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특론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파슨스의 환자역할

(1) 환자역할의 기본개념
(2) 환자역할의 주요 기능
(3) 환자역할 개념에 대한 비판

2. 임상에서 관찰한 환자역할 적용(파슨스의 환자역할)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 연령
M/71
F/48
직업
전직 개인화사 회장
전직 식당 종업원
가족관계
본인, 배우자, 딸 2
본인, 배우자(이혼), 1남
진단명
DM
Quadriplegia






- 가정 내에서 남편 및 아버지로서의 가장역할 면제
- 적정수준의 혈당관리를 위하여 전문 의료인의 치료가 필요함
- 가정 내에서 어머니 및 가장의 책임을 안고 있던 일의 면제
-SAH 발생은 환자의 책임이 아니다.
- 지속적인 인지. 언어. 운동 등의 전문 재활치료를 받아야 한다.


- 의료기관을 찾음 (본인의 의지로 어쩔 수 없는 상태가 돼서야 보호자의 권유로 인해 의료기관을 찾게됨)
- 혈당 검사 및 인슐린 투약에 협조하여야 함.
- 검사 및 투약에 비협조로 인한 부작용 및 이상시 환자가 책임져야 함.
- 의료기관을 찾음 (응급상황)
- 지속적 재활치료를 위하여 적극적 협조함.
- 의료진과의 원할한 관계 유지함.
Ⅲ. 결론
파슨스의 환자역할을 적용하여 실제 임상에서 관찰하여 보았다.
중산층의 환자의 경우 경제적 여건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본인 개인만의 고집으로 질병에 관하여 소홀히 하고 의료진과의 비협조적 관계로 인하여 결국 합병증으로 인해 한쪽 다리를 절단하였으나 그 이후에도 크게 변화된 것 없이 치료에 비협조적이며 타 병원에서도 치료 거부로 인하여 강제 퇴원 되었으며 현제 입원중이 OO 대학병원에서도 치료에 대하여 부정적이며 비협조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음. 보호자 (처) 의 설득으로 매 시간마다의 혈당 검사와 인슐린 투약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본인의 의지가 매우 부족한 상태이다. 반면 갑작스런 상황에서 질병을 알게 된 빈곤층 환자의 경우 배우자와의 불화로 이혼 상태에서 가장역할을 하게 되면서 생활고에 시달렸으며 생계유지를 위하여 야간 식당에서 일을 하던 중 간질발작을 일으키며 쓰러져 치료를 받게 되었으며 동생을 위하여 친 언니가 직접 간병을 하며 조금 더 나은 상태가 되길 바라며 의료진과의 적극적 참여로 재활치료에 협조하고 있다.
당뇨병을 가진 중산층의 환자와 사지마비를 가진 빈곤층의 환자 건강질병과정을 살펴본 결과 사지마비를 가진 빈곤층의 환자가 건강질병과정에서 건강과 관련된 궁극적인 건강상태판정자는 의료인이었으며 여기에 일차관계의 의뢰체계인 가족의 건강질병과정이 치료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미쳤다.
최근 환자역할 개념에 대한 비판이 있지만 의료사회학적 측면에서 유용한 개념인 것은 분명하다. 파슨스는 질병이 일탈의 한 형태로서 환자가 정상적인 사회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해 줄 필요성이 있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파슨스는 의료를 일탈을 조정하고 사회 안정을 유지하는 한 기전으로 본다.
파슨스의 모형은 유용하고 활용가치가 높다. 비록 이 이론이 모든 질병행위에 대해 충분히 설명해 주지 못하지만 많은 일반적인 유사성을 제시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 .김영임.박은옥 공저 『간호학 특론』 , 한국방송통신대학 출판부 2003
* 안홍순 저, 『사회복지정책』, 서현사, 2006
* 앤서니 기든스 저『현대사회학』, 을유문화사 2007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1.07.24
  • 저작시기2010.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1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