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세계화
1-2. 제3세계의 현실
2. 본론
2-1. 세계화가 제3세계에 미친 영향
-사회갈등유발
-범죄다량발생
2-2. 국제사회의 지원
-우리나라의 지원 사례
-다른나라의 지원 사례
2-3. 세계화의 올바른 길
-인도적 지원의 효율화
-원조보다는 개혁이 먼저
-인프라 정비
3. 결론
3-1. 상호간의 세계화 추구
4. 영상자료
5. 참고문헌
1-1. 세계화
1-2. 제3세계의 현실
2. 본론
2-1. 세계화가 제3세계에 미친 영향
-사회갈등유발
-범죄다량발생
2-2. 국제사회의 지원
-우리나라의 지원 사례
-다른나라의 지원 사례
2-3. 세계화의 올바른 길
-인도적 지원의 효율화
-원조보다는 개혁이 먼저
-인프라 정비
3. 결론
3-1. 상호간의 세계화 추구
4. 영상자료
5. 참고문헌
본문내용
위해 여러 노력을 펼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지원 사례
①미국
미국평화봉사단 (PEACE CORPS) John F. 케네디 대통령은 취임연설에서 “국가가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를 묻지 말고, 여러분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자문해 보라.” 라는 유명한 말을 했다. 이와 같은 정신에서 그는 평화봉사단을 창설하였고 지금까지 세계 각지에 훈련받은 사람들을 파견하여 세계평화와 상호 이해증진을 위한 봉사활동을 펴오고 있다.
②아일랜드
Glencree Centre for Reconciliation 지구의 평화를 위해서 일하는 단체이다.
③아프리카
Humana People to People (HPP)자원봉사자를 미국, 영국, 노르웨이, 덴마크, 인도, 중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4-6개월간 교육을 받게하고, 그후에 아프리카, 아시아 혹은 중앙아메리카에서 6개월간 자원봉사를 하는 조직체이다.
이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많은 기구들을 설립해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2-3. 세계화의 올바른 길
-인도적 지원의 효율화
우선적인 과제는 인도적인 구호조처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의 약자. 국제 연합 식량 농업기구.
는 당면한 긴급구호를 위해 비상식량을 비축하고 있다. 이 식량을 배급하고 관리하는 것은 WFPWorld Food Program 의 약자. 세계 식량 계획
담당이다. 그러나 담당자들은 도움을 줄 나라의 사회구조가 어떤지 거의 묻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런 도움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가 부실하고 부패한 나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방식으로 기득권 세력을 강화하고, 부당한 사회구조를 고착시키고, 가난한 사람들을 비참함과 수백 년간에 걸친 약탈에 방치해두게 되는 것이다. 원조식량뿐만 아니라 국제단체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개발지원금도 마찬가지다.
-원조보다는 개혁이 먼저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하여 그들에게 농사 짓을 수 있도록 사회적인 구조개혁이 이루어져야한다.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식량수출국에 속한다. 그런데도 대도시와 시골에서 아이들이 매일같이 굶주리고 있다. 지주의 1퍼센트가 경작지의 43퍼센트를 점유하고 있다. 2000년의 경우, 1억 5,300만 헥타르의 땅이 경작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고, 500만의 농민들이 땅이 없이 가족과 함께 이 거대한 나라의 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인프라 정비
제3세계 나라들의 인프라를 정비하기 위해 시급한 지원이 필요하다. 그들에게는 자본, 도로, 적당한 종자, 비축식량, 농경 전문지식 등 모든 것이 부족하다. 아프리카 남쪽에는 엄청난 땅들이 놀고 있다. 그 땅들은 투자가 없이는 경작되지 못할 것이다. FAO의 통계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에서 정상적으로 경작되는 땅은 7억 헥타르 정도인데, 작은 투자로도 경작 면적을 두 배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세계화는 무엇보다도 제 3세계의 소외 없이 모든 국가가 식량, 의료지원, 경제 배분등이 잘 이루어져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3. 결론
현대 21세기는 의식주 문제만 일삼던 과거와는 달리 문화적, 정신적인 측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아직도 기본적인 의식주 보장이 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세계화는 곧 수용함을 의미한다.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제 3세계인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세계화, 즉 수용함이란 근대화로의 발전을 의미한다. 정치적, 경제적으로 기존보다 발전함은 그 자국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용한 일이 된다. 제 3세계들은 선진국의 것을 받아들이는 세계화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단, 선진국의 것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선진국도 다른 나라의 것을 받아들이는 쌍방향으로 교류해야한다. 세계화는 어느 한 국가만을 위한 것이 아닌, 세계 모든 나라를 위한 것이다.
4. 영상자료
제 3세계국가의 아동노동에 관한 동영상 - http://www.mgoon.com/view.htm?id=805800
5. 참고문헌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토머스L.프리드먼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 세계화국제포럼(IFG)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학술지 <세계화와 제 3의 경제 발전>
엠파스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동영상
↑굶어 죽어가는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
↑땅에 떨어진 과자 부스러기를 주워 먹고 있는 아이
↑→제 3세계에서 각종 의료와 구호봉사를 하고 있는 한국인들
-다른 나라의 지원 사례
①미국
미국평화봉사단 (PEACE CORPS) John F. 케네디 대통령은 취임연설에서 “국가가 여러분을 위해 무엇을 해줄 수 있는지를 묻지 말고, 여러분이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자문해 보라.” 라는 유명한 말을 했다. 이와 같은 정신에서 그는 평화봉사단을 창설하였고 지금까지 세계 각지에 훈련받은 사람들을 파견하여 세계평화와 상호 이해증진을 위한 봉사활동을 펴오고 있다.
②아일랜드
Glencree Centre for Reconciliation 지구의 평화를 위해서 일하는 단체이다.
③아프리카
Humana People to People (HPP)자원봉사자를 미국, 영국, 노르웨이, 덴마크, 인도, 중국과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서 4-6개월간 교육을 받게하고, 그후에 아프리카, 아시아 혹은 중앙아메리카에서 6개월간 자원봉사를 하는 조직체이다.
이외에도 여러 국가에서 많은 기구들을 설립해 제3세계 국가들에 대한 아낌없는 지원정책을 펼치고 있다.
2-3. 세계화의 올바른 길
-인도적 지원의 효율화
우선적인 과제는 인도적인 구호조처를 더욱 효율적으로 만드는 것이다. FAO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의 약자. 국제 연합 식량 농업기구.
는 당면한 긴급구호를 위해 비상식량을 비축하고 있다. 이 식량을 배급하고 관리하는 것은 WFPWorld Food Program 의 약자. 세계 식량 계획
담당이다. 그러나 담당자들은 도움을 줄 나라의 사회구조가 어떤지 거의 묻지 않는다. 그리하여 이런 도움은 사회적, 정치적, 경제적 구조가 부실하고 부패한 나라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런 방식으로 기득권 세력을 강화하고, 부당한 사회구조를 고착시키고, 가난한 사람들을 비참함과 수백 년간에 걸친 약탈에 방치해두게 되는 것이다. 원조식량뿐만 아니라 국제단체가 제공하는 대부분의 개발지원금도 마찬가지다.
-원조보다는 개혁이 먼저
농민에게 토지를 분배하여 그들에게 농사 짓을 수 있도록 사회적인 구조개혁이 이루어져야한다. 브라질은 세계에서 가장 중요한 식량수출국에 속한다. 그런데도 대도시와 시골에서 아이들이 매일같이 굶주리고 있다. 지주의 1퍼센트가 경작지의 43퍼센트를 점유하고 있다. 2000년의 경우, 1억 5,300만 헥타르의 땅이 경작되지 않은 채 방치되고 있고, 500만의 농민들이 땅이 없이 가족과 함께 이 거대한 나라의 거리를 배회하고 있다.
-인프라 정비
제3세계 나라들의 인프라를 정비하기 위해 시급한 지원이 필요하다. 그들에게는 자본, 도로, 적당한 종자, 비축식량, 농경 전문지식 등 모든 것이 부족하다. 아프리카 남쪽에는 엄청난 땅들이 놀고 있다. 그 땅들은 투자가 없이는 경작되지 못할 것이다. FAO의 통계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에서 정상적으로 경작되는 땅은 7억 헥타르 정도인데, 작은 투자로도 경작 면적을 두 배 이상으로 늘릴 수 있다고 한다.
세계화는 무엇보다도 제 3세계의 소외 없이 모든 국가가 식량, 의료지원, 경제 배분등이 잘 이루어져 조화를 이루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3. 결론
현대 21세기는 의식주 문제만 일삼던 과거와는 달리 문화적, 정신적인 측면에 많은 비중을 두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서 아직도 기본적인 의식주 보장이 되지 않는다면 문제가 아닐 수 없다.
세계화는 곧 수용함을 의미한다.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것이다. 제 3세계인 개발도상국에 있어서 세계화, 즉 수용함이란 근대화로의 발전을 의미한다. 정치적, 경제적으로 기존보다 발전함은 그 자국만이 아니라 세계적으로 유용한 일이 된다. 제 3세계들은 선진국의 것을 받아들이는 세계화에 적극적이어야 한다. 단, 선진국의 것만 받아들이는 것이 아니라, 선진국도 다른 나라의 것을 받아들이는 쌍방향으로 교류해야한다. 세계화는 어느 한 국가만을 위한 것이 아닌, 세계 모든 나라를 위한 것이다.
4. 영상자료
제 3세계국가의 아동노동에 관한 동영상 - http://www.mgoon.com/view.htm?id=805800
5. 참고문헌
「렉서스와 올리브 나무」-토머스L.프리드먼
「더 나은 세계는 가능하다」- 세계화국제포럼(IFG)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학술지 <세계화와 제 3의 경제 발전>
엠파스 백과사전
네이버 백과사전
네이버 동영상
↑굶어 죽어가는 아이를 안고 있는 엄마
↑땅에 떨어진 과자 부스러기를 주워 먹고 있는 아이
↑→제 3세계에서 각종 의료와 구호봉사를 하고 있는 한국인들
추천자료
UN인권위원회
21세기 행정환경변화에 따른 행정의 발전방안
[행정환경][행정조직][행정국가][행정개혁]행정환경과 행정조직, 행정국가 및 행정개혁 분석(...
부르디외와 기든스의 사상에 관하여
WTO의 개관과 사례소개
9ㆍ11 테러 이후 미국의 한반도 정책
ngo의 발전방안.(아름다운재단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문제]대학입시자율화에 대해 찬반 입장을 정하고 근거를 논리적으로 서술
한국의 노사관계와 노동조합에 관해 논하시오.
[인문학][인문과학][인문]인문학(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의 관계, 인문학(인문과학)과 과학기술...
차이의 존중을 읽고
각국의외교정책
[일본에 대한 요구, 역사교과서 왜곡수정]일본에 대한 역사교과서 왜곡수정 요구, 일본에 대...
세계화 시대에 남북이 하나 되어 통일된 민족국가를 이루는 것이 지닐 수 있는 의미는 무엇인...