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훈민정음] 창제의 과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글[훈민정음] 창제의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훈민정음의 제자 원리
1. 자음자의 제자 원리
2. 모음자의 제자 원리
Ⅲ. 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 기본자의 대상이 되었냐 하는 문제의 결론으로서 초성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중성의 세 계열에서 가장 약한 소리를 골라 기본자의 대상으로 삼았다고 추정하고 있다.
Ⅲ. 맺음말
지금까지 훈민정음 28자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살펴 보았다.
훈민정음의 창제에 있어서는 해례본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초성의 경우 발음기관을 상형하여 기본자를 만들고 나머지는 소리의 세기에 따라 기본자에 획을 더하여 완성한 것으로 그 제자원리는 중국 육서의 개념이 작용하고 있다.
모음자의 기본자도 天, 地, 人을 상형하여 기본자 ‘, ㅡ, ㅣ’를 만들고, 이 기본자를 서로 합하여 나머지 자들을 만들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훈민정음의 28자 중에서 자음과 모음의 기본자는 상형의 원리를 바탕으로 하고 나머지 글자들은 각각 두 단계의 가획의 원리에 근거하여 만들어졌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姜信沆(1987), 訓民正音硏究, 成均館大學校 出版部.
강창석(1989), 훈민정음의 제작과장에 관한 몇가지 문제, 울산어문논집5, 울산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김완진(1985), 훈민정음자음자와 가획의 원리, 고영근 편, 국어학연구사, 학연사.
兪昌均(1982), 訓民正音, 螢雪出版社.
서울대학교대학원국어연구회 편(1990), 국어연구 어디까지 왔나, 동아출판사.
안병희(1990),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강신항교수 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태학사.
이근수(1995), 훈민정음연구, 보고사.
이기문(1972), 국어사개설, 탑출판사.
이동림(1998), 訓民正音의 創制經緯에 대하여, 꼭 읽어야 할 국어학 논문집, 집문 당.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6.21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52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