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R(기업의 사회적 책임)의 중요성 및 효과와 기업사례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CSR의 정의와 중요성
(1) CSR의 정의
(2) CSR의 중요성

2. CSR의 유형과 효과
(1) CSR의 유형
(2) CSR의 효과

3. CSR의 기업사례
(1) 유한킴벌리
(2) 구글
(3) 더바디샵
(4) 오리온
(5) 에스티로더

4. CSR의 시사점

본문내용

것을 널리 알리고 촉구하고 싶어 한다. 마이클 홉킨스는 ‘지구의 바겐세일’이란 저서에서 다음과 같이 예견했다. “이제 사회적 책임감 없이 행동하는 비즈니스는 더 이상 불가능하다. 기업들 스스로 자성하고 사회적 영역에서 더욱 책임감 있게 행동해야 할 필요성을 느낄 것이므로 새로운 규제와 기업 법률은 더 이상 불필요한 것이다.”
또한 진정한 CSR 활동이란 기업들이 사회참여 사업을 통해서 그들의 이미지를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이를 통해 실리까지도 추구할 수 있음을 깨닫는 것이다. 따라서 선행과 이익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성공적으로 잡을 수 있을 있는 능력을 가졌을 때 진정한 CSR을 달성 했다고 본다. 각 기업과 조직이 사회참여 사업을 펼치는 데 필요한 제반 사항들, 즉 어떤 사회문제의 개선에 참여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사회참여 사업을 펼칠 것인지, 어떻게 그 성과를 평가할 것인지를 세밀하게 파악 한 후 충실하게 사회적 책임을 수행해야 한다.
하지만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CSR 활동이 단순한 기업의 1회성 PR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진정으로 기업의 이익과 사회 빈민층의 이익을 동시에 향상 시킬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이러한 좋은 의도가 1회성에 그치지 않고 또는 기업이 CSR을 할 수 있는 동기가 된다. 따라서 진정한 CSR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기업이 CSR을 적극 실행할 때 정부에서 이러한 기업에게 세금을 깎아주는 방법과 정부에서 모범이 되는 기업에게 상장을 수여하여 기업의 동기부여를 만들고 이를 기업에서는 마케팅에 이용할 수 있게 한다면 많은 기업들이 진정한 CSR을 이끌어 나갈 수 있다고 생각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본래 목적과 CSR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본래 기업은 치열한 경쟁에서 살아남아 적은 비용으로 사적인 이익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다. 따라서 기업이 공공의 문제에 심각성을 느끼고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발 벗고 나선다는 것이 어떻게 보면 모순된 일이다. 빌게이츠가 주창한 창조적 자본주의는 빌게이츠 스스로가 진심으로 사회에 공헌하고자 제시한 것이겠지만, 그가 세계에서 제일가는 부자이자 사업가이기 때문에 그의 의견에 비판을 가하는 사람이 있는 것은 당연할지도 모른다. 즉 선하게 의도된 행동도 그것을 이끄는 주체가 기업이기 때문에, 공익을 위한다는 명목 하에 실제로는 개인의 배를 채우기 위한 교묘한 상술로 보인다는 것이다. 따라서 진정한 CSR은 기업 혼자서 이끄는 것이 아니라, 기업이 사회 전반적인 동의를 구하고, 함께 이끌어 나가는 것이다. 즉 기업이 하고자 하는 사회적 책임 활동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전달하고, 동의를 통해 그 순간만큼은 기업의 고전적 이미지에서 벗어나 참된 공익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21세기 지구촌 최대 관심사는 ‘지속가능성과 사회적 책임이다. 이러한 세계의 이슈 속에서 기업경영의 최대 화두는 ’기업과 사회의 균형 잡힌 성장‘ 으로 변하고 있다. 따라서 대다수 선진 기업은 사회와의 동반성장에 대해 심각하게 고민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이미 주요 수단으로 전략적 사회공헌활동(Strategic Philanthropy)을 활용하고 있다. 즉 인식전환을 통해 사회공헌활동을 넓은 의미에서 경영활동의 일부로 인식해야 한다. 사업을 통해서 지역사회의 일자리 창출을 공헌 하는 등의 사회공헌활동의 목표를 이룰 수 있어야 하며, 이와 동시에 브랜드 이미지 제고를 통한 브랜드 가치 상승의 기업의 경제적 목표도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기업들은 사회적으로도 의미 있으면서 동시에 기업 성과에 기여하는 CSR 활동을 하기 위해서 현재 진행하고 있는 CSR 활동의 유형과 성격, 전략 목표와의 연계성을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 프레임워크를 활용함으로써 현재 CSR 활동들의 포지션을 파악하고, 기업과 사회에게 명확한 가치를 창출하지 못하는 활동은 우선적으로 정비를 고려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자선, 펫 프로젝트, 선전에 속하는 활동으로, 기업과 사회 모두에게 가치를 창출하지 못 하거나 혹은 둘 중 한 주체에게만 가치를 창출하기 때문에 CSR 활동과 경영성과의 상관관계를 이끌어낼 수 없다. 그러므로 기업들은 CSR 활동이 사회와 기업 모두에게 기여하는 파트너링을 목표로 설정하고, CSR 활동을 사업 전략의 관점에서 접근함으로써 CSR 활동에 투입·투자 되는 자원들을 재할당해야 할 것이다. 또한, 기업은 사회공헌활동을 통한 자선을 베푸는 기관에서 사회투자자로 역할이 전환 되어야 한다. 즉 ‘주고 기분 좋은 일에서 사회 변화와 발전을 위해 ’사회에 투자하는 일로 기업 사회공헌 활동에 대한 개념의 변화이다. 이를 통하여 기업은 사회투자자로서 사회공헌 활동에 투자한 것에 상응하는 ‘유무형의 성과’를 통한 자사 브랜드 이미지의 홍보효과, 브랜드의 가치상승‘을 기대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지속가능한 기업 사회공헌활동을 통하여 21세기 한국기업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로부터 존경과 사랑, 관심을 받기 위해서는 단순히 좋은 제품과 경쟁력 있는 기술을 활용하여 돈을 버는 기업이라는 이미지에서 탈피하여 ‘기업시민으로서 인류 사회의 성장과 발전에 기여하는 기업’의 면모를 갖춰야 한다.
<참고자료>
www.yuhan-kimberly.co.kr
www.elcompanies.com
www.thebodyshop.co.kr
www.assist.ac.kr
www.bcp.or.kr
www.seri.org
www.kostat.go.kr
www.fnnews.com
www.etoday.co.kr
www.dt.co.kr
www.hankyung.com
www.munhwa.com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경영 - 다니모토 간지, 김재현 역, 시대의창, 2011
CSR 실천방법론 - 서영우, 시그마인사이트컴, 2011
죽은 CEO의 살아있는 아이디어 - 토드 부크홀츠, 최지아 역, 김영사, 2009
기업의 사회적 책임 CSR - 이명규,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 2007
CSR 경영전략과 기업가치 - 이기훈, 한경사, 2006
유한킴벌리 - 문국현, 조동성, 한즈미디어, 2005
에스티로더 - 에스티로더, 정성호 역, 어문각, 2001
  • 가격1,8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11.07.13
  • 저작시기2011.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6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