.
結 論
일본은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 이후부터 일본군 위안부 문제를 비로소 인정하기 시작했으나, 진정한 사과를 통해 해결하고자 노력하는 행보는 전혀 보이지 않아 한일관계의 대립이 지속되고 있다.
2007년 미 하원에서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에 대한 결의가 채택된 후 각국 및 국제기관
이 일본정부에 문제해결을 촉구해왔다. 또한 일분국내에서도 21개 도시가 일본정부에게 일
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해 성실히 대응할 것을 요구하는 의견서 등을 가결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요구하는 일본국내외의 목소리는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얼마 전 일본을 방문한 유엔인권고등병무관은 전시 성노예피해자들에 사죄와 보상을 실시하고 최종적인 해결을 실현하는 것을 일본정부에 호소했다. 유엔이사회 14회기에서도 여성폭력특별보고관이 [여성폭력에 대한 배상] 보고서에서 일본군 위안부문제에 대한 일본정부의 배상책임을 강조했다. 세계 곳곳에서 나오는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올바른 해결방향을 잡는 것이 일본정부가 해야 하는 역할이다.
한국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가 나서서 일본정부에 문제해결을 요구한지 어느덧 약 20년의 세월이 흘러 13살에 끌려가 일본군의 위안부가 된 소녀는 83세가 되었다. 70년 동안 고통 속에서 살아온 피해자에게 진실 어린 사죄와 그에 따른 배상은 지금 이 시기를 놓치면 안 될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