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금융의 국제화 전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본문내용

여 가능성에 대해 주된 전망을 논하였다.
논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금산법 완화로서 기대되고 또한 추진되어야 하는 내용에 대해 정리하면 다섯 가지이다.
첫째, 금산법 완화는 금융산업을 새로운 신동력 산업으로 이끌 수 있다. 둘째, 금산법 완화를 통해 국내기업의 자본 과잉 상태를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로가 마련되었다. 셋째,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의 융합을 통하여 국내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꾀할 수 있다. 넷째, 사모펀드의 중요성이 커져 가고 있는 상황에서 국내 자본을 바탕으로 한 사모펀드의 출현을 기대할 만하다. 다섯째, 국내 금융기관의 국제화 지수를 높여 국제 금융시장에 진출할 발판을 마련할 수 있다.
그런데 특히 다섯 번째 내용은 국내 금융기관들이 현시점에 가장 집중적으로 추진해야 할 전략이 무엇인지 시사점을 주고 있다. 이것은 거꾸로 금산법 완화를 우려하는 이들의 논거를 상쇄하는 용도로도 쓰일 수 있다는 데 의미가 더욱 크다고 본다. 즉 그들이 우려하는, 국내 재벌 위주의 자본 집중화는, 국제적 차원에서 보면 오히려 금융시장의 확대와 국가경쟁력의 제고를 꾀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는 무엇보다 다섯 번째 사안에 초점을 맞추어 국내 금융기관의 국제화 전략을 추진하고, 이를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구체적인 전략의 내용으로서는 다음의 방안들이 포함된다.
첫째, 금산간의 규제를 정부 차원에서 단계적으로 풀어나가 정책적 지원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단계적 추진을 통해, 다수 자본들이 참여하는 국내 자본 사모펀드의 국제적 투자를 지원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국내 금융기관들은 특히 동아시아권을 발판으로 하여 해외영업망 구축에 나서야 할 것이다. 넷째, 국내 금융기관들은 단순 영업 뿐 아니라 해외투자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국제화 전략의 배경에는 현재 미국에서의 금융위기가 초래한 국제 금융시장의 다극화가 적기로 마련되어 있음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윤창현(2008), 「금산분리제도의 현황과 과제(Keynote Speech by the Chair)
저스티스, Vol.- No.104
[2]. 한국경제연구원(2006),「금융ㆍ산업 분리의 한계 및 대안」
한국경제연구원 Issue Paper, Vol.- No.9,
[3]. 금융감독원(2008),「금융산업의 경제기여도 분석」, 금융감독원
[4]. 아젠다리서치 그룹(2009), 『대한민국 아젠다 2010』, 청림출판
[5]. 신장섭(2008), 『한국 경제, 패러다임을 바꿔라』, 청림출판
[6]. <선진국 금융 위축된 지금이 대형화 기회>, 한국경제 2010-02-08 일자 기사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0020836531
[7]. <창간2주년 기획-금융시스템 바꾸자>, 아주경제 2009-11-09일자 기사
http://www.ajnews.co.kr/uhtml/read.jsp?idxno=200911091252248200850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6.23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1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