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의 발전 방향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비쿼터스의 발전 방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가. 유비쿼터스란---------------------------------------------------3
나. 과거의 유비쿼터스-----------------------------------------------4

II. 본론

가. 유비쿼터스의 부정적 시각----------------------------------------6
나. 유비쿼터스의 특징----------------------------------------------7
다. 유비쿼터스에 대한 사회적 인지도 ---------------------------------9
라. 유비쿼터스를 바라보는 관점 -------------------------------------10
마. 유비쿼터스의 시대를 앞선 유비티----------------------------------14
바. 유비쿼터스의 현실----------------------------------------------16
사. 가상현실속의 유비쿼터스-----------------------------------------19
아. 유비쿼터스 사회의 4대 핵심 트랜드--------------------------------19
자. 유비쿼터스의 구성----------------------------------------------20
차. 유비쿼터스의 기술----------------------------------------------23
카. 유비쿼터스와 도시----------------------------------------------26
타. 유비쿼터스 건강관리를 위한 무자각 생체계측 기술--------------------32
파. 유비쿼터스를 실현시키기 위한 기술 동향 ---------------------------38
하. 유비쿼터스 기술과제--------------------------------------------38

Ⅲ. 결론

가. 유비쿼터스로 이루어지는 미래------------------------------------40
나. 유비쿼터스 기술과 도시의 미래 준비-------------------------------41

Ⅳ. 부록

가. 참고문헌------------------------------------------------------43
나. 소감---------------------------------------------------------43

본문내용

일으켜서 편리와 효율을 추구하는 인류의 꿈과 희망임과 동시에 어떤 혼란을 불러올지 예측할 수 없는 시한폭탄과 같은 존재이다. 이런 우려의 핵심에는 유비쿼터스가 모든 정보의 비밀을 사라지게 만든다는 점이다.(시험을 보는 것도 문제출제자와 학생 간에 비밀이 있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누구나 원한다면 모래알만한 컴퓨터를 곳곳에 숨겨놓아서 원하는 사람들을 365일 24시간 내내 감시할 수 있고 중요한 정보가 담겨있는 서버를 생각보다 쉽게 해킹할 수도 있다. 이것은 사생활을 존중받고 싶어 하는 개인에게는 엄청난 악재다. 반면 한 회사나 나아가 국가, 또는 지구 전체를 일괄적으로 통치하는 입장에서는 상당히 매력적인 힘이다. 이쯤 되면 유비쿼터스 때문에 윤리관, 도덕관, 종교관까지 다시 써야 할지도 모른다. 비밀이 없어지는 대신에 어떠한 일을 하든지 사람들 간에 도덕성과 신뢰가 가장 중요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은 아직까지 지극히 주관적인 개념이기 당장 쉽게 결론지을 수 가 없다. 그러나 빠른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우리 모두가 수십 년 내에 이러한 상황들을 맞닥트리게 될 것은 분명하다. 최근 컴퓨터가 음반, 영화를 불법 복제하는데 사용되어 많은 저작권 문제를 낳고 있는 것도 이러한 상황들의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요즘은 저작권법을 모르면 실수로 홈페이지에 자신이 좋아하는 음악 파일을 올려놓았다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범죄자로 몰릴 수 있을 정도다. 진정한 정보통신 강국이라면 기술 때문에 발생하는 사회적 문제에 있어서도 미리 고민하고 대처해서 다른 나라들보다 앞서갈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기술의 발달과 동시에 사회문화적인 수준도 올라가야 우리는 진정 기술을 다 같이 즐길 수 있는 세상을 살아갈 수 있을 것이며 여기에 유비쿼터스도 예외는 아니다. 미래 유비쿼터스 시대는 우리나라가 ‘정보교통사고 발생률 세계 1위’ 같은 오명은 절대 쓰지 말아야 할 것이다.
III-나. 유비쿼터스 기술과 도시의 미래 준비
미래를 위한 도시적 준비는 기존 도시의 변화하지 않고 지속하는 요소와 장점을 유지하면서 새로운 기술과 산업에 적응하고 동시에 이들의 실현의 장(場)으로서의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금 우리가 직면하고 있는 유비쿼터스는 지난 시대의 새로운 첨단 기술의 의미와는 조금 다르다. 유비쿼터스 시대의 가장 큰 변화는 전통적인 의미의 도시기반시설(infrastructure)과 달리 새로운 의미의 기반시설인 정보통신 인프라의 등장이라 할 수 있다. 새로운 의미의 기반시설에 대한 도시적 정의를 준비해야 하고 이것이 미래의 다양한 수요와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도시구조와 시스템을 준비해야 할 것이다.그러나, 인간의 기술은 과거 도시들의 부침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언제나 새로운 첨단기술에 자리를 내어주며 도시 역시 이에 많은 영향을 받는다. 역사가 주는 교훈을 돌이켜 보면 우리가 지향하여야 할 점은 효율과 편리, 첨단기술과 이의 도시적 실현 등 기능적 측면에 국한되어서는 안된다는 점이다. 디지털미디어스트리트는 “좋은 가로”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한 목적이고 이를 위한 수단으로 새로운 첨단 기술 적용을 시도한 프로젝트이다. 이처럼 우리는 “좋은 도시”를 만들어 가는 과정 속에 새로운 문명을 적용해야 하지만 지향점은 건강하고 건전한 도시의 삶이 되어야 한다는 것이다.유비쿼터스 도시의 의미는 현재 강조 되고 있는 정보전달(communication)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감, 사회공동체 지향 등 친환경성과 지속가능성 등 도시에서 추구하는 보다 전통적인 가치의 비중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방법은 시대와 여건에 따라 달랐을 지라도 “좋은 도시”를 추구하고자 하는 가치는 그리 다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현재의 첨단 기술은 언젠가 또 다른 첨단기술에 자리를 내어주게 될 것이나, “좋은 도시”를 만들고자 하는 노력과 마음은 이 시대적 의미와 가치로써 존중되어져야 한다
IV. 참고문헌 및 소감
가. 참고문헌
www.lge.co.kr (U-life story)
www.ubiu.com (유비쿼터스 개념 lecture)
PARC: Palo Alto Research Center
http://blog.naver.com/hongjig/140004030997 참고
이희상 [DT시론] 웰빙과 정보통신
이상욱 유비쿼터스 혁명 이코북
아라카와 히로키(성호철 번역) 손에 잡히는 유비쿼터스 전자신문사
지경용 유비쿼터스 시대의 보건의료 진한도서
사카무라 켄 유비쿼터스 컴퓨팅 혁명 동방미디어
http://blog.naver.com/xhsja?Redirect=Log&logNo=100022726639 참고
나. 소감
처음엔 유비쿼터스 개념에 대해 전혀 알지 못하고 자료 수집에 임했다. 이후 각종 자료 조사 유비쿼터스에 대해 조금이나마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서 좋은 기회였다. 가장 많이 느낀 부분은 사회가 발전할수록 더욱 학문의 경계는 무너지고, 각자 분야의 전문성이 결합해서 새로운 분야를 창출해 내는 추세가 많이 이뤄지고 있는 것이다. 과학과 문화라는 과목의 개설된 것도 이와 관련되어 말할 수 있다고 본다. 과거에는 한 명의 철학자가 모든 학문에 대해서 연구할 수 있었지만 각각의 전문성이 두드러지면서 그 방대한 양과 학문연구의 어려움으로 분야가 나누어지던 시대가 있었다. 하지만 이제는 앞으로 전문화된 분야가 서로 연계되어야 미래 사회에 살아남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따라서 앞으로는 자신의 영역에서만이 최고라는 우물 안 개구리식의 생각을 버리고 다른 분야와의 연계를 통해서 다른 사람과의 차별성을 두는 자시 개발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 유비쿼터스 문화라는 것이 편리한 미래 생활을 보장해 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인간미 없는 차갑고 무서운 세상을 예고하기도 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처음 이 기술을 받아들이고 사용하는 사람의 올바른 지각에 의해 사용되어야 한다. 그 사람들이 바로 앞으로 사회에 나갈 우리들이라는 생각으로 책임감을 가지고 열심히 학문에 정진하고 현재 발생하고 있는 사회 각 분야 일들에 관심을 갖고 적극적으로 생활해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1.07.1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02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