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중심 신제품개발] 신제품개발 과정과 전략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고객중심 신제품개발

Ⅰ. 신제품개발, 왜 중요한가?

Ⅱ. 신제품개발 과정

Ⅲ. 엔지니어 중심 신제품개발 전략의 문제점

Ⅳ. 고객중심 신제품개발 전략: 아웃사이드 인 전략

본문내용

모두 남자들이기 때문에 제품에
대한 고객의 불평, 불만을 이해하지 못한다는 것이었다.
이처 림 LG전자의 한국형 원터치형 전자레인지는 제품을 설계 개발하는 엔
지니어들의 실제 사용경험에서 개발되었다. 구체적으로 엔지니어들은 자신
들의 사용경험을 통해 전자레인지로 주로 만드는 음식이 뚝배기형 한국음
식, 즉 된장찌개 등 찌개류와 매운탕이라는 것을 파악하여, 이와 같은 음식이
최고의 맛을 내기 위한 조리시간 및 온도 등을 한번에 저장하여 작동케 함으
로써 과거처럼 시간 따로 온도 따로 조정해야 하는 불편을 없했다. 또한 뚝배
기 음식의 맛을 내기 위해서는 섭씨 300도 이상의 고온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아내어 기존 미국식 전자레인지의 최고 가열온도 230도를 이중 복사파를
이용하여 300도까지 높여 주었다.
또한 최근의 사례로는 한경희 스팀청소기를 들 수 있다. 2005년 홈쇼핑 최
고 히트상품으로 등장한 한경희 스팀청소기는 물걸레질이란 주부들의 고민
을 해결해 주면서 진드기와 곰팡이 등 세균까지 제거해 줌으로써 폭발적인
수요를 일으켰다. 이 스팀청소기를 개발한 주부 사업가 한경희 대표는 옷을
깔끔하게 다려주는 스팀다리미를 보고 스팀다리미에 대걸레봉을 달면 힘든 걸
레질이 편리하게 되겠다는 아이디어가 떠올랐다. 이 아이디어를 제품화하여 디
자인을 업그레이드하여 홈쇼핑을 통해 방영하니 날개돋친 듯 팔리기 시작했다.
그 동안 불편하고 힘들었던 물걸레질을 보다 편하게 해주고, 진드기, 곰팡이 등
세균까지 살균할 수 있는 기능을 청소기 에 추가하니 스팀청소기 에 대한 주부들
의 호응이 대단했던 것이다. 이처럼 스팀청소기 신 제품은 편리하면서도 위생적
으로 청소를 마무리하고 싶어하는 주부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줌으로써 성공할
수 있었다.
이 사례들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고객중심의 신제품개발 전략에서는 고객
의 관점에서 제품에 대한 불평, 불만을 해소하고 고객의 원하는 욕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제품 디자인을 먼저 개발하고, 다음으로 이러한 디자인을 구체
적인 제품형태로 가능하게 하는 소재 및 기술을 개발한다. 최근의 기술개발
동향을 보면 대부분의 제품기술의 경우 성숙기에 도달하여 과거와 같은 획기
적인 발명이 제품개발을 주도하기보다는 기존제품의 개선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제품의 개선 및 개량에는 현재 제품을 사용하고 있는 고
객으로부터 신제품개발의 아이디어를 구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다.
고객이 원하는 욕구를 찾아내어 이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과 엔지니어나 과학자들이 제품중심적인 사고로 신제품을 개발하는 것 중
어느 것이 시장에서 성공할지는 자명한 사실이다. 고객중심 사고로 신제품개
발에 접근하는 것이 제품 또는 기술 위주의 사고로 접근하는 것보다 훨씬 성
공적인 결과를 가져온다는 것을 위의 사례들이 말해주고 있다.
이러한 고객중심의 신제품개발 전략인 아웃사이드 인 전략이 보다 구체화
된 것이 프로슈머(Prosumer) 마케팅이다. 프로슈머는 생산자(Producer)와
소비자(Consumer)를 합성한 말로 제품개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소비자
를 뜻한다. 따라서 프로슈머 마케팅이란 고객 의 견을 상품 기획이나 마케팅에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고객참여 마케팅을 의미한다. 휴대폰 시장에서 인기를 모
으고 있는 LG전자의 초콜릿폰도 이러한 고객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제품개발에
반영하여 성공한 신제품이다. 이 휴대폰은 LG전자의 프로슈머 모임인 '싸이언
프로슈머' 가 보안과 기술이 중요시되고 전문 연구원 영역으로만 여겨졌던 휴대
폰의 제품개발 과정에 참여하여 좋은 아이디어를 제시하여 성공한 제품이다.
감성을 강조한 심플한 디자인과 버튼을 대신하는 새로운 터치 센스 방식 등
이 모두 싸이언 프로슈머 모임에서 나온 아이디어가 반영된 결과이다.
이처럼 기업에서 성공적인 신제품개발 전략으로 고객중심의 아웃사이드
인 전략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품개발 관리자의 사고가 고객중심 사고
로 바뀌어져야 한다. 경영자는 과학자 또는 엔지니어들의 기술중심적 아이디
어에만 신제품개발을 의존하고 있었던 지금까지의 사고에서 벗어나서 고객
의 신제품에 대한 욕구가 무엇인지, 기존제품에 대한 불만, 불평이 무엇인지
를 찾아 이것을 해결하려는 것에서 신제품개발의 원천을 찾아야 한다. 따라
서 고객지향적 기업에서는 정기적으로 소비자 조사를 실시하거나 고객으로
부터 기존제품에 대한 불평, 불만을 들을 수 있는 고객제안제도를 실시하는
등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기울여야 한다.
  • 가격2,5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1.08.04
  • 저작시기2011.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929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