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SOA의 개요
1.1 SOA의 등장배경
1.2 SOA의 정의
2. SOA 동향
2.1 SOA 시장 특성
2.2 기업 동향
2.3 SOA 도입 유형
3. 웹서비스의 정의
3.1 웹서비스의 유형
4. SOA와 웹서비스
4.1 SOA와 웹서비스의 특징
5. 사례 : LG CNS SOA기반 Architecture 구현
5.1 추진 방향 및 전략
5.2 SOA 기반 Architecture 구성도
5.3 SOA 기반 통합권한체계
5.4 SOA 기반의 U-PAMS
5.5 결과
1.1 SOA의 등장배경
1.2 SOA의 정의
2. SOA 동향
2.1 SOA 시장 특성
2.2 기업 동향
2.3 SOA 도입 유형
3. 웹서비스의 정의
3.1 웹서비스의 유형
4. SOA와 웹서비스
4.1 SOA와 웹서비스의 특징
5. 사례 : LG CNS SOA기반 Architecture 구현
5.1 추진 방향 및 전략
5.2 SOA 기반 Architecture 구성도
5.3 SOA 기반 통합권한체계
5.4 SOA 기반의 U-PAMS
5.5 결과
본문내용
태로 확장, 재 분해되고 변경된다. 이러한 재활용을 통해 비용을 절약하고 기존의 투자 환경을 보호할 수 있다. 웹 서비스가 채택하는 점진적인 접근 방식 덕분에 기존 솔루션을 걷어내고 교체할 필요가 없다.
● 느슨한 결합
컴포넌트화의 또 다른 이점은, SOA 방식에서 서비스 간의 느슨한 결합을 장려하므로 서비스 간의 전제 조건 및 요구 조건이 줄어든다. SOA 시스템 전체의 정상적인 활동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구현된 개별 서비스를 대체하고 장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느슨하게 결합된 시스템에서는 변경 사항이 컴포넌트의 내부 구현에 미치는 영향을 격리하고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촉진시킴으로써 전반적인 개발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약되는 편이다.
● 업계에서의 폭 넓은 지원
핵심적인 웹 서비스 표준(SOAP, WSDL, XML 및 XML 스키마)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벤더 모두에서 보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 보편적인 지원 덕분에 서비스 지향적 애플리케이션 구축 시 사용할 미들웨어 및 툴 제품에 대해 폭 넓은 선택의 기회가 주어진다.
● 조립성 (ComposabiLIty)
웹 서비스 기술은 설계자가 구성(Composition)을 통해 각기 다른 기능을 혼합하고 대응시킬 수 있도록(Mix and Match) 설계되어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웹 서비스 보안 표준을 활용할 수 있다. 메시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하지 않은 시스템은 그 메시지를 서명하거나 암호화하는 데 따르는 복잡성과 오버헤드를 감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메시지, 트랜잭션 등의 안정적인 전달 등 QoS(QuaLIty of Service)의 모든 측면에 적용된다. 조립성 덕분에 웹 서비스 기술은 필요한 기능만 구현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에서 일관성 있게 적용될 수 있다.
5. 사례 : LG CNS SOA기반 Architecture 구현
5.1 추진 방향 및 전략
● 재사용이 가능한 Component Set들을 기반으로 비즈니스의 요구, 변화에 따른 재조합 이 가능한 서비스형 IT Architecture로 재정의 한다.
-서비스 재조합이 가능한 기반 IT Architecture
-상시 업무혁신을 위한 기민하고 유연한 IT Architecture
● 단계적 IT 기반 서비스 정비를 통해 SOA 기반 Architecture 구축 및 관련 기술력
확보
-Web Style Guide 구축 및 적용, 전 사내 시스템의 UI 표준화
-Login 창구 일원화로 Single-Sign-On 적용
-U-EAM [Enterprise Access Management] 구축하여 사내 시스템의 접근 권한 통합 관리 실시
-Enterprise Portal 구축하여 통합결재, To-Do, 메뉴 권한 최적화
● Business Process 개선을 통해 Service & Component Repository 확대
-전사 업무 프로세스 정의 및 체계적 분류로 전사 Process Set 정립
-PI 우선 대상 선정을 통해 프로세스 표준화, 효율화 Process Set 추진
5.2 SOA 기반 Architecture 구성도
5.3 SOA 기반 통합권한체계
모든 시스템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권한 관리 서비스를 도출하여 분석/재조합 하여 활용 하였다. 예를 들어 A시스템의 권한, B시스템의 권한, C시스템의 권한을 모두 모아 분석 후 에 통합 룰셋을 정의하고 프레임워크, 통합 권한관리 시스템과 권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만들어 권한체계를 통합하였다.
통합권한체계의 워크 플로우는 다음과 같다.
업무 담당자가 Rule Setting : 업무 담당자에 의한 권한 설계 및 변경
개발자/업무담당자가 Simulation : 변경된 권한 사전 시뮬레이션
일반사용자가 Deploy : 운영 시스템 반영(실시간)
업무팀장, 보안담당자가 Monitoring : 권한부여 현황, 접속기록 모니터링
위의 과정을 통해 시스템 별 접속현황, 메뉴 별 접속현황, 일별/월별/시간대별 접속기록, 접속자수 등의 통계자료를 제공하므로 시스템 활용 및 분석자료 활용도 가능하다.
또한 Enterprise Portal를 통해서 각자의 권한에 따라 구매시스템, 재무시스템, 현장관리시스템 등 모든 시스템의 메뉴를 직접 Access 가능하다.
통합권한체계 구축으로 인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신속, 정확, 편리한 권한 관리
-업무 부서의 권한 부여/해지 즉시 처리 가능
-권한 변경 시 IT부서 코팅 작업이 없다.
●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보안 강화
-전체 시스템 접근 기록 실시간 제공
-시스템별/메뉴별 사용 현황 모니터링
● 사용자 최적화된 메뉴체계 구성
-역활별/조직별 최적화된 메뉴 접근 가능
-별도 Login 없이 Enterprise Portal에서 직접 Access 가능
5.4 SOA 기반의 U-PAMS
SOA 기반의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전사 프로세스 관리/제어 시스템 U-PAMS를 구축하였다.
U-PAMS의 궁극적인 목적은 여러 단위 시스템을 통해 복잡하게 처리되고 있는 업무 서비스를 사용자 프로세스 중심으로 자동화하여 업무 혁신을 하고자 함이었다.
U-PAMS의 구축효과는 다음과 같다.
● 업무척 측면에서의 프로세스 기반의 통합된 PI 체제 구축 효과
-User-Friendly한 기능/높은 수준의 Workflow Visibilty 확보
-업무 Lead Time 단축을 위한 자동화 및 상시 모니터링/관리 체계 구축
● 기술측면에서의 SOA 기반 IT Architecture 구현
-기존에 구축된 Common Service를 활용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 재사용의 이점을 확보
-논리/물리 영역 일체화 구조를 실현
5.5 결과
LG CNS는 Web Service 와 같은 기술적 접근 이전에, 기업 내부에 실제 공통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을 발굴하는데에 중점을 두어 SOA 기반의 시스템 경영을 통한 전사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할 수 있었다.
이는 SOA의 사상이 급속한 Business 변화와 요구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IT Architecture로써 유용한 도구임을 증명했다.
● 느슨한 결합
컴포넌트화의 또 다른 이점은, SOA 방식에서 서비스 간의 느슨한 결합을 장려하므로 서비스 간의 전제 조건 및 요구 조건이 줄어든다. SOA 시스템 전체의 정상적인 활동을 중단하지 않고서도, 구현된 개별 서비스를 대체하고 장기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느슨하게 결합된 시스템에서는 변경 사항이 컴포넌트의 내부 구현에 미치는 영향을 격리하고 컴포넌트의 재사용을 촉진시킴으로써 전반적인 개발 및 유지 보수 비용이 절약되는 편이다.
● 업계에서의 폭 넓은 지원
핵심적인 웹 서비스 표준(SOAP, WSDL, XML 및 XML 스키마)은 대표적인 소프트웨어 벤더 모두에서 보편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 보편적인 지원 덕분에 서비스 지향적 애플리케이션 구축 시 사용할 미들웨어 및 툴 제품에 대해 폭 넓은 선택의 기회가 주어진다.
● 조립성 (ComposabiLIty)
웹 서비스 기술은 설계자가 구성(Composition)을 통해 각기 다른 기능을 혼합하고 대응시킬 수 있도록(Mix and Match) 설계되어있다. 예를 들어, 메시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한 시스템에서는 웹 서비스 보안 표준을 활용할 수 있다. 메시지 수준의 보안이 필요하지 않은 시스템은 그 메시지를 서명하거나 암호화하는 데 따르는 복잡성과 오버헤드를 감수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구성 방식은 메시지, 트랜잭션 등의 안정적인 전달 등 QoS(QuaLIty of Service)의 모든 측면에 적용된다. 조립성 덕분에 웹 서비스 기술은 필요한 기능만 구현되는 방식으로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에서 일관성 있게 적용될 수 있다.
5. 사례 : LG CNS SOA기반 Architecture 구현
5.1 추진 방향 및 전략
● 재사용이 가능한 Component Set들을 기반으로 비즈니스의 요구, 변화에 따른 재조합 이 가능한 서비스형 IT Architecture로 재정의 한다.
-서비스 재조합이 가능한 기반 IT Architecture
-상시 업무혁신을 위한 기민하고 유연한 IT Architecture
● 단계적 IT 기반 서비스 정비를 통해 SOA 기반 Architecture 구축 및 관련 기술력
확보
-Web Style Guide 구축 및 적용, 전 사내 시스템의 UI 표준화
-Login 창구 일원화로 Single-Sign-On 적용
-U-EAM [Enterprise Access Management] 구축하여 사내 시스템의 접근 권한 통합 관리 실시
-Enterprise Portal 구축하여 통합결재, To-Do, 메뉴 권한 최적화
● Business Process 개선을 통해 Service & Component Repository 확대
-전사 업무 프로세스 정의 및 체계적 분류로 전사 Process Set 정립
-PI 우선 대상 선정을 통해 프로세스 표준화, 효율화 Process Set 추진
5.2 SOA 기반 Architecture 구성도
5.3 SOA 기반 통합권한체계
모든 시스템에 공통으로 적용 가능한 권한 관리 서비스를 도출하여 분석/재조합 하여 활용 하였다. 예를 들어 A시스템의 권한, B시스템의 권한, C시스템의 권한을 모두 모아 분석 후 에 통합 룰셋을 정의하고 프레임워크, 통합 권한관리 시스템과 권한 시뮬레이션 시스템을 만들어 권한체계를 통합하였다.
통합권한체계의 워크 플로우는 다음과 같다.
업무 담당자가 Rule Setting : 업무 담당자에 의한 권한 설계 및 변경
개발자/업무담당자가 Simulation : 변경된 권한 사전 시뮬레이션
일반사용자가 Deploy : 운영 시스템 반영(실시간)
업무팀장, 보안담당자가 Monitoring : 권한부여 현황, 접속기록 모니터링
위의 과정을 통해 시스템 별 접속현황, 메뉴 별 접속현황, 일별/월별/시간대별 접속기록, 접속자수 등의 통계자료를 제공하므로 시스템 활용 및 분석자료 활용도 가능하다.
또한 Enterprise Portal를 통해서 각자의 권한에 따라 구매시스템, 재무시스템, 현장관리시스템 등 모든 시스템의 메뉴를 직접 Access 가능하다.
통합권한체계 구축으로 인한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신속, 정확, 편리한 권한 관리
-업무 부서의 권한 부여/해지 즉시 처리 가능
-권한 변경 시 IT부서 코팅 작업이 없다.
● 실시간 모니터링으로 보안 강화
-전체 시스템 접근 기록 실시간 제공
-시스템별/메뉴별 사용 현황 모니터링
● 사용자 최적화된 메뉴체계 구성
-역활별/조직별 최적화된 메뉴 접근 가능
-별도 Login 없이 Enterprise Portal에서 직접 Access 가능
5.4 SOA 기반의 U-PAMS
SOA 기반의 유연하고 재사용 가능한 전사 프로세스 관리/제어 시스템 U-PAMS를 구축하였다.
U-PAMS의 궁극적인 목적은 여러 단위 시스템을 통해 복잡하게 처리되고 있는 업무 서비스를 사용자 프로세스 중심으로 자동화하여 업무 혁신을 하고자 함이었다.
U-PAMS의 구축효과는 다음과 같다.
● 업무척 측면에서의 프로세스 기반의 통합된 PI 체제 구축 효과
-User-Friendly한 기능/높은 수준의 Workflow Visibilty 확보
-업무 Lead Time 단축을 위한 자동화 및 상시 모니터링/관리 체계 구축
● 기술측면에서의 SOA 기반 IT Architecture 구현
-기존에 구축된 Common Service를 활용 가능한 구조로 만들어 재사용의 이점을 확보
-논리/물리 영역 일체화 구조를 실현
5.5 결과
LG CNS는 Web Service 와 같은 기술적 접근 이전에, 기업 내부에 실제 공통적으로 재사용 가능한 서비스 영역을 발굴하는데에 중점을 두어 SOA 기반의 시스템 경영을 통한 전사 업무 프로세스를 혁신할 수 있었다.
이는 SOA의 사상이 급속한 Business 변화와 요구에 신속 대응할 수 있는 IT Architecture로써 유용한 도구임을 증명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