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방직후 미군정기의 간호 (1945년~1948년)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방직후 미군정기의 간호 (1945년~1948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절
해방직후 미군정기의 간호 (1945년~1948년)

1.간호사업국의 설치와 활동
1)간호사업자문위원회 구성과 활동
2)보건간호사 강습 실시 및 지방행정 간호직 설치
3)간호교육제도 개선
4)현대간호 강습 실시
기존의 간호사 면허증

2.조선간호협회 발기

3. 간호교육 행정의 변화 시도

본문내용

로 이관해야 된다는 주장이 제기
(1945년 10월 미군정이 실시, 군정청내 학무국 설치.<-여기에서 의무교육 실시계획, 중고등 교육의 확충계획등, 교육에 관한 사항을 관할. 1946년 7월 군정청의 학무국이 문교부로 승격) 군정의 임시학제(초등학교:6년, 초급중학, 초급실업중학:3년, 고급중학, 고급실업중학, 사범학교:3년 대학:4년, 대학원:2년)
1946년 7월 보건후생부 통첩으로 전국의 간호사, 조산사 양성소의 입학자격->중학교 졸업자, 3년과정의 고급 실업 중학 체제에 의한 고등간호학교로 개칭
쇄럭스(미군무성에서 민간인 간호고문으로 파견)는 한국간호 교육의 발전위해선 간호학교가 문교부행정소관하에 있
조선 간호협회
조선간호부회에서 조선간호협회로 제정되었고 그후 정부수립과 동시에 대한간호협회로 개칭(1948)
손옥순
1946년11월 명동 천주교회의 강당에서 조선간호협회의 1회 총회가 있었고 이때 초대 회장으로 선출
쇄럭스
미군무성에서 파견된 민간인 간호고문, 선교사로 알려져 있으며 영남지역 최초간호부 양성소에서 일하기도함(1940년 4월 간호교육을 모자보건소 건물에서 시작.)
어야 한다고 주장.
1947년 초부터 문교부의 의학교육과 간호교육을 위한 임시직제를 마련, 간호계로 김온순, 장복순을 임명 but간호사업국의 간호사업위원회 : 현대식 간호가 겨우 전국적으로 확산되려했던 시기임을 감안소관부처를 변경하기에는 적절한 때가 아니라는 이유로 반대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간호교육기관17개교 중 6개(문
교부소속 의학교육부속기관)->문교부소속이관
1957년 전국의 간호교육기관이 문교부 소관으로 모두 이전
  • 가격1,5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6.2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4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