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copd[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만성 폐쇄성 폐질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
원인
발병기전
증상
위험성
진단(검사)
약물치료
기타치료방법
예방
환자교육지침-증상조절
천식과 COPD의 차이점

본문내용

운동은 상체, 하체, 몸통별로 일주일에 2~3회 실시하는데 이들을 연이어 하지 않도록 한다.
2)상지운동
3)하지운동
5. 영양섭취
· COPD 에서 영양치료는 영양상태를 회복시키고, 영양결핍을 미리 예방하며, 호흡기능의 향상과 더 나아가서는 합병증과 사망률 감소에 기여하기 위해 시행
· COPD 환자가 적절한 영양을 섭취하지 못하게 되면 체중감소와 근력약화가 초래되어 호흡곤란을 더욱 악화
· 탄수화물은 이산화탄소 생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총 칼로리의 50%를 넘지 않도록 주의
· 단백질 및 지방이 골고루 함유된 일상적인 음식을 충분히 먹는 것이 중요
· 식사 후에 복부팽만은 횡격막과 흉부를 압박하여 호흡곤란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일회 식사량을 줄이고 여러 번에 나누어 먹는다.
· 장내 가스를 많이 발생시키는 김치, 우유, 멜론, 사과, 연어, 브로컬리, 맥주, 탄산음료 등은 주의
· 베이컨, 소시지, 런천미트, 소금절인 햄 등 보존기간이 긴 육가공품에는 보존료, 항균제, 착색제로 아질산 화합물이 많이 포함돼 있는데 아질산 화합물은 활성산소를 생성시키고 이것이 폐에 손상을 주기 때문에 폐기종과 유사한 구조변화를 일으킨다
· 과일, 야채, 곡물과 생선등은 COPD 의 발생위험 감소에 도움을 준다.
★ 예방법
-흡연이 큰 원인이므로 금연, 담배를 피지 않더라도 흡연장소나 매연 등 폐에 해로운 환경을 피한다.
-유산소 운동을 통해 폐를 건강하게 유지한다.
-정기적으로 폐기능 검사하기. 흡연자는 1~2년, 비흡연자는 3~4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받는다.
-감기나 독감이 걸렸을 경우 빨리 치료하여 폐기능이 약해지지 않도록 조심한다.
-건조한 겨울철에는 호흡기가 자극받기 쉬우므로 가습기 등을 이용해 실내 습도 조절에 신경쓴다.
-비타민 C가 많은 과일이나 현미, 호두 등 항산화제가 풍부한 음식을 충분히 섭취하면 폐의 손상을 예방하는데 도움이 된다.
★ 환자교육지침-증상조절
1. 기침과 객담 조절
· 객담의 액화를 위해 하루 8~10컵의 충분한 수분 섭취
· 처방에 따라 정량대로 흡입제 사용
- Proventil과 같은 기관지 확장제는 기도를 개방
- Atrovent는 기침과 점액 생성을 감소
- 코르티코스테로이는 부종 감소
· 흡연, 먼지, 매연, 향수, 차거나 따뜻한 공기 등 폐 자극물질을 피한다.
· 감염을 나타내는 객담의 색, 양, 점도의 변화를 보고
· 감기나 독감이 유행하는 시기에 사람이 많은 곳을 피하여 호흡기 감염을 피한다.
2. 숨찬 증상 조절
· 입술 오므리기 호흡(pursed-lip breathing)을 연습하여 천천히 길게 호식하도록 한다.
· 앉은 자세에서 팔을 탁자에 올리거나 무릎에 올려 호흡시 편안함을 도모하는 체위
· 조용한 음악감상, 평화로운 풍경 사앙이나 마사지 등의 이완요법 활용
· 처방이 있다면 목욕, 옷입기, 식사, 걷기 등의 활동수행시 지시대로 산소 사용
3. 피로 조절
· 신체활동을 중단하지 않는다. 대신 에너지를 보존하면서 활동을 조절하는 방법 학습
· 쉬운 운동부터 시작하여 서서히 운동강도 증가
· 호흡 재활 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건강관리 전문의와 논의
· 균형잡힌 식사
· 여러 개의 베개를 이용하여 침상머리를 올리고 수면을 취하거나 숨이 찬 경우 안락의자에 앉아 수면
· 기침 때문에 잠이 깬 경우 물을 마시고 객담 제거를 위해 흡입제 사용
· 불면증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과도한 흡입제 사용은 피한다.
4. 식욕부진 조절
· 소량씩 6회 이상 식사하며 2~3번 과식하기 보다는 가벼운 스낵 종류 섭취
· 천천히 먹는다. 매 식사시 적어도 30분 이상 먹으며, 식사 후 팔꿈치를 탁자에 올리고 앉는다.
· 고단백, 중정도의 지방, 저탄수화물을 섭취하여 호흡 노력의 증가를 보충
· 음식섭취가 어려운 경우 고열량, 고단백 음료 섭취
★ 천식과 COPD의 차이점

COPD
천식
발병시기
주로 40세 이후
주로 이른나이 (어린시절)
흡연관련
담배를 많이 핀 사람
비흡연자 또는 소량흡연자
증상
서서히 진행
간헐적, 일일 변동알러지, 비염, 습진등의 병력천식의 가족력
간헐적, 매일
밤이나 이른아침에 심함
운동시 호흡곤란 악화
천식 일어날 때만
천명음
항상 또는 급성악화시
증상 나타날 때만
기도 폐쇄
비가역적
천식 일어날 때만 (가역적)
출처
http://www.copd.or.kr/
최신임상간호메뉴얼(현문사)
이○○ M/85 (2011.5.8~5.16)
1. IMP : COPD
2. 입원동기 : 4일 전부터 숨차는 증상 있어 본원 응급실 통해 입원함.
3. 증상 : 호흡곤란
4. 검사결과
5/8
chest AP-portable : increased hazziness of Rt. lung
LAB
CBC : WBC 11220/uL ↑
Sputum
Gram stain : Less than 10 WBC, less than 10 squamous epothlial cells. (sputum group 6)
Rare gram positive cocci.
Culthre&identification : Moderate growth of srteptococcus pneumonia.
ABGA : PO2 49.4㎜Hg (83~100㎜Hg) , O2 sat. 85.2% (95~100%)
5. 치료 방법
입 원
식이-Tolerable diet
Encourage ambulation, Encourage deep breathing&coughing
약물치료
PRN)N/S100+데노간1ⓥ IV(If BT > 38.5) [해열,진통,소염제]
nasal O2 inhalation 3L/min
Fluid) N/S 500+Tamipool 1ⓥ[혼합비타민제]+아미노필린 1@ [강심제]
Anti) N/S100+마카린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항생제]
세프타지딤[3세대 세팔로스포린계 항생제]
Injection) 살론주[부신호르몬제]
po)코대원정[진해거담제]
아미노필린정[강심제]
아토크정[진해거담제]
코딜라트정[진해거담제]
게로미르톨포르테연질캅셀[진해거담제]
코푸시럽[진해거담제]
Inhalation) 벤토린[진해거담제]
아트로벤트[진해거담제]
스피리바핸디z헬러[기관지 확장제]

키워드

  • 가격2,5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1.06.26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71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