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기업교육훈련의 의의
Ⅲ. 기업교육훈련의 목적
Ⅳ. 기업교육훈련의 내용
1. 직장 내 훈련
2. 강의실내 훈련
3. 자기훈련
Ⅴ. 기업교육훈련의 경영훈련
1.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2.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3.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
4. 비즈니스 게임(business game)
5. 역할연기법(role playing)
6.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1) 장점
2) 단점
7. 매니지리얼 그리드 세미나(managerial grid seminar)
Ⅵ. 기업교육훈련의 방법
1. 전통적 교육훈련방법
1) 직업원 훈련방법
2) 감독자 훈련방법
3) 중간관리층 훈련방법
4) 경영자개발 훈련방법
2. 최근의 능력개발방법
1) 교육이수학점제
2) 지역전문가제
3) 임원조기발굴교육제
4) 신입사원후견인제
5) 대학학위위탁교육제
Ⅶ. 기업교육훈련의 사례
Ⅷ. 기업교육훈련의 내실화 방안
1. 디지털 인력 확보책으로서 개인주도 능력개발 지원제도
2. 일과 교육훈련의 결합을 통한 능력개발의 딜레마 해소
3. 디지털 인력의 직접양성
4. 숙련형성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도입
5. 콘소시엄․파트너쉽을 통한 훈련비용과 위험의 분담․공유
6. 기업 주도의 자격시스템 개발 및 훈련과의 연계
7. 정부지원제도의 확충
8. 근로자의 훈련에 대한 접근가능성 제고
1) 교육훈련의 유연성 제고
2) 디지털 낙오자를 위한 숙련형성․습득의 장으로서 공공직업훈련기관 확충
3) 개인주도 교육훈련에 대한 인센티브 제고
참고문헌
Ⅱ. 기업교육훈련의 의의
Ⅲ. 기업교육훈련의 목적
Ⅳ. 기업교육훈련의 내용
1. 직장 내 훈련
2. 강의실내 훈련
3. 자기훈련
Ⅴ. 기업교육훈련의 경영훈련
1. CCS(Civil Communication Section)
2. 브레인 스토밍(brain storming)
3. 사례연구법(case study method)
4. 비즈니스 게임(business game)
5. 역할연기법(role playing)
6. 감수성 훈련(sensitivity training)
1) 장점
2) 단점
7. 매니지리얼 그리드 세미나(managerial grid seminar)
Ⅵ. 기업교육훈련의 방법
1. 전통적 교육훈련방법
1) 직업원 훈련방법
2) 감독자 훈련방법
3) 중간관리층 훈련방법
4) 경영자개발 훈련방법
2. 최근의 능력개발방법
1) 교육이수학점제
2) 지역전문가제
3) 임원조기발굴교육제
4) 신입사원후견인제
5) 대학학위위탁교육제
Ⅶ. 기업교육훈련의 사례
Ⅷ. 기업교육훈련의 내실화 방안
1. 디지털 인력 확보책으로서 개인주도 능력개발 지원제도
2. 일과 교육훈련의 결합을 통한 능력개발의 딜레마 해소
3. 디지털 인력의 직접양성
4. 숙련형성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도입
5. 콘소시엄․파트너쉽을 통한 훈련비용과 위험의 분담․공유
6. 기업 주도의 자격시스템 개발 및 훈련과의 연계
7. 정부지원제도의 확충
8. 근로자의 훈련에 대한 접근가능성 제고
1) 교육훈련의 유연성 제고
2) 디지털 낙오자를 위한 숙련형성․습득의 장으로서 공공직업훈련기관 확충
3) 개인주도 교육훈련에 대한 인센티브 제고
참고문헌
본문내용
on program)을 활용해서 기업의 기술개발이나 기술습득과 관련한 온라인 토론을 진행하는 방법 등이 그 예이다. 또한 일 자체가 훈련 과정(특히 learning by doing)이 되기 때문에 우수 인력을 유지하고 적극적으로 교육훈련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한 프로젝트 즉, 일과 훈련의 결과의 소유권을 개인에게 부여하는 것을 인센티브로 활용하는 방안도 강구할 필요가 있다.
3. 디지털 인력의 직접양성
디지털 경제환경 하에서는 인력유동이 심하여 필요한 핵심인력을 적시에 확보, 유지하기는 것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핵심 디지털 인력에 대하여는 스팟마켓에 의존하는 것보다 직접 양성하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오히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정부에서도 각종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활용하면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IT관련 대기업에서 보여 지고 있듯이 디지털 인력 양성을 위한 기업 대학을 직접 설립운영하는 것이 좋은 예이다.
4. 숙련형성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도입
보너스(signing bonus, performance bonus)제도, 핵심능력(hot skill)에 대한 급여프리미엄, 이미 지적하였던 훈련비 보조(training reimbursement)나 유급 훈련시간배려(time off/extra vacation time) 등은 숙련형성에 대한 주요한 동기와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
5. 콘소시엄파트너쉽을 통한 훈련비용과 위험의 분담공유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투자의 딜레마를 해소하는 또 다른 한 가지 방법은 기업간의 콘소시엄이나 파트너쉽을 통한 능력개발체제의 구축을 통하여 훈련비용과 위험을 분담공유하는 것이다. 공동훈련원의 운영, 교육훈련 기자재의 공동활용, 전문강사 풀의 공동운영 등이 그 예이다.
6. 기업 주도의 자격시스템 개발 및 훈련과의 연계
외부노동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될수록, 노사 모두에게 숙련에 관한 유의미한 자격증 시스템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기업은 불확실한 외부노동력이 지니고 있는 숙련, 지식 등의 능력을 자격증을 통하여 파악하려 하고 개인은 자신의 시장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신호기제로서 유의미한 자격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노동력의 유동성이 심화되고 외부시장에의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자격증의 신호기제(Signaling Mechanism)로서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 하에서 자격증의 유의미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산업현장을 잘 반영하는 자격증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 데, 이를 위하여 민간, 특히 기업주도의 자격시스템을 활성화하고 교육훈련과의 연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경제에서 어느 때보다도 더욱 필요한 교육훈련-자격-일간의 유기적 연계가 확보될 수 있다.
7. 정부지원제도의 확충
디지털 경제하에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투자의 기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업에 대한 각종 지원제도를 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현행 고용보험제도상의 능력개발사업에 있어 기업의 교육훈련비에 대한 지원을 성과연계지원체제를 강화하되 각종 규제를 최소화하고 지원수준을 기업의 실질적인 인센티브로 작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의 직업교육훈련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한다.
8. 근로자의 훈련에 대한 접근가능성 제고
1) 교육훈련의 유연성 제고
근로자의 교육훈련 딜레마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우선 교육훈련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극대화하여야 할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anytime anywhere) 개인이 필요한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원격학습(Distance Learning, Web-Based Learning, Tele-Learning, E-learning)을 확충하고 단기 과정, 주말이나 야간 등 차별화된 시간제 훈련, 이동훈련 및 재택훈련(teletraining) 등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요자의 선택권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바우처제도를 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2) 디지털 낙오자를 위한 숙련형성습득의 장으로서 공공직업훈련기관 확충
디지털 격차에 대응하여 숙련 및 소득 격차를 축소하고 중산층을 확대하기 위한 유력한 수단은 시장성 있는 숙련(marketable skills)의 습득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 단위로 해당 지역의 취약계층, 디지털 낙오자를 위한 숙련습득 및 향상의 장으로서 각 지역의 공공직업훈련기관을 커뮤니티 컬리지(community college)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물론 수요자 중심의 유연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요자 특성별로 마련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3) 개인주도 교육훈련에 대한 인센티브 제고
개인의 자주적 능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개인의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일본의 교육훈련급부제도와 같이 개인의 능력개발에 대한 비용지원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미국과 영국의 개인훈련(학습)구좌제와 같이 평생능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에 대응하여 지원(maching fund)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교육훈련비 대부제도나 기업을 매개로 한 교육훈련지원제도, 특히 유급교육훈련휴가제도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규제완화, 지원확대 등의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교육훈련 수강비에 대한 조세감면 혜택을 확대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적절한 환경이 갖추어지면, 유럽에서 크게 확산되고 있는 개인 교육훈련휴가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태기 외(1996) /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자격기본법 제정 및 직업능력개발원의 설립에 관한 연구, 교육부
김미숙 / 실업자 재취직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 직업능력개발원
교육부·노동부(1999) / 21세기 직업교육훈련의 발전전략 - 제1차 직업교육훈련기본계획
강종훈(1998) / 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기본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수용(2004) / 21세기 기업교육훈련 전략, 전략기업컨설팅
장수용(2000) / 뉴 밀레니엄 시대의 기업교육 훈련 전략, 전략기업컨설팅
3. 디지털 인력의 직접양성
디지털 경제환경 하에서는 인력유동이 심하여 필요한 핵심인력을 적시에 확보, 유지하기는 것에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에 핵심 디지털 인력에 대하여는 스팟마켓에 의존하는 것보다 직접 양성하는 것이 중장기적으로 오히려 더 효과적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정부에서도 각종 지원제도를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적절히 활용하면 비용을 최소화하는 방안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미국의 IT관련 대기업에서 보여 지고 있듯이 디지털 인력 양성을 위한 기업 대학을 직접 설립운영하는 것이 좋은 예이다.
4. 숙련형성에 대한 각종 인센티브 도입
보너스(signing bonus, performance bonus)제도, 핵심능력(hot skill)에 대한 급여프리미엄, 이미 지적하였던 훈련비 보조(training reimbursement)나 유급 훈련시간배려(time off/extra vacation time) 등은 숙련형성에 대한 주요한 동기와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
5. 콘소시엄파트너쉽을 통한 훈련비용과 위험의 분담공유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투자의 딜레마를 해소하는 또 다른 한 가지 방법은 기업간의 콘소시엄이나 파트너쉽을 통한 능력개발체제의 구축을 통하여 훈련비용과 위험을 분담공유하는 것이다. 공동훈련원의 운영, 교육훈련 기자재의 공동활용, 전문강사 풀의 공동운영 등이 그 예이다.
6. 기업 주도의 자격시스템 개발 및 훈련과의 연계
외부노동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심화될수록, 노사 모두에게 숙련에 관한 유의미한 자격증 시스템이 더욱 중요하게 된다. 기업은 불확실한 외부노동력이 지니고 있는 숙련, 지식 등의 능력을 자격증을 통하여 파악하려 하고 개인은 자신의 시장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신호기제로서 유의미한 자격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즉, 노동력의 유동성이 심화되고 외부시장에의 의존도가 높아질수록 자격증의 신호기제(Signaling Mechanism)로서의 역할은 더욱 중요하게 된다. 그러나 디지털 환경 하에서 자격증의 유의미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산업현장을 잘 반영하는 자격증시스템이 구축되어야 하는 데, 이를 위하여 민간, 특히 기업주도의 자격시스템을 활성화하고 교육훈련과의 연계를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디지털 경제에서 어느 때보다도 더욱 필요한 교육훈련-자격-일간의 유기적 연계가 확보될 수 있다.
7. 정부지원제도의 확충
디지털 경제하에서 기업의 인적자원개발 투자의 기피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기업에 대한 각종 지원제도를 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현행 고용보험제도상의 능력개발사업에 있어 기업의 교육훈련비에 대한 지원을 성과연계지원체제를 강화하되 각종 규제를 최소화하고 지원수준을 기업의 실질적인 인센티브로 작용할 수 있는 수준으로 상향조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업의 직업교육훈련비에 대한 세액공제를 확대하는 방안도 강구되어야 한다.
8. 근로자의 훈련에 대한 접근가능성 제고
1) 교육훈련의 유연성 제고
근로자의 교육훈련 딜레마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우선 교육훈련의 유연성을 제고하는 방안을 극대화하여야 할 것이다. 언제 어디서나(anytime anywhere) 개인이 필요한 교육훈련을 받을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을 최대한 활용하여 원격학습(Distance Learning, Web-Based Learning, Tele-Learning, E-learning)을 확충하고 단기 과정, 주말이나 야간 등 차별화된 시간제 훈련, 이동훈련 및 재택훈련(teletraining) 등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수요자의 선택권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교육훈련 바우처제도를 확충하여야 할 것이다.
2) 디지털 낙오자를 위한 숙련형성습득의 장으로서 공공직업훈련기관 확충
디지털 격차에 대응하여 숙련 및 소득 격차를 축소하고 중산층을 확대하기 위한 유력한 수단은 시장성 있는 숙련(marketable skills)의 습득이다. 이를 위하여 지역사회 단위로 해당 지역의 취약계층, 디지털 낙오자를 위한 숙련습득 및 향상의 장으로서 각 지역의 공공직업훈련기관을 커뮤니티 컬리지(community college)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 여기에는 물론 수요자 중심의 유연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수요자 특성별로 마련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3) 개인주도 교육훈련에 대한 인센티브 제고
개인의 자주적 능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하여 정부차원에서 개인의 교육훈련에 대한 지원을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우선 일본의 교육훈련급부제도와 같이 개인의 능력개발에 대한 비용지원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으며, 또한 미국과 영국의 개인훈련(학습)구좌제와 같이 평생능력개발을 촉진하기 위한 개인의 노력에 대응하여 지원(maching fund)하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기존의 교육훈련비 대부제도나 기업을 매개로 한 교육훈련지원제도, 특히 유급교육훈련휴가제도 등을 활성화하기 위한 규제완화, 지원확대 등의 조치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개인의 교육훈련 수강비에 대한 조세감면 혜택을 확대하는 것도 한 방안이다. 적절한 환경이 갖추어지면, 유럽에서 크게 확산되고 있는 개인 교육훈련휴가제도를 도입하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태기 외(1996) / 직업교육훈련촉진법, 자격기본법 제정 및 직업능력개발원의 설립에 관한 연구, 교육부
김미숙 / 실업자 재취직 직업교육훈련기관 평가, 직업능력개발원
교육부·노동부(1999) / 21세기 직업교육훈련의 발전전략 - 제1차 직업교육훈련기본계획
강종훈(1998) / 직업교육훈련 현장실습의 효율적 운영 방안 연구, 기본연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장수용(2004) / 21세기 기업교육훈련 전략, 전략기업컨설팅
장수용(2000) / 뉴 밀레니엄 시대의 기업교육 훈련 전략, 전략기업컨설팅
추천자료
사이버교육훈련의 필요성과 장단점,,발전방향
호텔의 교육훈련과 평가방법
공무원 교육훈련의 제도
교육훈련
교육훈련관리 및 조직개발
교육훈련의 유형
공무원 교육훈련과 근무성적 평정제도
새로운 교육훈련 기법으로 액션 러닝
호텔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Ritz-Calton, Hilton, Chosun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호텔의 교육훈련 프로그램 [Ritz-Calton, Hilton, Chosun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신입사원 교육훈련.ppt
신입사원 교육훈련 (한솔섬유 입문과정 사례, 신입승무원, 삼성전자, 두산그룹, 삼성전기, 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