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명 조식 선생의 생애와 교육사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배우고 그 행함을 깨닫기 때문이며, 「대학」을 성동의 교과로 삼은 것은 장자의 섬기는 방법과 이치를 자세히 궁구하는데 있다고 하여 「소학」과 「대학」의 교육내용을 연계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는 연령에 준한 교과의 선택이 정상이지만, 각자의 재질에 따라 능력에 적합한 교과를 교육해야 한다는 현실적인 교육방안을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만약 30세가 되어도 8-9에의 소견이라면 「소학」을 공부시켜야 한다고 말하였다.
▷ 일반적으로 15세가 되면 성동이라 하여 「대학」을 배우게 된다. 조식은 대학을 강조하면서 또 다른 과정의 연계학습을 중요히 하였다.
▷「대학」의 과정을 마치면 성리학서를 공부하게 되는 데. 조식은 이때 「중용」을 권하였다.「중용」은 앎에 도달하는 계기를 형성하며, 독행은 행의 실천으로 위학의 개념이 정립되는 등, 「대학」과 같이 격물치지로서 심성개발과 도문학을 포함하고 있다.
▷ 계속되는 교과과정으로 「서경」,「주역」,「논어」를 강독하였다.
위의 내용을 바탕으로 조식의 교육내용상의 특징을 정리하면. 아동기에는 실천적 생활윤리에 중점을 둔 「소학」교과에서 도덕성을 함양하며. 15세가 되면 「대학」을 비롯하여「중용」과 경서를 독서하는 가운데 올바른 길의 실천을 강조하고, 특별히 정서적 함양과 체력을 연마하는 무학을 권장한 점이다.
③ 조식의 교육방법론
조식의 교육론 중에서 가장 독특한 교육방법은 ‘자해자득론’이다. 조식이 자해자득을 강조한 모습은 다음과 같이 서술하고 있다. 즉, 스승이 아무리 애써 가르치려 해도 학생스스로가 마음으로부터 얻어야 만이 진실로 자기 것이 된다는 말이다. 이렇게 그는 실제적인 문제해결을 위한 방안의 탐구를 중시하며, 현실 대응의 적극적인 자세를 촉구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스스로 각자 문제를 해결하게 하는 문제해결학습이며 토론의 과정을 거쳐 제생의 중론을 모으는 대화식 교육방법이다.
그리고 그는 24개의 ‘학기도’를 수업매체로 활용하였다. 그 이유는 학습자가 ‘학기도’를 통해서 성리학을 학습함으로써 성리학의 이론에 대한 구체적인 형상을 상기할 수 있게 되고, 성정을 기를 수 있어서 선심을 함양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고 학습자가 스스로 일용지사에 전념하게 됨으로써 하락적인 것을 통해서 상학적인 것에 이르게 될 수 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 학기도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의미를 가진다.
첫째, 성리학의 추상적인 언어수단에 의한 수업의 제한점을 보완하기 위해서 보다 구체적인 경험의 과정을 구상하였다.
둘째, 학기도의 학습에 대한 인식의 다양화를 통해서 학습경험의 유의미성을 높이고, 학습자의 자발적이고 적극적인 참여와 보다 심층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다는 점이다.
셋째, 학습자들 간의 개인차를 고려하여 개개인 성향에 부합하는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서 다양한 학습경험과정을 구성한 점이다.
이와 같이 학기도는 학습자의 주의 환기시켜 주고 학습효과를 더욱 높여 주었다.
아울러 조식은 개인의 독특한 성향에 따른 자질을 고려하여 학습자의 능력에 맞는 교수법을 선정하였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13
  • 저작시기2008.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41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