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나, 많은 동양인 중에 돈만 밝히는 인간으로 한국인을 선택한 영화감독 자신조차도 편견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점을 통해서 잘 알 수 있다.
그러면 이러한 비극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폴 해기스 감독 자신의 생각을 영화 도입부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배우 돈 치들-...
제 나름대로 대사의 의미를 해석해 봤는데요. 현제 세계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근데 이 자본주의라는 것을 들여다보면 시장의 논리, 자율경쟁체제, 무한경쟁시스템을 통해서 승자와 패자를 가리고 내가 아닌 타자를 더불어 살아가야할 동반자가 아닌 쓰러뜨려야 할 경쟁자 내지는 적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있다는 겁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연스레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에 물들 수밖에 없고, 또 사회구성원들 간에 소통이 없어지면서 단절되어 버린다는 겁니다.
궁극적으로 폴 해기스 감독이 이 영화 ‘크래쉬’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지금 현재의 각박한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자율성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현시대에 부족한 더불어 사는 사회에 대한 연대성으로 좀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메시지를 우리들에게 주는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
그러면 이러한 비극이 발생하는 근본적인 원인은 무엇일까? 이에 대한 폴 해기스 감독 자신의 생각을 영화 도입부를 통해 드러내고 있다. 배우 돈 치들-...
제 나름대로 대사의 의미를 해석해 봤는데요. 현제 세계에 대부분의 나라들은 자본주의라는 경제체제로 운영이 되고 있습니다. 근데 이 자본주의라는 것을 들여다보면 시장의 논리, 자율경쟁체제, 무한경쟁시스템을 통해서 승자와 패자를 가리고 내가 아닌 타자를 더불어 살아가야할 동반자가 아닌 쓰러뜨려야 할 경쟁자 내지는 적으로 인식하게 만들고 있다는 겁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람들은 자연스레 개인주의와 이기주의에 물들 수밖에 없고, 또 사회구성원들 간에 소통이 없어지면서 단절되어 버린다는 겁니다.
궁극적으로 폴 해기스 감독이 이 영화 ‘크래쉬’를 통해서 말하고자 하는 바는 지금 현재의 각박한 자본주의 체제 하에서 자율성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현시대에 부족한 더불어 사는 사회에 대한 연대성으로 좀 나아가야 하지 않을까 하는 메시지를 우리들에게 주는 것 같습니다.
이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