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_commerce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
가. 소셜 커머스 정의 1
나. 소셜 커머스 유형 1
2. 본문 소셜 커머스의 특징 2
가. 소셜커머스의 장점 2
나. 소셜 커머스의 문제점 3
3. 소셜 커머스의 유통경로 4
가. 전통적 유통경로 4
나. 소셜쇼핑 유통경로의 특성 4
4. 소셜커머스의 수익구조 6
가. 계약특성 6
나. 홍보 방법 7
5. 소비자 편의성 7
6. 전통적 경로 비교 7
7. 소셜커머스 통폐합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 7

<표 차례>

<그림 차례>
그림 1 소셜커머스 업체 1
그림 2 소비자, 판매자의 불이익 3
그림 3 물품유통 4
그림 4 서비스유통 5
그림 5 공연유통 5
그림 6 프렌차이즈 6
그림 7 수익구조 6

본문내용

매,
2. 제조업자 ->소매상 -> 소비자
대규모 소매상이 제조업자로부터 직접 제품을 공급받아 소비자에게 판매하는 경우이다.
3. 제조업자 ->도매상 -> 소매상 ->소비자 식품, 의약품의 경로
4. 제조업자 ->중개상->도매상->소매상->소비자 는 제일 긴 유통경로로써 생산자가 많은 1차 상품을 유통 할 때 사용된다.
전자 상거래의 경우에는 중간상의 경우를 빼고 제조업자 -> 소비자의 경우가 많으며 가상공간에서 구매자와 판매자가 만나 쌍방향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상품에 관한 정보를 교환하고 거래하는 방식이다. 24시간 거래가 가능.
소셜쇼핑 유통경로의 특성
1. 물품의 경우
지역에 한정된 주문이 아닌 전국을 대상으로 한 상품 혹은 제품이 주를 이룬다. 상품의 경우에는 소셜커머스 업체에서 상품에 대한 홍보를 하고 주문을 대신 받는다.
(사프란의 섬유탈취제, 아이폰악세사리 등)
상품의 배송은 주로 일정기간 주문(4일~일주일 정도)받고 10일정도 뒤에 한번에 배송을 한다. 그렇기에 공동구매의 개념으로써 싸게 구입할 수 있다.
2. 지역기반의 경우
보통의 소셜업체들은 지역기반으로 한 서비스업체을 하루에 하나씩 자정0시에 딜을 시작한다. 보통 음식점, 카페, 미용실 등 소셜커머스 업체에서 쿠폰을 발행하여 해당 음식점이나 카페, 미용실을 방문하여 서비스를 이용 받을 수 있다. 이들의 쿠폰은 그 지역의 해당 업체밖에 이용하지 못한다. 그리고 혼잡을 피하기 위해서 예약필수이다. 직접적인 물품의 거래는 없지만 쿠폰으로 거래를 발생시킨다. 방문시에는 쿠폰을 지참필수.
3. 공연의 경우
공연은 공연기간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3개월 중 아무 시간대가 아니라 6월 8일 3시 공연 이런식으로 쿠폰을 구매한다. 구매시에는 자신이 보고 싶은 시간대를 선택하면 공연업체에서 좌석을 배정하여 관람이 가능하다. 쿠폰결제 시기에 따라 앞좌석, 뒷좌석이 결정된다.
4. 프렌차이즈 소셜커머스의 경우
전국을 대상으로 한 소셜커머스 보통의 음식점, 카페등은 지역을 기반으로 해서 마케팅, 소셜커머스를 제공하지만 프렌차이즈 업체들은 홍보의 수단으로 본사에서 각 지역에 있는 대리점, 체인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쿠폰을 발행한다.
전국에서 몇군데의 체인점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매장에서 이용 할 수 있는 것이 큰 장점이다. (홈플러스의 상품권매매, 스프리스의 운동화 할인권, 할리스의 음료할인권, 뚜레주르의 빵 등) 이용시에는 쿠폰지참필수.
소셜커머스의 수익구조
★커미션
상품거래에 있어서 중개인이 거래가 성립되도록 중개하여 보수로서 받는 일정한 수수료를 말한다. 광고회사나 매체의 세일즈맨에게 보수의 일부로서 지불하는 커미션과 광고회사 수수료로서의 매체 커미션의 의미로도 쓰인다.
계약특성
1.서비스제공계약
대부분의 소셜업체들은 쿠폰을 구매하고 사용을 못하거나 마음이 바뀐 경우 '전자상거래 등에서의 소비자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거 취소가능 기간인 7일 내에는 환불이 가능하다.
소셜쇼핑의 경우 정해놓은 기간 동안 딜의 목표인원이 충족되면 쿠폰은 반값 혹은 정해 놓은 % 대로 할인 쿠폰 사용이 가능하고 모이지 않은 경우 자동 주문 취소된다. 그러므로 구매를 원하는 구매자들은 SNS로 목표인원이 도달될 수 있게 한다.
홍보 방법
QR코드를 활용한 상품 홍보: QR코드는 스마트폰의 어플로 해당 홈페이지나 이벤트 페이지로 쉽게 이동을 쉽게 해주는 코드이다. 코드안에 상품홍보를 담아 인터넷으로 올리거나 벽보 부착으로 호기심을 유발한다.
해당 소셜커머스 메인 : 티몬이나 쿠팡에서는 자신이 관심설정해둔 페이지로 들어가면 그 지역에서 진행중인 할인행사를 보여준다.
메일전송: 소셜커머스업체들은 가입시나 해당 행사를 보기 위해서는 E-Mail을 입력해라는 경우가 많은데 그 이유는 매일 제공되는 행사들을 메일로 전송하여 볼 수 있게한다.
휴대폰 문자전송 : SMS 수신 설정을 해둔 사람들에게는 휴대폰으로 문자를 전송하여 흥미를 유발 한다.
소비자 편의성
소셜 쇼핑 사이트에서 물건을 구입하게 되면, 쿠폰형식의 문자가 휴대폰으로 전송된다.
소비자들은 해당 공연, 프렌차이즈 등에서 휴대폰 문자를 보여주는 것만으로 쉽게 이용 할 수 있다.
거기다 매일매일 생겨나는 소셜 쇼핑 사이트로 인해 소비자들은 어떤 사이트가, 어떤 물건을 소위 “반값 할인” 하고 있는지 쉽게 알기 힘들다. 그로 인해 나타난 ‘소셜 쇼핑 모음 사이트 메타쇼핑’이다.
소셜 쇼핑 이용고객의 순위를 정하고, 해당사이트에서 판매하는 물품, 그리고 이용고객들의 후기 또한 쉽게 볼 수 있어서, 여러 사이트를 돌아다니며 필요한 물품을 찾아낼 수고를 덜어 준다.
전통적 경로 비교
대부분 일자로 진행되는 전통적 경로와 달리 소셜 커머스의 경로는 소셜 업체로 집중되어 있다. 전통적 경로는 독립적인 경로기관들로 구성되었으며, 각 경로구성원은 다른 경로 구성원의 성과나 마케팅기능에 관심을 거의 가지지 않고 자기들의 주어진 것만 수행한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욕구에 대처하기가 쉽다.
하지만 소셜 커머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들의 수익은 거의 발생하지 않고 홍보의 개념으로만 생각하고 있다.
소셜커머스 통폐합 그리고 앞으로의 가능성
우리나라의 소셜커머스는 진정한 소셜 커머스라고 하기에는 거리가 멀었다. 인맥과 인맥을 연걸한 소셜의 개념보다는 무조건적인 가격할인이 주를 이루고 있다. 앞으로의 대형 소셜쇼핑업체들은 상품 판매수를 늘려 ROI를 극대화하고, 소규모의 소셜 쇼핑 업체들은 합종연횡을 이룰 것이고, 메타 소셜쇼핑 사이트는 소셜쇼핑 정보 이외에 개인들이 수집할 할인정보다 일반 쇼핑몰의 할인 정보를 더하고 개인에 맞춘 맞춤형 정보서비스를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소셜 커머스 정보가 지도와 위치기반 SNS로 확대될 것이고, 음식, 공연, 제품으로 거의 한정되어 있던 것이 명품, 디지털콘텐츠, 교육 등 특화된 곳들이 더 많이 등장 할 것이다. 앞으로의 소셜 쇼핑은 반값할인을 넘어 소셜 커머스 업체들만 이득을 볼 수 있는 것이 아닌 제조업체나 서비스제공업체들도 소셜 커머스를 이용하는 것은 마케팅의 수단, 이득은 낼 수 없다는 생각을 버리고 제조업체들도 수익을 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1.06.23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1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