막전압[막전위](膜電位 Membrane potential)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막 전압
2. 활동 전압 발생 과정
3. 임펄스의 전달
4. 시냅스

본문내용

electronic하게 마치 전선에서의 전류의 흐름과 동일하게 전류가 신경흥분이 되고 전선이 신경 섬유가 되는 그런 막의 피동적인 특성을 cable property라고 한다. 참고로 전류가 cable을 따라 흐를 때 전선의 절연저항과 capacitance에 따라 누출되는 전류의 크기가 달라져서 전도 양상이 좌우된다. 축삭돌기에서는 세포막의 저항 과 capacitance 에 따라 국소 전류회로를 이루어 전도된다. 일정한 전류를 한 지점에 흘렸을 경우 길이데 따라 전압이 지수 함수적인 감소를 보이는 것을 다음과 같이 표현한다.
: 임의의 점에서 기록되는 전압차
x : 거리
: x=0일 때의 전압차(초기 전압)
λ는 length(혹은 space) constants로서 단위 면적당 세포막 저항(), 단위 길이당의 세포내외의 저항()과 다음의 관계를 갖는다.
따라서 x=λ인 점에서 기록되는 전위차는
이다. 즉 λ는 초기전압의 63%가 감소되는 거리를 뜻하고, 축삭돌기 속을 따라 전도되는 전류는 이 크거나 가 적을 때 더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4. 시냅스
◈ 신경세포와 신경 혹은 근육 세포와의 접합부를 시냅스라 한다. 시냅스는 시냅스는 새냅스 전 세포의 말단(presynapse terminal)에서 새냅스 후 세포(postsynaptic cell)로 흥분을 전달하는 방법에 따라 전기적 시냅스와 화학적 시냅스로 구분한다.
ⅰ. 전기적 시냅스 : 시냅스의 틈이 아주 좁은 신경세포에서 발생한 활동 전압이 곧바로 인접한 다른 신경세포에 양방향성으로 전도되며,, gap junction이 이에 속한다.

키워드

막전압,   전압,   의료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16
  • 저작시기201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99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