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지역 윤활유 시장에서의 마케팅 믹스 전략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1.국내 석유산업의 현황
2.아시아의 석유시장 동향


본론

1.구체적 시장환경
-일본
-한국
2.각 회사별 제품
3.s-oil의 시장환경과 현황
4.s-oil의 마케팅믹스전략
5.s-oil 의 향후전략


결론

아시아 석유시장의 방향

본문내용

창출과 직결되어 있음
▲ 제휴카드와 보너스 카드를 활용한 카드 마케팅
SK엔크린 보너스 카드, 엘지정유 보너스 카드등
▲ 인터넷 홈페이지 내 고객코너를 바탕으로 실시간 대화 및 불평불편 사항 접수, 신속한 처리
▲ 불특정 다수가 아닌 타겟을 대상으로 다양한 채널을 통한 고객관리
(080클로버 서비스, 지역별 고객상담센터 운영 등)
▲ 기존의 상품 직접 광고에서 문화스포츠 행사를 통한 간접적 브랜드이미지 제고
경쟁사의 D/B 마케팅(SK)
▲ 방대한 DB 및 정보기술 인프라로 주유소의 물류네트워크화 추진
기존의 1천 5백만 회원(엔크린 800만, 011 700만) + 017가입자 + 이마트회원등
총 2천만명의 고객 자료 확보
D/B를 기초로 인터넷을 통한 정보제공과 전자상거래 시도 준비중
고객의 라이프 스타일에 따른 D/B 분석은 마친 상태
사이버 LMC(Local Multimedia Center) 추진
사이버 상에서 지역정보와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지역 정보 센터
운전자를 위한 종합 서비스를 새로운 부가서비스로 준비
일반고객의 소비패턴자료를 지역별 정보와 연계, 주유소의 지역경제 중심
▶ 정유사 보너스 카드 현황 ◀
구 분
SK
(엔크린 보너스카드)
LG
(LG정유 보너스카드)
현대
(오일뱅크 보너스카드)
S-Oil
개 요
도입 시기
’97. 3월
’98. 7월
’99. 9월
04.7월
가맹주유소
약 3,100개소
약 2,300개소
약 2,100개소
약 1,660개소
가입회원수
약 800만명
약 450만명
약 170만명
통계자료 없음
적용대상
현금 / 신용카드
현금 / 신용카드
현금 / 신용카드
현금/ 신용카드
포 인 트
적립/사용
포인트적립
천원당 5점
천원당 1점(K/D 2점)
천원당 5점
천원당 5점
포인트사용
5천점이상시 사은품
지급또는 SK주유소
및 Cashbag가맹점
에서 물품구입
5만점이상시 현금
처럼 사용가능
750점 이상시
사은품제공(연2회)
5천점 이상시
사은품신청
(홀수월1~20
일,주유소)
가입 축하 포인트 , 기념일 더블 포인트 특별 포인트가 제공
1000만원 보상 휴일교통상해보험 무료 가입, 차량무상점검, 제휴가맹점 할인
5. S-Oil의 향후 전략
S-Oil은 과거에는 Product 및 Price 부문에서는 경쟁정유업체보다 강점을 보였던게 사실이다. 그러나 그때나 지금이나 Promotion 및 place 부문은 열세로 남아있다.
S-Oil은 이러한 자사의 단점을 알면서도 이부문 보완보다는 가격과 제품을 더욱 특화시키는 정책을 펴왔다. 결국 S-OIL은 시장의 변화에 능동적이고 유연하게 대처하지 못하고 시장의 가격주도권을 경쟁사에게 내주고 말았던 것이다.
S-Oil은 지금이라도 직영주유소의 비율을 높여야 한다. 또한 SK 및 LG는 대체 에너지 사업진출을 가속화 하면서 종합 에너지 회사로의 진출을 확대해 가고 있다. 그러나 S-Oil은 정유정제업 외에 특별히 진출하는 사업이 없다. 기업의 생존전략을 위해서는 사업을 다각화 하는 방향도 생각해야 할 것이다.
주유소에서 다룰 수 있는 모든 유외사업이 실제로 도입되고 있고, 이러한 상황은 더욱더 늘어날 것이다. 편의점, 자동세차장, 경정비점이 이러한 좋은 본보기이고 최근에는 주유소에서 은행일을 볼 수도 있고, 세탁점 및 전문커피점등이 접목되어 지고 있는 추세이다. 자기 계열 주유소 경쟁력 강화를 위하여 이러한 부문이 마케팅 정책에 집중 반영되어야 하며 Promotion에 대한 기본적인 시각도 전환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S-Oil은 타업종과의 제휴를 통해 끝없이 경쟁력을 강화해 나가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브랜드 파워가 최대 약점인 S-OIL입장에서 그들의 브랜드 파워를 높이는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기도 하다.
결론
아시아 석유시장의 방향
아시아경기 회복으로 경제마진 확대 예상
원유가격은 석유감산조치가 만료되는 2000년 4월 이후에 원유공급량이 증가하면서 안정세로 돌아설 전망이다. 현재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23 달러인 유가는 연평균으로는 19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고유가 에도 불구하고 경기회복으로 국내 석유제품 수요는 GDP 성장률을 약간 웃도는 6.5%의 증가율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용과 발전용 수요의 증가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아시아지역의 경기 회복으로 석유제품수요가 회복되면서 국제정제마진도 회복국면에 진입할 전망이다. 국제정제마진의 회복은 국내정제마진에도 영향을 미쳐 정유업계의 수익성을 개선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다. 업종특성상 차입금과 외화부채가 많은데 저금리 기조와 원화강세로 영업외적인 면에서도 호조건이다. 업체간 경쟁은 부분적인 수준에 머물고 있어 정유업체에 대한 투자의견은 ‘비중확대’이다.
정유업 향후 2∼3년간 장기 호황 국면 진행 전망 향후 아시아 석유제품 수급은 불안정한 모습을 보이며, 가격 강세와 함께 국제 정제 마진이 상승세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중국의 고성장에 따른 석유 수요 확 대와 이에 따른 정유능력 부족으로 아시아 시장에서 석유제품 수입이 크게 확대될 것이며, 이로 인해 국제 정제마진이 강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2003년 중국 정유능력은 5.60백만b/d, 석유수요는 5.63b/d로 과거 생산능력 잉여에 서 균형상태로 진입하였으며, 향후 2005년 중국의 정유능력은 연평균 5.9% 신장되어 6.26백만b/d에 달하나, 수요는 연평균 7.0%(GDP 탄성치 0.9) 신장하여 6.44백만b/d 에 달해 정유능력 과부족이 전망된다.
또한 WTO 가입으로 2004년 말 이후 중국의 석유시장 개방이 불가피해져 상대적으로 제품 경쟁력이 높은 여타 아시아 지역의 석유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커져 중국 내 정 유업체의 경쟁력 상실과 함께 아시아 지역 석유제품 수입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내수 정제마진 또한 호조가 예상된다. 이는 1) 국제 마진 상승으로 수출물량이 확대 되어 내수 물량 조절을 통한 내수 마진의 증대가 예상되며, 2) 가동률 조절 등 수익 성 위주 경영 정책의 지속으로 국내 정유사간의 완화된 경쟁구도 지속, 3) 정부의 석유 제품 유통시장 규제 강화 추세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 가격3,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11.07.30
  • 저작시기2011.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16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