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분비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내분비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선과 호르몬
- 내분비선(endocrine glands)
- 호르몬(hormone)
■ 뇌하수체구조와 기능
(1) 구조
(2) 뇌하수체 전엽의 기능
(3) 뇌하수체 후엽의 기능
■ 뇌하수체 전엽
(1) 성장호르몬
(2) 프로락틴
(3) 트로픽 호르몬
■ 뇌하수체 후엽
(1) 항이뇨호르몬
(2) 옥시토신
■ 뇌하수체의 작은 세 번째 엽
(1) 멜라닌세포 자극 호르몬
■ 갑상선
■ 부갑상선
■ 부신(Adrenal gland)
(1) 부신수질(Adrenal medulla)
(2) 부신피질(Adrenal cortex)
■ 췌장(Pancreas)
■ 고환과 난소
■ 흉선(Thymus gland)
■ 송과체(Pineal body)
■ 기타 호르몬
■ 내분비계의 질병과 장애
- 뇌하수체의 질병과 장애
■ 성선의 질병과 장애
■ 부신의 질병과 장애
■ 갑상선의 질병과 장애
■ 부갑상선의 질병과 장애

본문내용

수 있다. 골단선이 폐쇄되기 전에 성장호르몬이 과잉 분비되면 거인증이 되고, 골단성 폐쇄 후 성장호르몬이 과잉 분비되면 말단비대증이 된다. 이 질병들 은 점차적으로 조직을 부드럽게 하며 두개골의 막성 골이나 손 과 발의 장골 비대현상을 볼 수 있다. 발· 손· 입술· 코· 하 악· 볼· 상안이 현저히 비대 되었으며 상안이 돌출되어 있다. 이 질병들의 치료는 방사선요법이나 외과적으로 종양을 제거
한다.
하수체후엽의 기능저하 : 뇌하수체후엽의 기능 저하는 시상하부나 하수체 종양에 기인하 며, 항이뇨호르몬 분비를 저하시킨다. 항이뇨호르몬의 과소 분 비는 요붕증을 초래하며 뇨에서 수분을 흡수하기 어려워 희석 된 다량의 뇨를 배출한다.
■ 성선의 질병과 장애
난소의 기능저하 : 난소의 기능저하는 시상하부나 뇌하수체의 기능장애· 난소부재나
난소질환에 기인하며, 그 결과 에스트로겐이 부족하게 된다.
난소의 기능항진 : 난소의 기능항진은 난소에 종양이 생겨 에스트로겐을 과잉분비 함으 로써 초래된다. 과잉분비는 소녀에게는 사춘기 조기발현, 성숙한 여 성은 자궁종양· 유방종양· 생리시에 다량 출혈의 증상이 나타나며, 갱년기 이후의 여성은 생리가 다시 시작된다.
고환의 기능저하 : 고환의 기능 저하는 시상하부나 하수체의 기능장애
(황체형성호르몬 분비가 저하됨으로써생긴다), 고환의 손상이나
질병에 기인하며, 그 결과 테스테론이 부족하게 되어 나타난다.
사춘기 때 테스토스테론 부족은 환관증이 되며 사춘기 이후에
부족하면 남성의 2차적 특징이 사라진다.
고환의 기능항진 : 시상하부 하수체· 고환이 종양으로 테스토스테론이 과잉분비 될 때
고환의 기능 항진이 일어난다. 테스토스테론의 과잉분빈은 소년에게 사춘기 조기발현· 성인은 남성의 2차 성징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부신의 질병과 장애
부신피질의 기능저하 :Addison 병은 부신피질의 변성이나 파괴에 기인한 피질의 기능
저하증을 말하며, 저혈압· 피로· 무력감· 체중감소(당류코티코이 드의 부족)· 피부의 색소과잉침착· 위 장계 장애의 증상이
나타난다.
부신피질의 기능항진 : 부신피질의 기능 항진은 염류코티코이드와 당류 코티코이드.
안드로겐의 과잉으로 초래된다.
° 쿤증후군 : 쿤증후군을 원발성 알도스테론증이라 하며,
고혈압· 고Na+ · 저K+ 혈증이 나타난다.
° 쿠싱증후군 : 쿠싱 증후군은 부신피질 종양이나 하수체 종양으 로 ACTH가 과잉분비되어 일어나는 증후군으로, 월 상안· 체간비대· 목덜미 융기· 복부에 자색줄·
다모증· 고혈압의 증상이 나타난다.
부신성기 증후군 : 부신성기 증후군은 부신이 과잉 분비되어 남성화 특징을 나타내는데 소년은 사춘기 조기발현, 여성은 남성의 2차 성징을 초래한다.
이 증후군의 선천적인 형태는 코티코스테로이드를 생합성하는 통로 의 결함에 기인하며, 이때 부신 안드로겐 합성이 증가하는 반면 당류 코티코이드 합성은 감소한다.
수질의 기능 항진 : 부신수질의 기능 항진은 카테코라민 과잉분비에 의해 초래되며 간헐 적인 고혈압, 심계항진, 발한, 신경증의 증상이 나타난다.
■ 갑상선의 질병과 장애
- 갑상선 기능저하
갑상선종 : 단순히 갑산성종은 요오드 섭취부족 때문에 결핍증상이 나타난다. 요오드
결핍은 부족한 요오드 교질을 생성하기 위해 갑상선을 자극하여 갑상선이
비대되어 있다.
크레틴병 : 유아에 있어 심한 갑상선 기능저하증을 크레틴병이라 하며, 갑상선자극호르 몬 부족, 선천적인 갑상선 부재에 기인하며, 티록신이 결핍되어 일어나는 증상으로 육체적, 정신적으로 발육이 지연된다.
점액수종 : 성인에게 발생하는 심한 갑상선 기능 저하 증을 점액수종이라 하며, 갑상선 제거 또는 갑상선 위축으로 인한 갑상선자극호르몬의 결핍 때문에 발생
된다.
- 갑상선의 기능항진
: Grave 질병은 티록신의 과잉분비로 인한 갑상선 기능 항진증을 말하며, 신경질증·
더위를 못 참음· 안구돌출의 증상을 호소한다. 이 질병은 갑상선을 자극하는 비정상적 항체인 지속성 갑상선 자극물질(LATS)의 양이 증가하는 자가면역 질환으로 여겨진다.
■ 부갑상선의 질병과 장애
부갑상선의 기능저하 : 부갑상선의 기능저하는 부갑상선의 PTH부족으로 생기며, 저Ca++ 혈증 및 이에 수반된 강직· 진전 증상이 특징으로 나타나며,
진전은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게 된다.
부갑상선의 기능항진 : 부갑상선의 기능항진은 부갑상선이 증가됨으로써 생기며, 신장결 석을 유발하는 Ca++과 P의 과량 배설· 골의 병변이 일어난다.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7.01
  • 저작시기2009.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5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