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지배소란 무엇인가?
파불라, 수제트- 파불라는 이야기 그자체 , 왕이 왕비를 찾아나서다
야콥슨의 \'의미심장\'한 여로
러시아 형식주의
- 스크로브스키, 무카로브스키, 야콥슨
- 바흐친 학파
파불라, 수제트- 파불라는 이야기 그자체 , 왕이 왕비를 찾아나서다
야콥슨의 \'의미심장\'한 여로
러시아 형식주의
- 스크로브스키, 무카로브스키, 야콥슨
- 바흐친 학파
본문내용
언어와 노동자 언어는 별개의 것이다.-마르크스, 노동자 언어는 사장의 권위를 깎아 내린다.-바흐친)에 대하여 이러한 역동적 언어관의 함축된 의미를 발전시킨 사람은 미하일 바흐친이다. 바흐친은 텍스트가 사회나 계급의 이익을 반영하는 방식이 아니라 오히려 언어가 권위를 해체하고 대안적 목소리들을 해방시키도록 만드는 방식에 주목하였다.(계층에 따라 소설이 다르다. 예를 들어 귀족은 단일한 의미의 권위적이고 공무원 주류의 서사시를, 민중은 소설은 지향했는데 서사시는 대체적으로 표준어를 사용하며 이는 공식적 세계에만이 존재하는 것인데 반면 소설은 방언을 이용하여 비 권위적인 특성을 지니며 표준어를 해체하는 역할을 하였다. 소설은 공식적 언어를 해체 하는 동시에 그 속의 권위 또한 해체하려 한 것이다. 판소리계 소설에서는 공식적 세계관과 비공식적 세계관이 동시에 공존하고 있는데 전자는 충, 효, 정절을 강조하며 유교 지배자들의 통치 이념을 반영하는 동시에 후자는 그것을 사랑과 우롱, 인간의 욕망을 통하여 평민들의 방언을 통한 권위에 대한 강력한 도전 의식을 표출한다.) 다양한 등장인물들의 의식은 작가의 의식에 병합되지도 않고 작가의 견해에 종속되지도 않는다. 등장인물들은 완전성과 독립성을 보유하고 있고 '작가가 설정한 어휘의 대상물일 뿐만 아니라 또한 그들 자신들의 직접적으로 의미 있는 어휘의 주체들'이기도 하다. 바흐친의 '카니발'에 관한 논의는 특정 텍스트와 문학 장르사에 모두 중요하게 적용되고 있다. ①카니발과 연계되는 축제들은 집단적이고 민족적이다 .②위계질서가 바뀌고 (바보가 현자가 되고 왕이 거지가 된다.-지배자, 바보현상의 가면을 쓴다.) 반대의 것들(사실과 환상, 천국과 지옥)이 섞이고 성스러운 것은 더렵혀진다. 그리고 모든 사물들의 '즐거운 상대성'이 선포되었다. 권위적이고 엄격하며 심각한 모든 것이 전복되고 이완되고 조롱을 받는다. 본질적으로 이러한 대중적이고도 해방주의적인 사회현상은 다양한 시대의 문학을 형성하는 영향력을 지니지만 특히 이 현상은 르네상스 시대에 지배적이었다. 바흐친은 다성적 소설을 '특권화'하는 데 있어서 바르트와 유사하다. 이 두 비평가들은 권위나 整合性보다는 자유와 즐거움을 선호한다. 그러나 최근의 비평가들 중에는 이것을 다성적(한 가지 목소리 보다 여러 가지 목소리로)이면서 또한 다른 유형의 '다원적' 텍스트에 비해 이상한 것이 아니라 표준적인 것으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
추천자료
삼성전자의 조직구조론
문화의 비교사회론 시험문제
권력과 갈등-조직관리론
단테의 제정론
방송통신대학교 행정학과 공공관리론 (4학년 1학기)
베이컨의 우상론에 대하여
관리과학에서 신공공관리론까지의 행정발전과정 - 행정의 변천과 흐름
[비교행정론 B형] 의원내각제인 영국과 대통령중심제인 미국의 행정체제를 비교∙설...
단테의 제정론
Vygotsky의 사회역사적 인지발달론 (비고츠키)
[비교행정론 C형] 미국(US)의 행정체제의 특징을 설명 - 미국의 행정체제, 미국과 영국의 행...
푸코의 훈육론에 대해서
방통대 한국정부론 작은 정부와 큰 정부 바람직한 규모와 역할
(행정조직론 공통) 체제이론을 설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하여 상황이론의 본질을 논의해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