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posco) 기업분석, 포스코(posco) SWOT 분석, 경쟁업체와의 비교 분석, 재무 구조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포스코(posco) 기업분석, 포스코(posco) SWOT 분석, 경쟁업체와의 비교 분석, 재무 구조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기업 소개
3.해외진출 현황
4.철강산업분석
5.재무 구조 분석
6.경쟁업체와의 비교 분석(현대 제철)
7.SWOT 분석
8.결과
9.참고 자료

본문내용

역시 빠른 속도로 다양화가 진행되고 있다. 급변하는 현대 사회가 아무리 제 3의 물결이 이는 정보화 사회이고 첨단기술이 눈부시게 펼쳐지는 사회라고 하더라도, 우리나라 산업의 근간이 되는 것은 바로 과거의 눈부신 산업화를 이루는데 핵심적 역할을 한 철강산업이라고 할 수 있다. 철강업이란 철강의 제조와 이를 가공처리하여 각종 철강재를 생산하는 산업으로, 대표적인 기간산업임과 동시에 막대한 건설비를 요하는 장치산업이기도 하다.
철강산업의 주요 특성으로는 전후방 산업연관효과와 규모의 경제효과가 크고, 생산규모를 조절하기 어려우며, 에너지사용량 및 물류량이 방대하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현재 중국 분기 조강생산량이 사상 최대치를 기록하고 수요 4개월 연속 전년대비 증가를 하고 있어 철강 수요 호조 및 원료가격 상승에 따라 글로벌 철강 가격 강세 지속 중이다.
중국은 12.5 규획에 따른 경기 조절 영향으로 5% 수준의 안정적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다.
자동차 산업은 수출시장 회복 및 안정적 내수로 사상 최대 생산량 전망이다.
기계 산업은 설비투자 확대로 내수 증가 및 신흥국 수출 호조로 생산 고성장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조선 산업은 예상 대비 높은 수주 증가 및 선박 인도 집중으로 건조량 증가세를 지속할 전망이다.
철광석은 2011년 2분기에 중국 철강사 재고 비축 영향으로 수요가 증가되어 가격이 약 25% 인상되었고 하반기 중 타이트한 수급 상황이 지속될 전망이다. 원료탄은 2011년 2분기에 호주 폭우로 인한 공급 감소로 가격이 급등하여 U$330로 타결되었고 하반기 중 소폭 조정 예상된다.
5. 재무 구조 분석
6. 경쟁업체와의 비교 분석(현대 제철)
수익성
 
포스코
현대제철
업계평균
영업이익률
11.68
7.26
6.24
ROE
10.8
20.15
8.65
ROA
8.24
8.43
4.86
안정성
 
포스코
현대제철
업계평균
부채비율
29.21
135.84
75.16
유동부채비율
8.68
59.38
43.43
비유동부채비율
20.53
76.46
31.82
이자보상비율
10.91
4.68
10.4
유동비율
480.97
113.44
147.45
당좌비율
369.41
75.07
100.48
성장성
 
포스코
현대제철
업계평균
매출액증가율
-12.04
-24.15
-15.80
영업이익증가율
-51.87
-56.25
-54.26
순이익증가율
-28.66
40.05
-16.25
총자산증가율
7.99
32.71
9.87
자기자본증가율
11.4
36.8
13.43
회전율
 
포스코
현대제철
산업평균
총자산회전율
0.7
0.58
0.83
매출채권회전율
9.12
7.13
7.20
재고자산회전율
5.73
4.95
5.55
매입채무회전율
29.16
10.49
9.80
가치지표
 
포스코
현대제철
PER
16.99
6.42
PBR
1.74
1.12
7. SWOT 분석
1) STRENGTH(강점)
- 세계 1위의 철강생산 경쟁력
- 국내시장에서의 독보적 지위
- 수요자로부터의 높은 인지도
- 우수한 산업인력 보유
- 생산관리 및 경영관리의 효율화
2) WEAKNESS(약점)
- 원재료에 대한 수입의존도가 높음
- 내수시장에 대한 의존도가 높음
3) OPPORTUNITY(기회)
- 관련산업에서 지속적인 수요
- 아시아 시장에서의 철강수요 증가
- 철강산업에서의 전자상거래 증가
4) THREAT(위협)
- 환경 규제의 강화
- 국내 타 철강사의 성장, 약진
- 세계 보호무역주의의 확산
- 중국시장에서의 경쟁 구도 강화
- 지속적인 유가 상승과 원재료가격 상승
8. 결론
철강산업은 우리나라의 기간산업이고,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산업이지만 포스코의 민영화, 중국의 성장 등 여러 환경변화와 포스코 자체의 변화로 인해 환경 등의 변화에 맞추어 기업 역시 변화할 필요가 있다.
이에 포스코는 전략과 기술을 바탕으로 미래 신성장을 위한 승부수를 던졌다. 리튬 등 첨단 소재를 중심으로 한 종합소재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전략으로 녹색산업인 연료전지 · 태양광 · 풍력 등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본격 육성 중이고 최근 인수한 대우인터내셔널의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하여 성장 속도를 높이고 있다.
포스코는 미래 성장동력을 확보하기 위하여 녹색산업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실시하고 있다. 환경오염으로 인한 피해가 심각해짐에 따라서 환경에 대한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녹색사업이 높은 수익성이 나타난다고 판단하고 과감한 투자를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
포스코는 녹색사업 뿐만 아니라 리튬과 같은 첨단 소재를 확보하기 위한 노력도 기울이고 있으며 우수한 역량을 가진 기업을 인수하여 세계시장을 공략함으로서 글로벌 기업으로서 거듭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세계적 철강전문 분석기관인 WSD(World Steel Dynamics)는 최근 세계 34개 철강社를 대상으로 기술력, 수익성, 원가절감, 재무건전성, 원료 확보 등 총 23개 항목을 평가한 결과를 발표했다.
포스코는 작년 7.53점이던 종합점수가 올해에는 해외투자 확대를 통한 성장 동력을 적극 확보하고 파이넥스 등 선진 기술역량이 높은 평가를 받아 종합점수 8.12로 사상 처음 8점대에 오르면서 세계1위를 차지했다.
포스코는 2002부터 2004년까지1위를 고수하다, 철광석 광산을 보유한 세베르스탈, 타타스틸 등 러시아, 인도 철강사들에게 1위 자리를 내주었으나 지난해 원가절감과 수익성개선, 기술력향상, 철광석 광산 확보 노력 등을 통해 6년 만에 다시 정상에 오른 이후 2년 연속 1위를 지키게 됐다.
9. 참고 자료
김병욱. {세계 최고로부터 배우자, 한국의 철강산업}. 킴스정보전략연구소, 2004.
이대환. 세계 최고의 철강인 박태준. 현암사. 2004, pp. 849-852.
2004 지속가능 보고서. 포스코. 2004, pp. 6-25.
Annual Report 2004. 포스코. 2004, pp. 8-56.
Fact Book. 포스코. 2005, pp. 25-31.
나종영. {기업윤리 윤리경영의 이론과 실제, 5판}. 삼영사, 2006.
도은진. POSRI 경영연구 제5권 제2호. 포스코 경영연구소. 2005, pp. 219-227.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1.06.27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69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