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레포트) 중국의 사막화에 따른 황사에 대한 대응방안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A+ 레포트) 중국의 사막화에 따른 황사에 대한 대응방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황사의 개념과 분류
(1) 황사의 정의
(2) 황사의 분류

2. 황사의 발생 원인 : 중국의 사막화
(1) 중국 사막화 현황
(2) 중국 사막화의 원인

3. 황사문제의 확산과 주변국들의 피해

4. 사막화 및 황사문제 해결방안

III. 결론

* 참고자료

본문내용

한 국가가 양자적 협력을 통해서 황사문제 해결에 접근하는 방식이다. 마지막으로는 국제기구를 통한 협력이다. 유엔사막화방지조약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동북아에서의 활동들이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은 생태환경보전의 중요성을 인식한 주룽지 총리는 양자강 상류지역의 퇴경환림(退耕還林)정책이 바로 사막화 방지정책이 본격적인 출발을 하고 있다. 또한 한국은 중국 서북부의 사막화를 줄이기 위해 조림사업을 지원하고 있다. 2002년 10월 한중 정상회의 합의에 따라 우리나라 황사 피해와 연관성이 큰 중국 감숙성(백은시), 내몽고(통료시), 신강(투루판시) 등의 지역에서 조립사업이 이루어지고 있다. 중국은 일본과도 폭넓은 환경협력을 하고 있다. 1994년 3월에 중·일환경보호협정이 체결된 이래 매년 1회의 양국 공동위원회가 개최되고 있고, 대기오염과 산성비, 수질오염방지, 유해폐기물 처리 등에 관해 논의해 오고 있다.
III. 결론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피해를 주는 황사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1930년대 북미 대륙에서 발생한 황사와 사막화를 극복한 사례에 관심을 가져볼 만하다. 프랭클린 루스벨트 대통령은 서부 개척시대에 초원을 농경지로 만드는 과정에서 대평원이 사막으로 변하자 ‘셀터벨트(Shelterbelt) 프로젝트’를 추진했다. 토양보전청을 만들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대책을 마련해 나갔다. 캐나다에서 텍사스 북쪽에 이르는 폭 160km 구역을 지정해 관개시설을 만들고 토양 복원해 나갔다. 이같은 프로젝트는 12년동안 꾸준히 진행해 대성공을 거뒀다. 사막화는 대기, 토양, 물, 지형 등 다양한 현상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일어나기 때문에 그 방지를 위해서는 여러 분야가 참여하는 입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따라서 동북아 황사와 관련이 있는 국가간 공동연구 등이 절실하다. 이 지역을 하나의 공동체로 묶어 사막연구와 사막화방지와 같은 위기에 함께 대처해 나가는 전략이 뒤따라야 한다. 실제 관련 당사국인 중국, 몽골, 한국, 일본 등 관련학자들의 실질적인 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기업, 민간단체, NGO 등이 나선 나무심기도 중요하지만 근원적으로 사막화를 방지할 수 있는 토대가 마련돼야 한다.
* 참고자료
- 이강원, 2007. 『사막중국』, 서울: 폴리테이아
- 이연상, 2008. 『쉽게 풀어보는 기후변화협약』, 서울: 한울아카데미.
- 국회예산정책처. 2007. 『기후변화협약 종합대책 평가』.서울.
  • 가격3,6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1.06.18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