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유기 발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서유기 발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작품 수립과 형성 과정
2. 작가‘오승은’소개
3. 줄거리와 주제
4. 서유기에 반영된 사상
5. 서유기의 의의와 한계점
6. 서유기를 통해 본 명대 사회
7. 후대 문학에 끼친 영향

본문내용

명대 사대기서 - 서유기




서유기의 형성 과정


       서유기





서유기의 변천 과정
━━━━━━━━━━━━━━━━━━━━━━━━━━

────────────────────────────────
화본소설(11세기)
『대당삼장취경시화』,『대당삼장법사취경화』
────────────────────────────────
────────────────────────────────
희곡 - 산문체 소설의 출현(12~13세기)
『서유기 잡극』, 『서유기평화』
────────────────────────────────
────────────────────────────────
축약본과 100회 완본 『서유기』(16세기)
────────────────────────────────
────────────────────────────────
재구성되는 서유기(17~18세기)
────────────────────────────────




작가 소개
━━━━━━━━━━━━━━━━━━━━━━━━━━

오승은(吳承恩, 1504~1582, 산양)
- 자는 여충(汝忠), 호는 사양산인(射陽山人)

쾌활하고 지혜로운 성격
특히 시문을 잘 지었음
벼슬과는 거리가 먼 불우한 일생
서유기는 보통 만년의 작품으로 봄

그 외 저서-『우현지서(禹縣志序)』,
『사양산인존고(射陽山人存稿)』




줄거리
━━━━━━━━━━━━━━━━━━━━━━━━━━

1)손오공의 탄생과 천궁(天宮)에서의 난동 (1回~7回)

2)현장의 등장과 당 태종의 지옥 여행 (8回-12回)
삼장법사(三藏法師)의 처지, 위징(魏徵)이 용의 머리를 자른 것,
당 태종이 지옥을 다녀온 이야기, 경전을 얻게 된 연유 등을 설명

3)인도로의 취경 여행(13回-99回)
손오공이 저팔계, 사오정, 삼장법사와 함께, 팔십일난을 만나
가지각색의 요괴와 싸우며 서역에서 경전을 가지고 오는 이야기

4)경문을 가지고 돌아와 훌륭하게 성불(成佛)한다(100回)
마침내 삼장 일행은 당 태종에게 불경을 바치고
삼장은 전단공덕불, 손오공은 투전승불, 저팔계는 정단사자,
사오정은 금신나한, 백마는 팔부천룡이 된다





주제
━━━━━━━━━━━━━━━━━━━━━━━━━━

1)西遊하는 기록, 취경의 어려움

2)정통적인 유가사상의 고취

3)농민반란설 / 시민계급 찬양설

4)음양오행설 (삼장, 오공, 팔계, 오정, 용마)

5)대자연과 대결하는 중국인들 불굴의 투쟁

6)선(仙) 혹은 도(道)를 강조한 것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1.07.08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6883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