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Calvin Klein 소개
1. 디자이너 Calvin Klein
2. 연혁
3. Calvin Klein의 로고
Ⅱ. 환경분석 및 전략분석
1. SWOT 분석
2. STP 분석
3. 4P 전략
4. Calvin Klein의 광고
5. Calvin Klein의 성공요인
Ⅲ. 결론
1. 디자이너 Calvin Klein
2. 연혁
3. Calvin Klein의 로고
Ⅱ. 환경분석 및 전략분석
1. SWOT 분석
2. STP 분석
3. 4P 전략
4. Calvin Klein의 광고
5. Calvin Klein의 성공요인
Ⅲ. 결론
본문내용
올리며, 전세계적으로 켈빈 클라인의 이미지를 알리는데 대단한 파급효과를 가져온다.
27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연예프로에서 브룩쉴즈의 이야기가 나올 때는 언제나 빠지지 않고 꼭 한번씩 이 켈빈클라인의 광고카피가 나올 정도 이다.
켈빈클라인의 이러한 광고는 패션 광고의 공식이 되었으며 동성애, 섹스, 매춘 같은 노골적인 소재들을 사용하면서도 정제되어있는, 도발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CK의 만의 브랜드 이미지를 굳힐 수 있게 되었다.
5. Calvin Klein의 성공요인
(1)확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천부적인 재능
켈빈클라인의 성공은 비교적 빨리 찾아왔다. 그의 성공발판에는 그의 천부적인 패션 감각과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섹스어필 광고를 보여줌으로써 확고한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심어준 것에 있다.
(2)빠른 사업 확장
캘빈클라인은 한 사업이 성공할 때마다 다른 사업을 바로 시작하였고 다른 사업을 시작할 때 전 사업에서 얻은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감으로써 빠르게 다양한 사업 군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브룩 쉴즈를 통한 청바지사업의 성공이 1980년이었던 것을 가만하면 언더웨어 시장에 뛰어든 것은 불과 2년 뒤인 1982년이다.
언더웨어 시장에서는 진 시장에서 표현하지 못했던, 더 자극스런 소재, 더 자극적인 광고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였다. 켈빈클라인은 특이하게 먼저 남성 언더웨어를 출시 했는데, 타 제품보다 고가에 판매되었지만 대 성공을 거둔다. 이 성공에서 켈빈클라인만의 천부적인 마케팅 능력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다. 남성 언더웨어의 광고에서 근육과 섹시함을 한껏 발휘한 것을 선보였다. 특히 버스 대합실에 붙어 있는 포스터들은 붙여놓기가 무섭게 사람들이 훔쳐가는 기 현상을 빚기도 했는데, 이는 캘빈클라인의 인기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남성용에 이어 여성용도 출시되었는데 이러한 켈빈클라인의 전략은 켈빈클라인이 거둔 성공의 정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문화를 주도한 캘빈클라인
켈빈클라인의 성공에는 그 나라의 문화를 선도한데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실제로 켈빈클라인의 언더웨어는 미국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특히 그녀의 딸인 마시 클라인은 “남자와 잘 때마다 그 남자의 팬티에 새겨진 아빠의 이름을 봐야 한다” 고 불평할 정도였다. 이처럼 캘빈클라인의 언더웨어는 수많은 청춘남녀의 ‘유니폼’이 되어 판매의 수직상승을 가능하게 했는데, 1985년에는 마이클 J. 폭스 주연의에 소개되면서 이윽고 소비자들에게는 잊혀지지 않는 하나의 기호로 자리 잡았다. 실제로 지금은 누구도 미국의 ‘문화가 보수적이다’ 라고 이야기 하지 않는다. 개방적인 사회의 대표적인 예가 되어버린 미국의 문화가 1980년대 까지만 하여도 보수적인 문화였다. 성적인 개방, 성적 표현의 자유를 켈빈클라인은 미리 예측한 것이다. 이러한 문화변화를 예측하고 그 문화개방에 가장 앞장서서 패션계의 최전선에 있는 것이 캘빈클라인인 것이다.
Ⅲ. 결론
1980년대 캘빈클라인의 섹스어필광고는 그 당시 보수적이었던 미국사회에 커다란 센세이션을 가져다 준다. 금기시 되었던 동성애, 매춘 10대들의 성이라는 소구를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급스럽다. 망측하다의 평가가 아닌 고급스럽고 간결한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심어주었다. 당시 억눌려있던 성적불만이 캘빈클라인의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은 일종의 해소감을 얻고 대리만족을 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캘빈클라인은 새로운 문화를 주도해 나갔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현재 캘빈클라인이 직면한 문제는 다음 문화를 어떻게 예측하고 주도하느냐이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캘빈클라인 이후 성적소구를 사용하여 섹스어필 광고를 하였고, 지금은 성적소구가 그저 흔한 소구가 되었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어떻게 시장을 선도하고 주도권을 잡느냐는 소비자의 감춰진 욕구가 어디에 있느냐에 있는 것이다.
캘빈클라인의 두 번째 문제는 섹스어필 마케팅의 한계에 있다. 캘빈클라인은 성적소구가 통용되는 범위 내에서 발빠른 사업확장을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성적소구가 통용되지 않는 나라, 지역내에서의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만 하더라도 캘빈클라인의 광고는 TV, 라디오를 통해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한국보다 더욱 보수적인 나라는 캘빈클라인의 사업 전개 자체를 통제할 것이다. 이에 다른 전통성을 무기로 내세운 기업들과 비교하여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
27년이 지난 아직까지도 연예프로에서 브룩쉴즈의 이야기가 나올 때는 언제나 빠지지 않고 꼭 한번씩 이 켈빈클라인의 광고카피가 나올 정도 이다.
켈빈클라인의 이러한 광고는 패션 광고의 공식이 되었으며 동성애, 섹스, 매춘 같은 노골적인 소재들을 사용하면서도 정제되어있는, 도발적이면서도 고급스러운 CK의 만의 브랜드 이미지를 굳힐 수 있게 되었다.
5. Calvin Klein의 성공요인
(1)확고한 브랜드 아이덴티티, 천부적인 재능
켈빈클라인의 성공은 비교적 빨리 찾아왔다. 그의 성공발판에는 그의 천부적인 패션 감각과 고객에게 지속적으로 섹스어필 광고를 보여줌으로써 확고한 브랜드아이덴티티를 심어준 것에 있다.
(2)빠른 사업 확장
캘빈클라인은 한 사업이 성공할 때마다 다른 사업을 바로 시작하였고 다른 사업을 시작할 때 전 사업에서 얻은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충성도, 브랜드 이미지를 그대로 가져감으로써 빠르게 다양한 사업 군에서 성공을 거두었다. 브룩 쉴즈를 통한 청바지사업의 성공이 1980년이었던 것을 가만하면 언더웨어 시장에 뛰어든 것은 불과 2년 뒤인 1982년이다.
언더웨어 시장에서는 진 시장에서 표현하지 못했던, 더 자극스런 소재, 더 자극적인 광고를 통하여 소비자들에게 어필하였다. 켈빈클라인은 특이하게 먼저 남성 언더웨어를 출시 했는데, 타 제품보다 고가에 판매되었지만 대 성공을 거둔다. 이 성공에서 켈빈클라인만의 천부적인 마케팅 능력을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다. 남성 언더웨어의 광고에서 근육과 섹시함을 한껏 발휘한 것을 선보였다. 특히 버스 대합실에 붙어 있는 포스터들은 붙여놓기가 무섭게 사람들이 훔쳐가는 기 현상을 빚기도 했는데, 이는 캘빈클라인의 인기를 반영한 결과로 보인다. 그리고 남성용에 이어 여성용도 출시되었는데 이러한 켈빈클라인의 전략은 켈빈클라인이 거둔 성공의 정점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3)문화를 주도한 캘빈클라인
켈빈클라인의 성공에는 그 나라의 문화를 선도한데에서 찾아 볼 수가 있다. 실제로 켈빈클라인의 언더웨어는 미국 문화의 일부가 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특히 그녀의 딸인 마시 클라인은 “남자와 잘 때마다 그 남자의 팬티에 새겨진 아빠의 이름을 봐야 한다” 고 불평할 정도였다. 이처럼 캘빈클라인의 언더웨어는 수많은 청춘남녀의 ‘유니폼’이 되어 판매의 수직상승을 가능하게 했는데, 1985년에는 마이클 J. 폭스 주연의
Ⅲ. 결론
1980년대 캘빈클라인의 섹스어필광고는 그 당시 보수적이었던 미국사회에 커다란 센세이션을 가져다 준다. 금기시 되었던 동성애, 매춘 10대들의 성이라는 소구를 이용하여 마케팅 전략을 사용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저급스럽다. 망측하다의 평가가 아닌 고급스럽고 간결한 이미지를 소비자들에게 심어주었다. 당시 억눌려있던 성적불만이 캘빈클라인의 광고를 통해 소비자들은 일종의 해소감을 얻고 대리만족을 할 수 있었다는 것에서 캘빈클라인은 새로운 문화를 주도해 나갔다고 표현할 수 있겠다.
현재 캘빈클라인이 직면한 문제는 다음 문화를 어떻게 예측하고 주도하느냐이다. 최근 많은 기업들이 캘빈클라인 이후 성적소구를 사용하여 섹스어필 광고를 하였고, 지금은 성적소구가 그저 흔한 소구가 되었다는 것에 문제가 있다. 어떻게 시장을 선도하고 주도권을 잡느냐는 소비자의 감춰진 욕구가 어디에 있느냐에 있는 것이다.
캘빈클라인의 두 번째 문제는 섹스어필 마케팅의 한계에 있다. 캘빈클라인은 성적소구가 통용되는 범위 내에서 발빠른 사업확장을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성적소구가 통용되지 않는 나라, 지역내에서의 한계가 존재한다. 실제로 우리나라의 경우만 하더라도 캘빈클라인의 광고는 TV, 라디오를 통해서는 전달되지 않는다. 한국보다 더욱 보수적인 나라는 캘빈클라인의 사업 전개 자체를 통제할 것이다. 이에 다른 전통성을 무기로 내세운 기업들과 비교하여 상당한 제약이 따르는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