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무차별 곡선과 등량선의 비교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 1절. 서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
제 2절. 무차별곡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

1. 무차별곡선의 개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1

2. 무차별곡선의 성질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2

3. 여러 가지 형태의 무차별 곡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4
제 3절. 등량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

1. 등량선의 개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

2. 등량선의 성질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6

3. 여러 가지 형태의 등량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7
제 4절. 결론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8
※ 참고문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
9

본문내용

생산량이 동일하다는 모순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③ 우하향하는 형태를 띤다.
등량선상의 모든 점에서는 산출량의 수준이 동일하므로 만일 한 생산요소의
투입량을 늘리면 다른 생산요소의 투입량은 줄여야만 동일한 수준의 산출량을
생산해 낼 수 있기 때문이다.
④ 등량선은 원점에 대하여 볼록하다.
한계기술 대체율이 체감하기 때문이다.
(2) 한계기술 대체율
노동과 자본 간의 한계기술 대체율(Marginal Rate of Technical Substitution
: MRTS)이란 동일한 생산수준을 유지하면서 노동을 추가로 한 단위 더 고용
할 때 포기하여야 하는 자본량을 말한다.
* 한계기술 대체율(MRTS)
ⅰ. 등량선의 어느 한 점에서 접선을 그었을 때
K

L
그 접선의 기울기는 절대값과 같다.
⇒ 등량선의 기울기 = = MRTSKL
K

L
⇒ l -KㆍMPK l = l -LㆍMPL l
ⅱ. 등량선의 기울기 는 두 생산요소의 한계
K

L
MPL

MPK
산출물의 비율과 같다.
등량선의 기울기 = - = = MRTSKL
(3) 한계기술 대체율 체감의 법칙
주어진 등량선의 선상을 따라서 오른편으로 이동할수록 노동 L 한 단위를
추가로 더 고용하기 위해서 포기해야 하는 자본 L의 양은 감소하게 된다.
3. 여러 가지 형태의 등량선
(1) 한계기술 대체율에 따른 등량선
한계기술 대체율이 체감하는 경우
한계기술 대체율이 체증하는 경우
(2) 생산요소의 대체성
두 생산요소의 대체가 완전한 경우
두 생산요소의 대체가 불가능한 경우
(3) 한 생산요소의 한계 생산력이 (-)인 경우
노동의 한계생산력이 (-)인 경우
자본의 한계생산력이 (-)인 경우
제 4절 결론
무차별곡선과 등량선을 비교한 결과, 소비자의 수요 이론을 나타내는 무차별 곡선은 일정한 효용을 얻기 위해 필요한 두 가지 재화 X, Y의 조합을 그래프로 도식화하였고, 생산자 입장에서 재화의 기술적 효율을 표현하는 등량선은 어떤 재화 일정량을 생산하기 위해 필요한 자본과 노동의 조합을 그래프로 도식화한 것이다.
무차별곡선의 접선 기울기는 한계대체율이라 하고 X재가 증가할수록 점점 체감하는 형태를 나타나게 된다. 이 무차별곡선에서 소비자의 예산선과 접하는 점이 소비자의 최적 소비 형태를 나타낸다.
등량선은 X재를 생산하기 위해 자본과 노동을 어떤 식으로 조합할지 배합비율을 보여주는데, 등량선의 접선의 기울기를 한계기술 대체율이라 하고 무차별곡선과는 달리 체감하는 형태로 나타난다. 이 등량선과 생산자의 비용함수와 접하는 점에서 생산자의 기술적 효율뿐만이 아니라 경제적인 효율이 극대화된다.
또 무차별곡선은 서수로만 표현되어 효용을 나타내고, 등량선은 기수의 형태로 실질적인 양을 나타낸다. 즉, 무차별곡선의 경우에는 효용의 불가측성으로 인하여 그의 물리적 측정이 불가능하나 등량선의 경우 동질적인 생산물의 산출량은 그 곡선 위에 물리적 단위로 아무 곤란 없이 측정ㆍ표시할 수 있다. 그리하여 등량선지도상의 여러 가지 점에 대응하는 물리적 산출량의 크기를 확정적인 숫자로 비교할 수 있다.
두 곡선의 공통점은 첫째, 무차별곡선과 등량선은 우하향의 형태를 취한다. 둘째, 무차별곡선과 등량선은 원점에 대하여 볼록하다. 무차별곡선과 등량선 둘 다 한 계대체율체감의 법칙이 적용되어 어떤 생산요소에 대해서 이를 다른 생산요소로 표시한 한계중요성이 이 곡선을 따라서 항상 감소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셋째, 무차별곡선과 등량선은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 참고 문헌 ◆
- 참고 문헌 -
김경환, 김종석, <맨큐의 경제학>, 4판, 교보문고, 2007
남덕우, <경제학대사전>, 3판, 박영사, 1999
박원규, 강정모, 이상규 <미시경제학>, 5판, 2003
정영섭, <간추린 경제학 초보>, 건국대학교 출판부, 2004
정창영, <경제학 원론>, 2판, 법문사, 2003
- 참고 논문 -
박지훈, <경제학: 무차별곡선이론>, 회경사, 월간회계, 1994년 7월호, 1994. 7
조태영,<재정학>, 회경사, 월간회계 2005년 8월호, 2005. 8
- 자료 조사 관련 사이트 -
구글 http://www.google.co.kr/
네이버 http://www.naver.com/
브래태니커 온라인 http://premium.britannica.co.kr/
DBpia(학술 논문 검색 사이트) http://www.dbpia.com/
KISS(학술 논문 검색 사이트) http://search.koreanstudies.net/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7.27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3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