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서울 데코마스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제정배경

☺ 선정 과정

☺ 선정 과정

☺ 브랜드 그래픽의 형태와 색상

☺ 브랜드 지향 이미지

☺ ‘Hi Seoul’ 커뮤니케이션 전략

☺ Hi Seoul 페스티벌

본문내용

련하고 정비토록 지원했다. 그리고 영문 시티 매거진을 발간하여 특정 타겟에 대한 집중 마케팅 전략을 가미하고자 했다.
서울 이미지 컨텐츠를 고급화하기 위하여 홍보영상물을 제작하고 영상매체 협력을 강화하였다. 그리고 방화 및 해외영화, 해외방송 촬영지원을 통한 서울의 PPL 전략(Product Placement)을 추진했다. 그 외 서울홍보관 및 홍보사절을 통한 직접 홍보, 전자사보, 홍보간행물 등 홍보물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효과적인 시정광고를 시행하고자 했으며 홍보 대상별로 특화하여 어린이, 시각장애인에게도 관심을 가졌다.
Hi Seoul 페스티벌
‘Hi Seoul 페스티벌’은 청소년과 시민들이 주체가 되어 직접 참여하고 함께 만들어 나가는 ‘Hi Seoul 페스티벌’을 국제적인 서울축제로 발전시켜 서울의 대표브랜드로 육성하고자 기획된 지역축제이다.
매년 다른 주제로 신선함을 주고 있고 시민들이 직접 참여한다는 점에서 시민들의 공감대를 형성 및 통합하고, 국내외 기존 축제와 비교하여 독창적이고 차별화된 축제를 개발하고자 하며, 자율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시민 및 민간단체 주도로 운영하고자 한다. 그리고 기존 지역별, 유형별 자발적인 축제를 네트워크하여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고자 했으며 도시마케팅 차원에서 서울을 대표하는 국제축제로 육성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특히 국제적이면서도 시민의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전통적인 이벤트와 외국인참여 이벤트를 포함하면서 차별화된 IMC(Integrated Marketing Communication) 전략을 시행하고 있는 점이 특이할 사항이다.
감사합니다.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1.07.22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0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